[흥국생명 외화채 콜옵션 논란]'대주주 책임론' 이호진 회장, 보유 계열사 주식 가치는상장사 주식 가치만 2737억…비상장 금융사들로부터 매년 수십억 배당
박기수 기자공개 2022-11-23 07:36:27
이 기사는 년 월 일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흥국생명이 환매조건부채권(RP)을 발행해 신종자본증권 콜옵션을 행사하는 쪽으로 결정하면서 놀랐던 자본시장이 가슴을 쓸어내린 모습이다. 다만 추후 RP 만기가 다가올 때 상환 방식과 더불어 금이 간 시장 신뢰에 대한 대가로 일각에서는 대주주인 이호진 태광그룹 회장(사진)의 사재 출연 필요성 등 '책임론'을 주장하고 있다.◇상장사 보유 주식 가치만 '2737억원'
태광그룹은 지주사가 없는 그룹으로 태광산업이 그룹의 중심이다. 국내·외 계열사는 총 24곳으로 태광산업과 대한화섬, 흥국화재해상보험만이 상장사다. 논란이 됐던 흥국생명은 비상장사다.
이호진 회장은 태광그룹 상장사와 비상장사 등 여러 군데에 개인 지분을 다수 보유하고 있다. 우선 상장사의 경우 태광산업의 보통주 32만8189주(29.48%)와 대한화섬 보통주 26만6183주(20.04%)를 보유 중이다. 15일 종가 기준 지분 가치는 태광산업은 2442억원, 대한화섬은 295억원이다. 총 2737억원이다.
흥국화재의 경우 이 회장의 개인 지분은 없다. 흥국화재의 최대주주는 흥국생명(59.56%)이다. 이외 태광산업도 흥국화재의 지분 19.63%를 보유 중이다.
국내 비상장사 중 이 회장이 지분을 보유 중인 곳은 총 7곳(△티알엔(홈쇼핑·투자 사업) △티시스(IT·부동산관리·건설사업) △이채널 △흥국생명보험 △흥국증권 △고려저축은행 △흥국자산운용)이다.
우선 금융 관련 계열사인 흥국생명과 흥국증권, 고려저축은행, 흥국자산운용의 지분을 상당부분 보유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회장은 흥국생명의 보통주 764만7981주(56.3%), 흥국증권 보통주 440만주(68.75%), 고려저축은행 68만304주(30.5%), 흥국자산운용 40만주(20%)를 보유 중이다. 이외 티알엔 155만4960주(51.83%), 티시스 40만주(4.23%), 이채널 14만5985주(7.3%)도 이 회장 개인 지분으로 분류된다.
가장 순자산 규모가 큰 흥국생명의 경우 올해 3분기 말 연결 기준 순자산총계가 2조3362억원이다.
◇비상장 금융사들로부터 매년 배당 수령
이 회장이 지분 보유를 토대로 수령하는 배당들도 무시할 수 없다. 상장사와 비상장사들을 통틀어 이 회장은 매년 수십억원 이상의 배당금을 수령 중이다.
상장사들의 경우 배당총액이 적은 편이다. 태광산업의 경우 매년 13~14억원 수준의 배당금만을 풀고 있다. 연결 기준 배당성향이 1%가 채 되지 않는다. 대한화섬 역시 배당총액이 10억원 미만으로 최근 3년간 2~3% 수준의 배당성향을 기록했다.
이 회장의 주요 배당 수령처는 비상장 금융회사들이다. 이중 흥국생명을 제외한 흥국증권, 고려저축은행 등이 배당 화수분이다. 흥국증권은 작년 이 회장에게 15억4000만원을 배당했다. 직전 해에는 44억8000만원을, 그 직전 해에는 52억3200만원을 배당으로 지급했다.
고려저축은행은 작년과 그 직전해 모두 총 111억5376만원을 주주들에게 배당했다. 이 회장의 지분율(30.5%)로 계산하면 매년 약 34억원을 수령한 셈이다.
이외 이 회장이 지분 20%를 보유하고 있는 흥국자산운용도 작년 90억원의 배당금을 주주들에게 지급했다. 이 회장의 몫을 계산하면 18억원이 나온다. 직전 해에는 77억원을 지급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장철혁, 합류 1년 만에 단독 대표…SM3.0 실행 '중책'
- '미샤' 에이블씨엔씨 매각, 숏리스트 3~4곳 '선정'
- 한국투자증권, 후순위채로 5000억 자본확충
- SK엔무브, 회사채 1.51조 수요 몰려...증액 유력
- '공모채 데뷔' 신세계건설, 수요예측서 대량 '미매각'
- 감성한 기업은행 부행장, IBK투자증권 부사장으로
- 물적분할 반대한 SK이노 주주들, SK온 IPO 찬성할까
- 소액주주와 ‘이례적’ 직접 소통, 확 달라진 SK그룹 주총
- [이사회 분석]에쓰오일, ESG위원회 신설 2년 만에 승격
- 혁신성장 재정모펀드 운용사에 '성장금융·신한운용' 낙점
박기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기관투자자 표심 분석]LS일렉트릭, 사외이사 선임 국민연금 '제동'
- [이자비용 분석]이마트, 영업이익보다 많은 이자…대안은 '자산 매각'
- [CFO 성과 보수]차동석 LG화학 사장, LG그룹 CFO 연봉 '2위'
- [이자비용 분석]'쾌속질주' 에코프로비엠, 금리 상승 리스크 '무색'
- [이자비용 분석]SKC, 이자보상배율 '뚝'…금리 상승 실감
- [이자비용 분석]SK하이닉스, 보릿고개에 찾아온 불청객 '금리 상승'
- [이자비용 분석]장·단기차입 '쌍끌이' 엘앤에프, 금리 상승에도 '굳건'
- [이자비용 분석]금리 상승에 단기금융상품으로 대응한 삼성SDI
- [이자비용 분석]LG에너지솔루션, 골든타임 IPO가 가져다 준 선물
- [투자 포트폴리오 리포트/한솔그룹]한솔제지 생존전략, 홀딩스가 주목하는 이유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