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인 스토리]해외 6개 설립 목표, 서플러스글로벌의 10년 꿈 '클러스터'①'공유 팹' 비즈니스, 입주 장비사 비용 절감·리퍼비시 협업 '윈윈'
구혜린 기자공개 2023-01-30 07:27:20
[편집자주]
현장에 답이 있다. 기업은 글자와 숫자로 모든 것을 설명하지 못한다. 다양한 사람의 땀과 노력이 한 데 어울려 만드는 이야기를 보고서를 통해 간접적으로 유추해 볼 뿐이다. 더벨은 현장에서 만난 사람들을 통해 보고서에 담지 못했던 기업의 목소리와 이야기를 담아본다.
이 기사는 2023년 01월 27일 16:23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경기 용인시 처인구 제법 높은 지대에 서플러스글로벌의 10년 된 꿈이 올라섰다. 지난달 서플러스글로벌은 약 2만1000평 규모 반도체 중고 장비 유통 단지(Cluster)를 준공하고 본사를 이전했다. 김정웅 서플러스글로벌 대표가 '클러스터를 조성하겠다'는 비전을 임직원에 공유한 건 지금으로부터 10년 전이며 부지 매입에 나선 건 2016년이다. 장기 프로젝트가 결실을 맺은 셈이다.이 건물은 서플러스글로벌만을 위한 게 아니다. 단순 '사옥'이 아닌 '클러스터'로 이름지어진 이유다. 현재 미국 반도체 장비 회사 온투이노베이션과 KLA, 네덜란드 반도체 장비 회사 ASML 총 세 개 업체가 여기에 입주해있다. 건물은 크게 이들 입주사가 활용하는 트레이닝센터, 서플러스글로벌이 사용하는 1000여대 장비 보유 전시관·데모룸·클린룸, 반도체 유관기업 모두에게 열려있는 공유오피스로 이뤄져 있다.

건물 내는 상당히 빈 공간이 많았다. 온투이노베이션, KLA, ASML를 제외하고도 글로벌 장비사를 추가로 유치할 계획이기 때문이다. 김정웅 대표는 "계열사 포함 서플러스글로벌 임직원이 200명대인데도 건물 투자를 꽤 많이 한 이유는 500명이 쓸 것을 예상했기 때문"이라며 "현재 들어온 회사를 제외하고 글로벌 자이언트 기업 서너곳과 진지하게 (입주를)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엄밀히 말하면 용인 클러스터는 '제1호 클러스터'다. 김정웅 대표는 이 클러스터를 최대 7개 조성하는 걸 목표로 잡고 있다. 한국을 제외하고 미국, 대만, 싱가폴, 중국, 일본, 유럽 6개 국가가 대상이다. 이미 유럽을 제외한 5개 국가에 해외 지사를 두고 있으므로 이들을 중심으로 클러스터를 조성하겠단 방침이다. 시간이 얼마나 걸릴진 확실하지 않다. 중요한 건 '제1호 클러스터'가 서플러스글로벌 및 입주사의 수익에 기여한단 것을 명확히 보여야 한다는 점,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충분한 자금을 조달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미 김정웅 대표의 머릿 속에는 자금을 조달할 밑그림이 그려진 듯하다. 그는 "입주사도 굉장히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어 이 비즈니스 모델이 워킹한다고 생각한다"며 "사업 모델이 자리잡으면 파이낸싱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어 "공유 팹 비즈니스에 관심을 보이는 세계적인 물류회사와 합작을 논의 중인데 리츠 등을 만들어 비용을 충당하는 방안 등을 고민 중"이라며 "그림이 잘 그려지면 10개까지도 갈 수 있다"고 덧붙였다.
공유 팹 비즈니스는 서플러스글로벌의 기존 사업과도 밀접히 연결돼 있다. 서플러스글로벌이 중고 장비 및 부품을 판매하는 방식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있는 그대로 장비를 매입해다 판매하는 '에즈이즈(As-Is)' 방식, 클러스터 내 데모룸에서 장비가 구동되는 걸 보여준 뒤 판매하는 '파워 온 데몬스트레이션(Power On Demonstration)' 방식, 자회사 이큐글로벌 등 전문 리퍼비셔를 통해 수리를 거쳐 판매하는 '리퍼비시(Refurbish)' 방식이다.
에즈이즈 판매는 중고 장비 유통 매출액의 70% 비중을 차지한다. 여기서 절반은 서플러스글로벌이 자체 소싱해 보유하고 있는 재고 판매다. 또 다른 절반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이 벌크로 내놓는 고가의 유휴 장비 판매 중개를 서고 서플러스글로벌이 커미션 수수료를 받는 백투백 판매다. 자체 재고 및 중개 판매 모두 매출액을 올리긴 수월하나, 서플러스글로벌의 품이 적게 든 만큼 마진율이 낮다는 게 단점이다.
서플러스글로벌은 파워 온 데몬스트레이션 및 리퍼비시 판매 비중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여기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게 바로 클러스터다. 클러스터 입주사는 서플러스글로벌의 협력사로 봐도 무방하다. 장비를 소싱하는 네트워크가 강화된 것은 물론이고 추가적인 리펍 사업에 관해 논의를 지속하고 있다. 원 장비 제조사인 입주사가 리퍼비셔 역할을 담당하면서 리퍼비시 제품의 신뢰성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전방위 자본확충' 푸본현대, 연이은 조달 성공할까
- ㈜한양, 건설업 투심 악화 ESG로 극복할까
- [i-point]손경익 시노펙스 대표 국민훈장 동백장 수훈
- [i-point]에이트원, 고려자산개발과 토큰증권 비즈니스 MOU
- [i-point]알에프세미, 진평전자 LFP 배터리 국내판권 평가·이전 마쳐
- [thebell interview]"한화증권 IPO 비즈니스 확대 원년"
- [건축자재 기업 돋보기]암울한 시멘트·레미콘업체, 기댈 구석 '가격인상뿐'
- [i-point]바이브컴퍼니, 한국형 생성 AI 언어모델 'VAIV GeM' 공개
- [2023 BIO USA]바이오 최대 박람회 D-1, 삼성바이오로직스 韓 유일 스폰서
- [보험경영분석]신협공제, 유가증권 포트폴리오 재조정
구혜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thebell interview]박태훈 넥스틴 대표 "중국 200mm 팹, 대규모 시장 접수"
- [코스닥 우량기업 리뷰]이경섭 타이거일렉 창업주, 자사주 재테크 '눈길'
- [코스닥 우량기업 리뷰]타이거일렉, '티에스이 기조' 무차입 경영 향한다
- [코스닥 우량기업 리뷰]타이거일렉, 매출 성장 '신의 한 수' 베트남 진출
- [코스닥 우량기업 리뷰]넥스틴, 신규 사업 '갤러리 운영' 진정성은
- [코스닥 우량기업 리뷰]투자 늘리는 넥스틴, 올해가 포트폴리오 '변곡점'
- [코스닥 우량기업 리뷰]넥스틴, 미·중 반도체 전쟁 수혜에 '쾌속 성장'
- [Company Watch]파크시스템스, 실적 '상저하고' 패턴 깼다
- 에이트원, 전 카사코리아 박상일 COO 영입
- 에이트원, '웹3.0 전문기업 도약' 조직개편 단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