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벤토리 모니터]LG전자, TV 재고 건전화 성공…원재료 쌓는 전장HE 4분기 중 36%↓, '블프·월드컵' 효과…VS 수주 급증 대응
원충희 기자공개 2023-03-24 12:51:33
이 기사는 2023년 03월 22일 10:47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LG전자의 지난해 재고자산이 전반적으로 개선된 가운데 특히 홈엔터테인먼트(HE) 부문의 재고부담이 대폭 줄었다. 재고 건전화 노력과 더불어 카타르월드컵, 블랙프라이데이 등의 특수가 반영됐다는 분석이다.차량전장(VS) 부문의 경우 다른 사업부문과 달리 원재료 및 저장품 규모가 1조원을 웃돌고 있다. 작년 말 80조원에 달하는 수주잔고에 대응하기 위해 원재료를 대거 확보했기 때문이다. 올해는 수주잔고가 100조원에 이를 전망이라 고속성장이 기대되고 있다.
◇4분기 전통적 성수기, 이번에는 '더블특수' 효과 있어
LG전자의 지난해 말 재고자산 총액은 9조3888억원으로 전분기(11조2071억원) 대비 16% 정도 감소했다. 사업부문별 전반적으로 개선됐는데 특히 HE부문의 경우 2조1802억원에 달하던 재고가 1조3924억원으로 급감했다.
HE부문은 TV, 오디오, 뷰티기기를 담당하는 사업부다. 작년에는 글로벌 경기 위축으로 TV 판매가 부진하면서 재고가 쌓였는데 4분기 중에 상당량을 털어냈다. LG전자 관계자는 "앞서 실적발표에서 재고 건전성을 유지하겠다는 목표를 얘기한 바 있는데 그 차원에서 재고 건전화 노력을 기울인 결과"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11월 열린 카타르 월드컵도 일회성 특수기간이다. LG전자는 2022 카타르 월드컵과 미국 블랙프라이데이를 맞아 각종 마케팅과 할인 이벤트를 진행하면서 4분기 판매량에 이 같은 특수효과가 일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VS부문, 원재료 재고 1조 돌파…올해 수주잔고 100조 전망
VS부문의 경우 작년 말 재고자산이 1조6675억원으로 전분기(1조6980억원)대비 소폭 감소에 그쳤다. 특이한 점은 원재료 및 저장품이 1조291억원으로 1조원을 처음 넘어선 반면 제품 및 상품은 5521억원으로 다른 사업부문에 비해 현저히 적다.
생활가전(H&A), HE, 비즈니스솔루션(BS) 등 타 부문은 재고 항목 중에서 제품 및 상품 비중이 큰데 반해 VS부문은 원재료 및 저장품 비중이 압도적이다. 제품 및 상품은 판매가 가능한 완제품을 뜻하고 원재료 및 저장품은 제품을 만들 재료와 생산과정에서 보조적으로 들어가는 소비재를 의미한다.
현재 제조업이 겪고 있는 악성재고 이슈는 완제품이 팔리지 않아 생기는 문제다. LG전자 VS부문은 완제품 재고 규모가 적정선에서 관리되고 있으며 원재료 증가는 향후 생산을 위해 미리 확보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실제로 지난해 말 기준 VS부문의 수주잔고가 80조원에 이르고 있으며 올해는 100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수주잔고의 60%는 VS부문이 이끄는 차량 인포테인먼트가, 20%는 합작법인 LG마그나이파워트레인 등이 담당하는 전기차 부품, 나머지는 오스트리아 법인 ZKW의 프리미엄 차량용 조명이다. LG전자의 전장사업은 이 3개 축으로 이뤄져 있다. 특히 인포테인먼트에 속하는 자동차 텔레매틱스 분야에선 LG전자의 시장점유율은 세계 1위 수준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2차전지' 에코프로비엠, 최대 3000억 공모채 추진
- LS전선, 최대 1800억 공모채 추진
- 신세계백화점, '그룹과 별도 행보' 브랜드본부 신설
- [롯데의 베트남 시대]"면세점은 역시 럭셔리, 신규 출점 검토"
- [Red & Blue]'황제주의 추억' 오뚜기, 잠룡일까 항룡일까
- [베일 벗은 부산 디지털자산거래소]최대 숙제 '원화 거래 지원', 부산시 지원사격 받는다
- 디딤이앤에프, 임직원 266명 탄원서 제출
- [심상찮은 카드사 비용 리스크]롯데카드, 차기 CFO의 제1 과제는 '자본확충'
- [KAI를 움직이는 사람들]재무개선 기반 강화, 박상욱 CFO 역량 '시험대'
- 라이트론, 유럽 광통신 컨퍼런스서 100G 제품 전시
원충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심상찮은 카드사 비용 리스크]롯데카드, 차기 CFO의 제1 과제는 '자본확충'
- [심상찮은 카드사 비용 리스크]하나카드, CFO 앞에 놓인 단기조달 '숙제'
- 손발 묶인 카드사 CFO들
- [투자 포트폴리오 리포트/네이버]기술·인재가 살길…유망기업 찾아 '애크하이어'
- [투자 포트폴리오 리포트/삼성전자]삼성넥스트·SSIC, 미래 성장동력 찾는다
- [투자 포트폴리오 리포트/삼성전자]대부업체·위성방송은 왜 출자했나
- [심상찮은 카드사 비용 리스크]우리카드 이재일 상무 1년…'단기조달' 컨트롤 과제
- [심상찮은 카드사 비용 리스크]현대카드 전병구 부사장, 악화된 실질 수익창출력
- [투자 포트폴리오 리포트/삼성전자]이건희·이재용, 2대 걸쳐 챙기는 파트너 '원익IPS'
- [심상찮은 카드사 비용 리스크]삼성카드, 운신폭 좁아진 '수익성 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