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차기 리더는]세대교체 택했다…'강신국·박완식·이석태·조병규' 4파전임종룡 회장, 은행장 롱리스트에서 기존 C레벨 임원 전면 배제…한일·상업 '2대2' 구도
최필우 기자공개 2023-03-24 17:28:35
이 기사는 2023년 03월 24일 17:26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우리금융이 차기 우리은행장 후보 롱리스트를 신임 부문장과 대표로 채웠다. 이원덕 우리은행장 용퇴 후 조직을 아우를 수 있는 기존 C레벨 임원들이 유력 후보로 점쳐졌으나 예상 밖 인물들이 대거 부상했다. 임종룡 신임 회장이 행장 후보를 원점에서 검토한 끝에 우리은행 리더도 세대 교체 물결에 합류하게 됐다.◇원점 검토로 신임 '부문장·대표' 후보로 발탁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금융은 주주총회와 이사회에서 임 회장 선임을 확정한 직후 차기 우리은행장 선임을 위한 자회사대표이사후보추천위원회를 열었다. 자추위는 강신국 우리은행 기업투자금융부문장, 박완식 우리카드 대표, 이석태 우리은행 국내영업부문장, 조병규 우리금융캐피탈 대표를 롱리스트 후보로 확정했다.

이번 롱리스트는 의외란 평가가 많다. 롱리스트는 이 행장 용퇴 후 하마평에 오르지 않았던 인물들로 채워졌다. 우리은행 안팎에선 지주 사장 또는 계열사 대표 중 후보가 나올 것이란 관측이 우세했다. 임 회장이 당초 이 행장을 유임시키는 쪽으로 가닥을 잡아 무게감과 안정감을 갖춘 인물을 원하는 것으로 비춰졌다. 박화재 전 지주 사장, 김종득 전 우리종합금융 대표, 전상욱 전 지주 사장 등이 이 행장을 대체할 수 있는 인물로 꼽혔다.
네 후보는 임 회장 체제 첫 인사에서 요직을 꿰찼다는 공통점이 있다. 강 부문장과 이 부문장은 행내 양대 부문으로 꼽히는 기업투자금융부문과 국내영업부문을 맡았다. 박 대표와 조 대표는 주력 계열사인 우리카드와 우리금융캐피탈을 책임지기로 했다. 이들은 새 보직을 맡은 지 3주가 채 되지 않아 우리은행장에 도전하는 입장이 됐다.
임 회장은 기존 인사와 관계 없이 우리은행장 후보를 검토한 것으로 전해진다. 완전한 지주사 체제를 갖추지 못한 우리금융 내에서 우리은행장은 회장 만큼이나 중요한 자리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행장 유임을 전제로 지주, 은행 임원과 나머지 계열사 대표 인사를 단행했으나 그가 용퇴한만큼 새판을 짤 필요가 있었다. 앞선 인사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요직을 꿰찬 인물들로 롱리스트를 추리는 수순이 이어졌다.
강 부문장은 1964년생으로 고려대를 졸업하고 IB그룹 상무, 자금시장그룹 집행부행장을 거쳤다. 박 대표는 1964년생으로 국민대 졸업 후 영업총괄그룹 부행장보, 개인기관그룹 부행장을 지냈다. 이 부문장은 1964년생이고 중앙대를 나와 전략기획단 상무, 신사업총괄 전무, 사업성장부문 부사장을 역임했다. 조 대표는 1965년생으로 경희대를 졸업한 뒤 경영기획그룹장, 기업그룹장으로 재직했다.
◇1년 만에 상업은행 출신 행장 나올까
4명의 후보 중 한일은행 출신과 상업은행 출신은 각각 2명이다. 강 부문장과 박 대표는 한일은행 출신이고 이 부문장과 조 대표는 상업은행으로 입행했다. 우리금융은 우리은행장 후보군을 꾸릴 때 한일은행과 상업은행 출신 숫자 균형을 맞추고 있다.
우리금융 내부에선 이번엔 상업은행 출신 행장이 나올 가능성이 높다는 견해가 주를 이룬다. 상업은행 출신인 권광석 전 우리은행장 퇴임 후 한일은행 출신인 이 행장이 1년 간 우리은행을 이끌었다. 손태승 전 우리금융 회장과 이 행장은 같은 한일은행 출신으로 회장과 행장의 출신을 달리한다는 관행을 깨기도 했다. 그간 소외된 상업은행 출신들에게 기회를 주지 않겠냐는 여론이 존재한다.
다만 임 회장이 계파 해소를 공언한 만큼 그간의 관행에 따라 특정 은행 출신을 우대하진 않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임 회장은 이날 첫 출근길에서도 새로운 기업문화를 만드는 일에 주력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새롭게 마련하는 은행장 선정 프로그램에 철저히 입각해 차기 행장을 선임할 수 있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행장 인사를 원점에서 검토한다고 듣긴 했지만 신임 부문장과 대표를 후보로 차출한 건 의외"라며 "능력을 고려해 임원 인사를 단행한 것처럼 행장 선임도 공정하게 진행하겠다는 의도 아니겠느냐"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은행경영분석]토스뱅크, 예대마진 수익구조 강화…흑자 기대감 상승
- 차분한 새마을금고 60주년 행사
- 우리금융, CEO 승계 이어 '육성 프로그램' 도입한다
- [코스닥 주총 돋보기]엠로, 삼성SDS 중심 이사회 개편 '글로벌 정조준'
- 코스닥 이전 상장 노리는 '타스컴', 투자유치 추진
- 글로벌PE 빠진 재원산업 5000억 투자유치, 국내사 간 격전 '예고'
- 'MG·캐피탈사 호응' 라데팡스, 한미사이언스 투자 LP 명단 윤곽
- 위세아이텍, 외형보다 '수익성 제고' 방점
- [코스닥 우량기업 리뷰]타이거일렉, 매출 성장 '신의 한 수' 베트남 진출
- '오케스트라PE 체제' 비전홀딩스, 씨제스스튜디오 전략적 투자 단행
최필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우리금융, CEO 승계 이어 '육성 프로그램' 도입한다
- [BNK금융은 지금]비은행 보강하고 '종합금융그룹' 도약 마침표 찍는다
- [BNK금융은 지금]가닥 잡힌 '투뱅크' 체제, '비용·인사' 솔루션은
- [우리은행 차기 리더는]행장 취임까지 '한달 더'…'임종룡표 승계' 속도보다 방향
- [BNK금융은 지금]빈대인 회장, '탕평 인사'로 4.0 시대 열었다
- [금융지주 글로벌 IR 리뷰]김태오 DGB회장, '자사주 매입' 선물 들고 미국행
- [Peer Match Up/지방금융3사]최대 격전지 '캄보디아', 주무기 '은행·캐피탈' 제각각
- [우리은행 차기 리더는]'이석태 vs 조병규' 첫 '상업은행' 출신 매치업 성사
- [우리은행 차기 리더는]'행내 선임' 관측 틀렸다, '은행 부문장 vs 캐피탈 대표' 구도
- [Peer Match Up/지방금융3사]'맹주' 넘보는 JB금융, '성장통' 겪는 BNK·DGB금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