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임폴리오, 상장 메자닌 투자 "공격 앞으로" 1년여만에 코벤펀드 출시…총 92억 규모
윤종학 기자공개 2023-07-17 08:15:09
이 기사는 2023년 07월 12일 15시4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타임폴리오자산운용이 코스닥벤처펀드 설정을 통해 상장사 메자닌 투자에 나선다. 앞서 비상장 기업 투자로 높은 수익률을 낸 대체투자본부가 1년여 만에 펀드 설정을 재개했다.1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타임폴리오자산운용은 '타임폴리오 코스닥벤처 It’s Time-Mezzanine T 2호 일반사모투자신탁'을 설정했다. 추가 납입이 불가능한 단위형, 환매가 불가능한 폐쇄형 구조로 설계됐다. 만기는 3년1개월이다. 대부분 NH투자증권과 하나증권의 리테일 창구를 통해 판매됐으며 10영업일만에 92억원을 끌어모았다. 수탁사는 삼성증권이 맡았다.
이 펀드의 투자전략은 상장사 메자닌, IPO공모주, Pre-IPO, 블록딜, 차익거래 등이다. 이 중에서도 상장사 메자닌을 주목적으로 투자하는 펀드다. 펀드 자산의 90% 이상을 상장 메자닌으로 채울 계획이다.

코스닥벤처펀드는 전체 자산의 50%를 벤처기업에 투자하고 이중 15%를 벤처기업 신주에 투자하는 대신 공모주 물량 일부를 우선 배정받는다. IPO 시장이 활기를 띄던 시기에는 공모주 우선배정 혜택을 노린 펀드 설정이 주를 이뤘었다. 최근에는 주로 메자닌 투자 비히클로 활용되는 모양새다.
코스닥벤처펀드 요건은 주식 외에 상장기업 및 비상장 벤처기업이 발행한 메자닌에 투자해도 충족한다. 메자닌 종목을 담는 동시에 공모주 우선배정 혜택을 받아 알파 수익을 거둘 수 있다. 최근 코스닥 시장을 중심으로 공모주 '따상(공모가 2배인 시초가 형성 후 상한가)'을 기록한 종목들이 등장하며 코스닥벤처펀드 가입 수요도 늘어나는 추세다.
타임폴리오 코스닥벤처 It’s Time-Mezzanine T 2호 펀드는 대체투자본부에서 오랜만에 설정한 신규 펀드다. 지난해 7월 설정한 '타임폴리오 코스닥벤처 The Smart 대체투자 3호 일반사모투자신탁' 이후 1년여 만이다.
타임폴리오자산운용은 2015년 12월 대체투자본부를 설립하면서 일찌감치 대체투자로 영역을 넓혔다. 다만 초기에는 주력 펀드인 멀티전략 펀드의 일정부분을 배정받는 등 제한적 역할을 맡았다. 2019년 5월부터 자체적으로 펀드를 설정하며 멀티전략 펀드와 별도로 비상장, 메자닌, 코스닥벤처 등 펀드 라인업을 확대했다.
지난해부터 만기가 도래한 펀드들이 생기며 본격적으로 트랙 레코드를 쌓고 있다. 올해 상반기에도 '타임폴리오 The Unique 대체투자'와 '타임폴리오 The Smart 대체투자', '타임폴리오 The Wise 대체투자' 등을 청산했다.
최근에는 2차전지 소재 기업 '알멕'이 상장에 성공하면서 400% 넘는 수익을 거두기도 했다. 타임폴리오자산운용은 시리즈A 단계부터 알멕에 투자한 뒤 꾸준히 후속투자에 참여해왔다. 알멕을 담은 '타임폴리오 P-ALM 일반사모투자신탁'은 6월 수익률 450%를 기록하기도 했다.
타임폴리오자산운용 대체투자본부는 안승우 본부장을 비롯한 13명으로 구성돼있다. 대체투자본부 설립 초기에 설정한 펀드들을 성공리에 청산하며 신규 펀딩에 집중할 계획이다. 이른 시일내에 타임폴리오 코스닥벤처 It’s Time-Mezzanine T 2호의 뒤를 이어 추가 코스닥벤처펀드를 설정할 계획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NPL 자금조달 리포트]대신F&I, 공격적 투자에 단기조달 확대…NPL 매입 '적기 대응'
- [교보생명 SBI저축 인수]1위 저축은행 PBR 0.95배, 상상인그룹은 '난색'
- [Policy Radar]금융당국, SKT 사태 '비상대응본부' 구성
- [은행경영분석]농협금융, 예대업 약화…낮아진 비은행 기여도 '설상가상'
- [여전사경영분석]우리금융캐피탈, 대손비용 부담 확대로 실적 개선 제동
- [금융 人사이드]캠코 사장 단독후보에 정정훈 전 세제실장…'자본확충' 첫 시험대
- [은행경영분석]제주은행, 90% 넘는 지역 의존도…가파른 연체율 상승세
- [은행경영분석]BNK금융, 건전성 지표 저하 '밸류업 복병' 부상
- [금융사 KPI 점검/하나은행]본사 정책 평가 강화, '건전성·손님만족' 항목 힘줬다
- [Policy Radar]보험업법 규제 기준 킥스비율 130%로 낮아진다
윤종학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롯데, AI·글로벌 공략 박차…“신사업 중심 포트폴리오”
- [Policy Radar]K-OTT 글로벌화 선행조건, 토종 플랫폼 경쟁력 확보
- [비상장사 재무분석]유한건강생활, 적자폭 축소…실적 턴어라운드 '목전'
- [캐시플로 모니터]메가스터디교육, 환원·사업재편 상쇄한 현금흐름
- [캐시플로 모니터]엘앤피코스메틱, '투자자산 처분' 유동성 둔화 방어
- 코스맥스, 연구개발비 확대 지속…매출 연결 선순환
- [강원랜드는 지금]주주환원 강화, 시장 신뢰 회복 '시험대'
- [Company Watch]다이닝브랜즈그룹, 상환우선주 정리로 재무구조 정비
- [강원랜드는 지금]복합리조트 전환 본격화…비카지노 사업 키우기 주력
- [캐시플로 모니터]동서식품, 현금흐름 둔화…원자재 가격 상승 여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