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생건 이정애 체제 1년 점검]리더십 변화 맞춘 새 판 짜기, 이사진 변화 '퍼즐 완성'③전략 부문 신설 후 주요 부문장 교체, 이명석 CFO 사내이사 선임 예정
정유현 기자공개 2024-03-27 07:42:34
[편집자주]
18년간 LG생활건강을 이끌어온 차석용 체제가 막을 내리고 이정애호(號)가 출항한지 1년이 지났다. 지난해 사업 구조조정과 브랜드 리뉴얼 등을 추진했지만 중국 부진 여파 영향으로 수익성은 회복되지 않았다. 올해 역성장 고리를 끊어내는 것을 목표로 내세우고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더벨은 이정애 대표의 부임 첫 해인 2023년의 성과를 짚어보고 반등을 위한 넥스트(Next) 전략을 들여다본다.
이 기사는 2024년 03월 21일 15시3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LG생활건강이 리더십 전환기를 맞은 후 가장 관심을 끌었던 것은 '인사'였다. 새로운 리더가 경영 비전을 함께 실현할 실무진을 꾸리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기 때문이다. 조직 안정화에 방점을 찍은 이정애 대표는 긴 호흡을 갖고 지난 1년간 새 진용을 꾸렸다. '이정애 사단'이 윤곽을 드러내고 있는 가운데 올해 제시한 경영 목표치를 달성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LG생활건강은 26일 개최되는 정기주주총회를 통해 이명석 최고재무책임자(CFO)를 사내이사로 신규 선임할 계획이다. 이 대표를 보좌하며 안살림을 담당하게 된 이명석 전무는 전임 CFO였던 김홍기 전 부사장이 겸임한 최고리스크관리책임자(CRO) 바통도 이어받게 됐다.
LG화학에서 이동한 이명석 전무는 1971년생으로 서강대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LG화학 경영기획팀, 미국 법인의 생산과 연구법인을 거쳐 2019년 경영기획 상무를 지냈다. 2024년 정기인사를 통해 이정애호(號) LG생활건강에 합류하게 됐다. 실적 반등에 사활을 걸고 있는 이 대표의 경영 전략에 힘을 실어줄 것으로 보인다.

이사회 멤버 교체는 이정애 사단 구축의 마지막 퍼즐인 것으로 풀이된다. 이 대표는 부임 후 가장 먼저 리더십을 보좌해 줄 핵심 조직을 만들며 조직개편의 첫 단추를 뀄다. 차석용 전 부회장 체제에서의 핵심 조직은 문선화 상무(현 AVON법인장)가 이끄는 'M&A·IR부문'이었다.
차 전 부회장의 용퇴와 함께 M&A·IR부문의 역할이 재조정될 것이란 분위기가 흘러나왔고 예상대로 '전략 부문'이 신설됐다. 2023년 정기 인사를 통해 하주열 상무가 승진하면서 전략부문장을 맡았다. 2011년 LG생활건강 이자녹스 화장품 마케팅을 담당하다 이듬해 지주사 LG로 자리를 옮겼다. 약 10여만에 친정으로 복귀한 것이다. 전략 부문에서 신성장동력 발굴과 M&A를 추진하는 미션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대표는 지난해 9월 색조브랜드 '힌스(hince)'를 보유한 비바웨이브의 지분 75%를 425억원에 인수하는 M&A를 진행했다. 부임 1년이 채 되지 않은 시기에 M&A에 나설 수 있었던 것은 전략 부문의 역할이 컸던 것으로 해석이 된다. 비바웨이브 인수를 통해 아시아 최대 뷰티 시장인 일본 색조 시장 공략에 가속 페달을 밟고 있다. 잔여 지분 25%를 확보할 수 있도록 콜옵션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성과에 따라 지분을 확대하는 전략을 펼칠 것으로 예상된다.
전략 부문 신설과 함께 주요 부문장을 교체한 것으로 보인다. 차 전 부회장과 오랜 기간 합을 맞춘 이종수 전무가 맡았던 정도경영부문장을 권순모 상무로 교체하고 핵심 매출 사업부인 뷰티사업부는 오상문 전무에게 맡겼다.
이정애 사단에 신규로 합류한 임원을 살펴보면 뷰티 CBD 총괄은 박한석 상무, 중국뷰티마케팅부문장 전호준 상무, 뷰티연구소장 손남서 상무, 법무실장 정승아 상무, ESG/대외협력부문장 최남수 상무, HDB(생활용품) TM부문장은 양정익 상무가 이끌게 됐다. 정철용 HDB 생산총괄은 전무로 승진했다.
이 대표가 추진하고 있는 경영 전략에 따라 조직에도 변화를 줬다. 경영 효율화를 위해 해외 조직에 메스를 댔다. 과거 해외 사업 조직이었던 △해외사업지원부문 △해외신사업부문 △해외사업혁신부문 등을 해체했다.
각 해외 조직을 각 사업부에 분리 배치하는 조직 개편을 실시했다. 예를 들어 중국에서 뷰티 마케팅을 하는 조직은 뷰티사업부문 산하에 배치되는 구조다. 각 사업부가 전략에 맞춰서 지역을 관리하며 전문성과 효율성을 높이는데 중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데이터 경영을 강조하고 있는 이 대표의 CDO(최고 디지털 책임자) 선임도 눈에 띈다. 권도혁 CDO를 전무로 승진시켰다. 권 CDO는 카카오에 매각된 소셜 데이팅앱 '울트라캡숑' 창업 멤버다. 2015년 LG생활건강에 합류한 후 2016년 상무로 승진했다.
2019년 CDO로 근무하다가 상무에서 물러났다. 2020년부터 별도 자문 계약을 맺고 자문역 역할을 해왔는데 전무로 승진하면서 LG생활건강 소속으로 복귀한 것이다. 이 대표가 추진하고 있는 데이터 기반의 업무 효율성 제고를 위한 전략을 짜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주요 임원의 교체가 가장 큰 이슈였기 때문에 조직 개편도 변화보다 안정에 방점을 두고 소폭으로 천천히 진행한 것으로 보인다"며 "주총을 통해 CFO까지 사내이사로 선임되는 등 이정애 사단이 꾸려진 것으로 해석이 된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코스닥 유망섹터 지도]'보냉재 강자' 동성화인텍, 시장확대 수혜 전망
- [Company Watch]한중엔시에스, 미국 생산거점 확보 나선다
- [VC 투자기업]달바글로벌 주주, 화장품 할인 받는다
- [모태 2025 2차 정시출자]에이벤처스, 'Co-GP' 몰린 스케일업서 승기 잡을까
- [모태 2025 2차 정시출자]'출자 감소' 사이버보안, 린벤처스 2연속 도전 눈길
- [모태 2025 2차 정시출자]'단독 출사표' 인피니툼, 스포츠산업 무혈입성할까
- [모태 2025 2차 정시출자]국토교통혁신 분야, '비하이인베' 주목받는 이유
- [모태 2025 2차 정시출자]스포츠프로젝트, 작년·올해 재수생 지원…각축전 예고
- [모태 2025 2차 정시출자]스포츠전략, 유관펀드 경험 AC 2곳 승기 잡을까
- [모태 2025 2차 정시출자]'AC 리그' 스포츠출발, AC패스파인더 2년 연속 GP?
정유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CAPEX 톺아보기]㈜신세계, 현금창출력 초과한 투자 집행…'성장' 방점
- [고운세상코스메틱은 지금]로레알그룹 편입, 지분가치 최소 8배 점프 근거는
- [고운세상코스메틱은 지금]확장과 맞물린 현금흐름 둔화, 재무 체력은 '양호'
- [고운세상코스메틱은 지금]'닥터지'로 그려낸 성장 곡선, 3000억 시대 향한다
- [ROE 분석]코스맥스, 순이익으로 쌓은 자본효율성…20% '목전'
- [Red & Blue]'기관 픽' 선진뷰티사이언스, ODM 사업 경쟁력 '부각'
- [지평주조는 지금]확고한 김기환 1인 대표 체제, 배당 정책 변화 감지
- [지평주조는 지금]외형 확장 그늘 재무 부담, 건전성 회복 '과제'
- [지평주조는 지금]규제의 틈에서 갖춘 자생력, 준비된 플레이어 부각
- [Red & Blue]테마 바람 탄 아이스크림에듀, 사업 경쟁력 '재조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