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바사의 IDT 인수딜, 클로케와 '지분스왑' 형태 '협업의미' 글로벌 소부장 기업 클로케, 선제안으로 SK바사 유증 참여…총 거래규모 축소 효과도
정새임 기자공개 2024-07-01 09:05:29
이 기사는 2024년 06월 28일 07시3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SK바이오사이언스가 독일 세포유전자치료제(CGT) 위탁개발생산(CDMO) 업체 'IDT 바이오로지카(이하 IDT)' 인수를 결정한 가운데 기존 최대주주인 클로케그룹과 맺은 독특한 딜 구조에 주목된다.SK바이오사이언스뿐 아니라 클로케그룹도 SK바이오사이언스 지분에 투자하면서 양사가 파트너십 관계를 맺게 됐다는 점이 특징이다. 클로케그룹이 상호 신뢰를 갖추기 위해 먼저 제안하면서 이 같은 딜 구조가 완성됐다.
◇장고 끝 선택한 IDT…"적절한 시기에 인수"
SK바이오사이언스는 인수 대상을 확정하기까지 꽤 오랜 고민을 거듭했다. 신성장동력으로 점찍은 mRNA와 CGT 기술력을 갖춰나갈 수 있으면서도 생산기지를 갖춰 캐시카우 역할을 할 수 있는 곳, 글로벌 플레이어로 SK바이오사이언스의 밸류체인을 글로벌로 확장한 곳, 해외 고객에 대한 충분한 트랙레코드를 쌓아온 곳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했다.
장고 끝에 IDT 인수가 성사됐다. 1921년 설립된 IDT는 바이오 소부장 기업 클로케 그룹의 100% 자회사다. 100년 이상 축적된 전문역량을 바탕으로 유럽과 미국 지역에서 풍부한 트랙레코드를 보유하고 있었다. 매출의 70%가 빅파마와의 계약에서 발생하는 글로벌 CDMO 톱10 기업으로 꼽힌다.
백신뿐 아니라 보툴리눔 톡신, CGT까지 생산이 가능하며 연간 생산 가능 물량은 약 1억5000만도즈에 달한다. 상업용 생산이 가능한 독일 사이트 외 미국에도 백신과 CGT 의약품의 임상과 공정 개발 등 초기 단계 연구를 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고 있다.
SK바이오사이언스가 원하는 요건을 대부분 갖추면서 인수금액도 적절하다고 판단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60% 지분을 확보한 최대주주에 오르는 조건으로 총 3390억원을 투입한다. IDT의 구주와 신주를 함께 인수하는 방식이다.

먼저 2067억원으로 클로케그룹이 보유한 구주를 인수한 뒤 IDT가 진행하는 유상증자에 1119억원을 투입해 신주를 확보한다. 이어 클로케그룹의 자회사로 역시 기존주주인 TEW가 보유한 구주를 204억원에 인수한다. 이렇게 SK바이오사이언스의 인수 절차는 마무리된다.
취득 예정일은 10월 10일로 약 4달간의 텀이 발생함에 따라 SK바이오사이언스와 클로케그룹은 채권 채무계약을 맺었다. 인수 당사자인 SK바이오사이언스 독일 자회사가 인수금액에 대해 채무를 지고 SK바이오사이언스는 이를 보증하는 방식이다. 인수가 마무리되는 10월 10일 이 계약관계는 해소된다.
◇클로케와 6대 4 구조로 공동경영 형태…신뢰 밑바탕된 교차 지분인수
SK바이오사이언스의 이번 딜이 독특한 구조를 띄는 건 IDT 최대주주인 클로케그룹 역시 SK바이오사이언스 지분을 일부 인수한다는 점에 있다.
양사의 계약엔 클로케그룹이 SK바이오사이언스가 진행하는 제3자배정 유상증자에 참여한다는 내용도 담고 있다. 클로케그룹은 757억원을 투입해 SK바이오사이언스 지분 1.9%를 확보한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독일법인을 통해 클로케그룹이 보유하고 있던 IDT의 최대주주가 되고 클로케그룹은 SK바이오사이언스 지분을 확보하는 형태다.

이번 딜 구조는 SK바이오사이언스와 클로케그룹이 교차 지분인수로 긴밀한 파트너십 관계를 맺게됐다는 의미를 지닌다. 클로케그룹이 먼저 SK바이오사이언스 지분 확보를 제안했다는 후문이다.
IDT에 대한 남은 40% 지분을 엑시트하지 않고 그대로 가져가면서 경영에 일정부분 참여할 예정이다. 경영권을 쥔 쪽은 SK바이오사이언스지만 양사가 공동경영하는 방식으로 IDT를 성장시켜가자는 합의를 이뤘다.
클로케그룹은 의약품 충진 및 포장 등 소부장 사업을 영위하는 곳으로 3대째 경영을 이어오고 있다. SK바이오사이언스 입장에서는 클로케그룹의 글로벌 백신 및 바이오 소부장 기술력을 함께 확보할 수 있어 든든한 우군을 얻게 된 셈이다.
또 클로케그룹으로부터 757억원을 받으면서 IDT 인수 자금도 일부 보전할 수 있게 됐다. SK바이오사이언스가 이번 딜에 실제 투입하는 자금은 2633억원으로 줄어든다.
안재용 SK바이오사이언스 사장은 27일 진행한 기자간담회에서 "오랜 기다림 끝에 참 좋은 파트너를 만났다고 생각한다"며 "클로케 패밀리와 공동경영 형식으로 IDT 가동률을 높여나가는 동시에 IDT의 기술과 설비는 CGT로 SK가 나아갈 수 있는 앵커(리딩)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Policy Radar]금융당국, SKT 사태 '비상대응본부' 구성
- [은행경영분석]농협금융, 예대업 약화…낮아진 비은행 기여도 '설상가상'
- [여전사경영분석]우리금융캐피탈, 대손비용 부담 확대로 실적 개선 제동
- [금융 人사이드]캠코 사장 단독후보에 정정훈 전 세제실장…'자본확충' 첫 시험대
- [은행경영분석]제주은행, 90% 넘는 지역 의존도…가파른 연체율 상승세
- [은행경영분석]BNK금융, 건전성 지표 저하 '밸류업 복병' 부상
- [금융사 KPI 점검/하나은행]본사 정책 평가 강화, '건전성·손님만족' 항목 힘줬다
- [Policy Radar]보험업법 규제 기준 킥스비율 130%로 낮아진다
- [교보생명 지주사 전환 전략 점검]지주사 전환 단초 된 SBI그룹 동맹 강화
- 밸류업에 진심인 신한금융, 장기 성과급 80% 연동
정새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차바이오텍 유상증자 용처 분석]R&D 자금 사수 배경, 신규 영입 남수연 사장에 쏠린 기대
- [AACR 2025 프리뷰]만성질환에서 항암으로 뻗는 대웅제약, 3종 신약 '출사표'
- [2025 제약·바이오 포럼]한국 협업 기회 찾는 노바티스, 혁신 '기전·모달리티' 주목
- 피노바이오, 최성구 전 일동제약 사장 사외이사 영입
- 조병철의 다안바이오, 또 기술이전 지씨셀에 'CAR 항체'
- [AACR 2025 프리뷰]오픈이노베이션 입증의 시간, 리가켐·에이비엘·루닛 주목
- [AACR 2025 프리뷰]일동제약의 신약 첨병 아이디언스, 4종 물질 첫 공개
- 성숙기 접어든 KDDF, 지원과제 늘리고 투자유치 스퍼트
- [AACR 2025 프리뷰]신약 개발 속도내는 제이인츠바이오, 연구 2건 출격
- [AACR 2025 프리뷰]국내 항암 신약 투톱 유한양행·한미약품, '최다' 기록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