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작법인 재무점검]여천NCC, 이익 3.7조중 3.4조 배당…91%가 한화·DL로②미래 재원 대신 현재 배당에 주력…불황기 재무 리스크 확대 요인 지목
박기수 기자공개 2024-10-08 08:15:22
[편집자주]
생존을 위해 서로 투쟁하는 기업들도 이해관계만 맞으면 손을 잡는다. 치열하게 자리 싸움을 하던 경쟁사들이 손을 잡으면 때로 '1+1=2' 이상의 시너지 효과가 나기도 한다. 지분 투자를 통해 세워진 합작법인의 이야기다. 하나의 법인이지만 주요 주주들은 둘 이상이기에 합작법인의 재무 전략은 통상의 법인과 다른 경우가 많다. THE CFO는 업종별 주요 합작법인들의 경영과 재무의 현주소를 살펴본다. 더불어 합작법인을 움직이는 이사회도 들여다본다.
이 기사는 2024년 10월 02일 07시10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여천NCC의 재무 상황이 악화한 배경 중 하나로 모회사로의 과도한 배당이 꼽힌다. 여천NCC의 주주인 DL케미칼과 한화솔루션은 한 해 벌어들인 이익의 대부분을 배당으로 집행해 왔다. 한해 이익보다 많은 배당금을 주주에게 지급할 때도 있었다. 신사업 진출이나 유사시를 대비한 기초체력이 남아있을 수 없는 구조였다. 여천NCC는 미래를 도모하는 성장 기업이라기 보다는 DL그룹과 한화그룹의 '현금 창고'였다.3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여천NCC는 사업연도 기준 2009년부터 2020년까지 한 해도 빠짐없이 배당을 집행했다. 12년 동안 여천NCC가 주주들에게 지급한 배당금만 3조4000억원이다. 이는 같은 기간 기록한 순이익 3조7372억원의 91% 수준이다.
2010년대 초중반 잠시 다운사이클이 왔을 당시에는 한해 순이익보다 많은 금액을 배당하기도 했다. 여천NCC는 2011~2014년 누적 순이익으로 5875억원을 기록했는데 당시 누적 배당지급액은 8000억원으로 순이익을 훨씬 상회했다.
2010년대 중후반 초호황기가 찾아왔을 때는 배당이 절정에 달했다. 2016~2018년 여천NCC의 누적 순이익 1조7139억원 중 86%인 1조4700억원이 모회사로 수혈됐다.
본격적인 불황이 시작된 2021년부터 배당금 집행이 중지됐다. 심지어 올해 상반기부터는 배당가능이익이 '0'을 넘어 '마이너스(-)'로 전환했다. 작년 말까지 716억원의 이익잉여금 체제였던 여천NCC는 올해 상반기 '결손금 50억원'으로 전환했다.
배당에 힘쓰느라 자본적지출(CAPEX) 등 시설투자는 후순위였다. 같은 기간(2009~2020년) 여천NCC의 CAPEX 지출액은 배당지급액의 56% 수준인 1조9052억원에 그친다.
과도한 배당 탓에 여천NCC의 현금 사정은 여유로웠던 적이 드물었다. 2010년대부터 현재까지 연말 기준 자산총계 대비 현금성자산 비율이 10% 이상 됐던 해는 2015년(13.6%), 2016년(14.0%), 2017년(16.3%) 등 3개년에 그친다. 심지어 2021년과 작년 말 현금성자산은 1억원 미만이었다.
업계 관계자는 "여천NCC는 이익이 나면 그 즉시 대규모 현금이 주주 회사들로 빠져나갔다"라면서 "호황기에는 문제가 없었지만 사업 불황기가 길어지면서 재무적으로 여유가 없어진 상황"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NPL 자금조달 리포트]대신F&I, 공격적 투자에 단기조달 확대…NPL 매입 '적기 대응'
- [교보생명 SBI저축 인수]1위 저축은행 PBR 0.95배, 상상인그룹은 '난색'
- [Policy Radar]금융당국, SKT 사태 '비상대응본부' 구성
- [은행경영분석]농협금융, 예대업 약화…낮아진 비은행 기여도 '설상가상'
- [여전사경영분석]우리금융캐피탈, 대손비용 부담 확대로 실적 개선 제동
- [금융 人사이드]캠코 사장 단독후보에 정정훈 전 세제실장…'자본확충' 첫 시험대
- [은행경영분석]제주은행, 90% 넘는 지역 의존도…가파른 연체율 상승세
- [은행경영분석]BNK금융, 건전성 지표 저하 '밸류업 복병' 부상
- [금융사 KPI 점검/하나은행]본사 정책 평가 강화, '건전성·손님만족' 항목 힘줬다
- [Policy Radar]보험업법 규제 기준 킥스비율 130%로 낮아진다
박기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소명해야 할 것
- [조선업 리포트]삼성중공업, 3년만에 FCF '플러스' 전환…4883억 순상환
- [조선업 리포트]삼성중공업, 관과의 '연결 고리' 강화
- [밸류업 성과 평가]DB손보, 금융권 2위…메리츠에 모자랐던 '한 끗'은
- [밸류업 성과 평가]포스코홀딩스, 업황 악화에 고전…밸류업 '하위권'
- [Financial Index/한화그룹]그룹 전반 차입 부담 심화, 에어로 유증만으로 될까
- [밸류업 성과 평가]'10위권 밖' HMM, 마의 PBR 1배 '벽'
- [밸류업 성과 평가]HD현대일렉트릭, 밸류업 1위 영예…실적·주가 완벽 뒷받침
- [밸류업 성과 평가]코스닥 기업 80%가 TSR 마이너스, 밸류업 의지 절실
- [조선업 리포트]사업부에 힘 싣는 한화오션, 관료 출신 사외이사도 영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