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앤디파마텍, 파트너사 '멧세라' 생산공장 확보 의미 인도 내 제조기지 건설 계획, GLP-1 치료제 상업화 포석
한태희 기자공개 2024-10-10 09:06:03
이 기사는 2024년 10월 08일 08시2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디앤디파마텍의 파트너사 멧세라가 미국 제약사 암닐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자체 개발 중인 GLP-1 수용체 작용제의 제조기지 건설 등 공급 관련 계약이다.파트너사의 생산 이슈가 디앤디파마텍에도 호재가 될 전망이다. 디앤디파마텍과 멧세라가 공동 개발 중인 GLP-1 경구제의 상업용 생산으로 확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멧세라는 최근 미국 의약품 개발, 제조, 유통사 암닐과 전략적 협약을 맺었다. 비만 및 대사질환 신약의 상업 규모 생산을 염두에 둔 계약이다. 암닐은 멧세라가 개발 중인 GLP-1 수용체 작용제의 미국, 유럽 내 우선 공급 파트너 역할을 맡게 된다.
암닐은 이번 계약을 통해 인도에 펩타이드 합성, 무균충전 관련 두 개의 새로운 제조 시설을 건설한다. 4~5년간 1억5000만달러(2002억원)에서 2억달러(2670억원)을 투자한다. 연내 새로운 부지에 착공해 비만 치료제 개발과 상업화 초석을 마련한다.
세계적인 비만약 수요 폭증으로 이에 대응하기 위한 공급 관리도 비만치료제 개발에서 주된 과제로 꼽힌다. 치료제의 효능과 안전성 유지를 위한 전문 제조 공정이 필요하기 떄문이다. 멧세라가 GLP-1 계열 비만치료제의 상업화를 염두에 둔 선제적 생산시설 확보에 나섰다는 점에 주목된다.

디앤디파마텍의 최대 매출처이자 협력사 멧세라는 비만 치료제의 신속한 개발과 상용화 목적으로 만들어진 바이오벤처다. 제약바이오 전문 VC(벤처캐피탈)인 아치벤처파트너스와 포퓰레이션헬스파트너스가 공동 투자해 2022년 설립했다. 구글이 설립한 GV, 아랍에미리트연합(UAE) 국부펀드 무바달라(Mubadala) 투자청, 소프트뱅크 등이 주요 주주다.
작년부터 디앤디파마텍과 공동 개발 중인 경구용 GLP-1 계열 비만 치료제 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DD02S, DD03, DD07, DD14, DD15, MET06 등 디앤디파마텍의 경구용 펩타이드 품목 6개를 도입했다.
이 중 DD02S은 국내 기업이 개발 중인 경구용 비만 치료제로는 개발 속도가 가장 빠른 제품이다. 시판 중인 경구용 제품은 노보노디스크의 리벨서스가 유일한데 흡수율이 0.5%에 불과하다. DD02S는 전임상 단계에서 리벨서스 대비 10배 이상 높은 흡수율을 나타냈다. 연내 글로벌 임상 1상 진입을 목표로 한다.
최근에는 자체 개발한 GLP-1 수용체 작용제 MET097의 임상 1상 결과를 발표했다. 비당뇨성 비만 및 과체중 성인 125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에서 다양한 용량에 따른 체중 감소 효과를 확인했다. 연내 임상 2b상에 나설 계획이다.
디앤디파마텍 관계자는 "파트너사 차원에서 경구제든 주사제든 대량 생산이나 상업화를 염두에 둔 생산시설을 확보한 것"이라며 "멧세라의 자체 개발 제품에 경구화 플랫폼을 적용하는 방안도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김화진칼럼]영국 RBS
- '환경 변화 고려' CJ제일제당, 그린바이오사업 계속 키운다
- [DN솔루션즈 IPO]고심끝 상장 철회…비우호적 시장 환경에 '결단'
- [i-point]신테카바이오, ‘2025 글로벌 IP 스타기업’ 선정
- [i-point]채비, 서울시 전기버스 충전 인프라 확대 사업자 선정
- [영상/Red & Blue]현대엘리베이터 '주주환원, 리포트, 실적' 삼박자
- 기지개 켜는 인성정보의 '헬스케어'
- [i-point]인텔리안테크, 정부 저궤도 위성통신망 구축 '핵심'
- [NHN 리빌딩]'아픈 손가락' 콘텐츠, 더디지만 잠재력 확신
- [영상]‘메타가 탐낸’ 퓨리오사AI의 백준호 대표에게 들었다…회사의 향후 계획은
한태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동성제약 오너십 체인지]갑작스레 바뀐 최대주주, 지분 이은 경영권 변화 예고
- [thebell interview]윤석근 일성아이에스 회장 "3인 대표, 미래 CEO 포석"
- [인투셀 IPO]플랫폼의 한계 '자체신약'으로 상쇄…밸류 핵심 '연내 IND'
- '오너의 귀환' 마크로젠, 해외 겨냥…한몸 된 '소마젠' 활용
- HK이노엔의 케이캡, 1조 매출 키 美 진출 '3상 유효성 입증'
- 동성제약 최대주주 브랜드리팩터링, '셀레스트라' 연계성
- '엑스레이 그리드' JPI헬스케어, 예심 청구 'IPO 시동'
- [2025 제약·바이오 포럼]K-바이오 생존전략 1시간의 토론, 한정된 자원 활용법은
- [바이오텍 유증·메자닌 승부수]JW중외제약 프로젠 SI 합류, 특약에 명시된 '우선협상권'
- '휴젤 알짜 자회사' 아크로스, 1년만에 공개매수 재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