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등급 분석]1보 전진 성공한 LG엔솔 '갈 길 멀다'MSCI ESG 등급 BBB로 한 단계 상향, 지배구조·폐기물 '미흡'
김위수 기자공개 2024-10-21 11:11:16
이 기사는 2024년 10월 21일 08시1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이 글로벌 환경·사회·지배구조(ESG) 평가 점수 개선에 일부 성공했다.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이 올해 LG에너지솔루션에 부여한 ESG 등급은 지난해보다 한 단계 높아진 BBB로 나타났다.아직 LG에너지솔루션의 ESG 등급은 '보통' 수준에 머무르는 상황이다. LG에너지솔루션 자체적으로도 개선점을 찾으며 ESG 경영 수준을 높이기 위해 노력 중이다.
◇MSCI ESG 등급 첫 상향
MSCI는 올해 LG에너지솔루션의 ESG 등급으로 'BBB'를 책정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2022년 기업공개(IPO) 이후 지난해까지 2년간 MSCI로부터 ESG 등급으로 BB를 받아왔다. 올해 처음으로 등급 상향에 성공하며 BBB로 올라서게 됐다.
BBB는 MSCI의 ESG 등급 중 네 번째로 높은 등급이다. 자동차 부품 산업을 펼치는 141개 기업 중 상위 38% 이내에 든다는 뜻이기도 하다. 등급이 개선되기는 했지만 갈 길이 먼 상황이다. LG에너지솔루션과 전기차 배터리 시장을 놓고 경쟁하는 중국 CATL은 올해 AA 등급으로 올라섰다. 상위 14% 이내인 AA 등급부터는 ESG 경영 수준이 동종업계 '리더' 수준이라고 평가된다.

구체적인 평가 항목을 살펴보면 LG에너지솔루션은 노무관리(Labor Management)와 청정기술 개발(Opportunities in Clean Tech) 부문에서는 경쟁사들을 앞서간다고 평가됐다. 반면 MSCI는 LG에너지솔루션의 기업 지배구조(Corporate Governance)와 제품 안전 및 품질(Product Safety & Quality)에 대한 관리는 미흡하다고 봤다.
이사회 의장을 대표이사가 겸직하는 이사회 구성 등이 지배구조에 대한 낮은 평가의 배경으로 지목된다. 단 이는 LG그룹의 전반적인 기조와 맞물려있다. LG그룹 대부분 계열사들은 신속하고 효율적인 이사회 운영을 이유로 대표이사가 이사회 의장을 맡고 있다. 실제 ㈜LG는 물론 LG화학·LG전자·LG디스플레이 등 주요 계열사들이 지배구조에 대해서는 모두 동종업계 경쟁사들에 비해 뒤처진다고 MSCI는 평가하고 있다. 미흡하다고 평가된 제품 안전 및 품질은 과거 배터리 화재 당시 제소된 집단소송이 끝나지 않은 영향으로 보인다.
◇ESG경영 개선 노력, 국내 등급에도 관심
LG에너지솔루션은 이사회에 ESG위원회를 설치해 ESG 경영 기조를 정착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 자체적으로도 개선할 부분을 모르는 것은 아니다.
실제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발간한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통해 ESG 중대 이슈 1순위로 온실가스 배출 및 기후변화 리스크를, 2순위로 폐기물 관리 및 순환 경제를 꼽았다. 이중 폐기물 관리 및 순환경제는 MSCI가 '보통'으로 평가한 '유독성 물질 배출 및 폐기물(Toxic Emissions & Waste)' 항목과 관련이 있다. 또 MSCI가 미흡하다고 평가한 제품 품질 및 안전 역시 LG에너지솔루션 자체적으로 꼽은 ESG 중대 이슈 중 4위에 위치해있다.
폐기물 관리 및 순환경제 이슈에 대응하기 위해 배터리 클로즈드 루프 체계 구축 및 친환경 포장재 도입을, 제품 품질 및 안전 이슈에 대응하기 위해 친환경 인증 및 주수소화(냉각소화) 방식 도입을 대응책으로 제시했다.
LG에너지솔루션의 ESG 등급 개선에 성공할지 주목된다. 또 올해 중 한국ESG기준원(KCGS)의 LG에너지솔루션에 대한 첫 ESG 평가 결과를 발표할 전망이다. 글로벌 ESG 등급보다 KCGS 등급에 국내 여건이 더 잘 반영된다는 평가다. 100%는 아니지만 국내 기업들 중에서는 MSCI보다 KCGS에서 받은 등급이 더 높은 곳들이 많다.
LG에너지솔루션 측은 "국내외 자본시장의 ESG 평가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며 "특히 ESG평가가 기업 공시 및 홈페이지, 기관 보고서를 통해 공개된 데이터 기반으로 진행되는 점을 고려해 ESG 전략 추진 및 주요 성과에 대한 정보공시를 강화함으로써 LG에너지솔루션의 ESG 경영 수준에 합당한 평가를 받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김화진칼럼]영국 RBS
- '환경 변화 고려' CJ제일제당, 그린바이오사업 계속 키운다
- [DN솔루션즈 IPO]고심끝 상장 철회…비우호적 시장 환경에 '결단'
- [i-point]신테카바이오, ‘2025 글로벌 IP 스타기업’ 선정
- [i-point]채비, 서울시 전기버스 충전 인프라 확대 사업자 선정
- [영상/Red & Blue]현대엘리베이터 '주주환원, 리포트, 실적' 삼박자
- 기지개 켜는 인성정보의 '헬스케어'
- [i-point]인텔리안테크, 정부 저궤도 위성통신망 구축 '핵심'
- [NHN 리빌딩]'아픈 손가락' 콘텐츠, 더디지만 잠재력 확신
- [영상]‘메타가 탐낸’ 퓨리오사AI의 백준호 대표에게 들었다…회사의 향후 계획은
김위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AI코리아 상장 목전, 한국증권 스팩 활용 속도
- [아이나비시스템즈 IPO]자율주행 테마로 상장 채비, 앞으로 남은 과제는
- [Deal Story]대한제당 공모채 복귀전, '금리+안정성' 통했다
- [로킷헬스케어 IPO]공모가 밴드 하단, 희망 범위내 결정 '안도'
- [IPO 모니터]예심 청구 줄잇는 대신증권, 실적 개선 '청신호'
- [아이티켐 IPO]'테슬라 트랙'에 예비심사 장기전, 상장 완주할까
- [원일티엔아이 IPO]밸류보다 상장 완주 방점, 오너가 지분매각 "걱정 말라"
- [발행사분석]GS칼텍스, 정유업 부진에도 AAA급 금리 확보할까
- [Company & IB]키움증권, GS칼텍스 회사채 주관사단 첫 합류
- [원일티엔아이 IPO]글로벌 친환경 기업 목표, 에너지 전환기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