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법무실장에 김지식 전 네이버파이낸셜 부사장 규제·송사 포함 대내외 활약 주목, 이사회 참여 경험도 눈길
이민우 기자공개 2024-10-23 07:46:09
이 기사는 2024년 10월 22일 15시4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네이버가 신임 법무실장으로 김지석 전 네이버파이낸셜 부사장을 선임했다. 네이버 법무실장은 사내외 법무관련 업무를 총괄하는 자리다. 김 신임 법무실장은 김앤장 출신으로 8년 가까이 네이버 및 관계사에서 몸담았던 적임자다.21일 업계에 따르면 김 전 네이버파이낸셜 부사장은 최근 네이버 법무실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김 법무실장 이전엔 최수연 네이버 대표와 하버드 동문으로 법무법인 율촌 출신을 거쳤던 윤소연 변호사가 맡고 있었다. 윤 변호사는 올해 하반기 퇴사했다.
네이버 관계자는 “김 부사장이 최근 네이버 법무실장으로 자리를 옮겼으며 네이버파이낸셜 법무실장의 경우 내부 승격하는 방식으로 공백을 메웠다”고 설명했다.
김 법무실장은 서울대 출신으로 김앤장을 거쳐 2016년부터 네이버와 관계사에 근무했다. 네이버파이낸셜에는 2022년 말 사내이사로 합류했다. 이사회에 참여하며 경영의사결정에 관여했다. 정부 규제 정책 최전선에 위치한 금융, 핀테크 관련 법무를 담당했던 만큼 M&A나 규제 대응, AI거버넌스 등 폭넓은 분야의 경쟁력을 높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네이버 수장인 최 대표와 살림꾼 김남선 최고재무책임자(CFO) 모두 변호사 출신이란 점에서 김 부사장과 맥이 닿는다. 최 대표는 법무법인 율촌, 김 CFO는 미국 대형로펌 크라벳·스웨인&무어에서 활동했다.
김 법무실장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건 네이버가 사업 확장과 성장에 따라 최근 몇 년간 소송 건수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는 점에서다. 올해 상반기까지 최근 4년 동안 추세를 보면 네이버의 소송 건수는 꾸준히 증가해왔다. 올해 상반기 말 원고 소송 7건, 피고소송 49건으로 2020년 말 대비 소송 건수가 총 56건 늘었다.
재판 상에서 손해배상금으로 제기된 전체 소송가액도 최근 1년 사이 수백억원 수준까지 늘었다. 네이버 소송가액 규모는 2020년 말 248억원에서 2021년 37억원으로 감소했으나 이후 꾸준히 증가했다. 올해 상반기 말 기준 394억원에 달한다.
네이버가 시총 27조원, 연간 영업이익 1조원 이상의 대기업이지만 패소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수백억원대 배상금과 추가 송사 부담은 결코 가볍지 않다. 손해배상금은 영업이익엔 영향을 주진 않지만 순이익 감소를 부르고 불리한 판결을 받을 시 비슷한 주제의 소송에 추가로 피소될 수도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세아제강지주의 변신]김철홍 전략담당 이사 "주주들, 하반기 해상풍력 성과확인"
- [thebell desk]무안공항 참사, 국토부 책임은 없을까
- [i-point]코스모신소재, 동종업계 유일 5년 연속 흑자
- [i-point]신테카바이오, AI 언어모델 기반 ‘LM-VS’ SaaS 런칭
- [Deal Story]한솔케미칼 4년만에 공모채 복귀전 '달라진 존재감'
- 금감원 부원장보, 증권사 CFO 호출…무슨 얘기 나눴나
- KB금융의 '호부호형'
- [Gallery Story]서정아트, 이태원 분점 추진 '갤러리 비즈니스 키우기'
- [갤럭시 언팩 프리뷰]삼성의 폼팩터 혁신, XR 기기 출격 주목
- [갤럭시 언팩 프리뷰]글로벌 1위 키워드 'AI·라인업 확대'
이민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AX 박차' KT, LG CNS·MS 출신 이재훈 전문위원 영입
- 블록체인 시장 '불균형', 규제 완화·사업자 육성 시급
- [텔코 스팸피싱 리스크]칼 뽑은 정치권·규제당국, 통신사 과징금 부담 '수면 위'
- 네이버 치지직, 채널포인트 도입 추진 '베팅시스템은 예외'
- 네카오, 선불충전 확대 순항…경쟁심화·수익 규제 향방 주목
- [텔코 스팸피싱 리스크]'스팸 공화국' 오명, 1인당 월 평균 수신 역대 최대
- [크립토 컴퍼니 레이더] 박병열 전 COO, 코인원 떠나 해시드행 '2년 동행 끝'
- [카카오모빌리티는 지금]'아웃바운드 성과' 글로벌 사업, 외국인 고객 확보 '과제'
- [Policy Radar]주파수 재할당 대가, 구체적 산정 방법 법제화 추진
- 볼트업, LGU+ 효율화·성과 창출 '수익 확대 박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