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광약품, 인오가닉 R&D 전략의 변화 '내부역량' 강화 방점 정상화 작업 일환으로 오가닉으로의 전환, 자체 R&D 역량 활용에 집중
정새임 기자공개 2024-10-28 08:32:06
이 기사는 2024년 10월 25일 08:30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OCI그룹이 부광약품 경영에 적극적으로 개입한 지 1년. 빠른 속도로 실적 정상화를 이루는 동시에 R&D 전략에도 변화를 주기 시작했다.막대한 자원을 투입해 외부에서 연구개발(R&D) 역량을 쌓았던 '인오가닉' 전략에서 자체 역량을 강화하는 '오가닉'으로 전환을 꾀한다. 불필요한 비용을 절감하고 효율적으로 성과를 내기 위한 결단이다.
◇사방으로 뻗은 해외 R&D 투자…막대한 비용 부담으로
부광약품은 최근 내부적으로 R&D 전략 방향을 새롭게 수립했다. 해외 집중됐던 R&D 투자 비중을 낮추고 자체 역량을 강화하는 방향이다. 인오가닉에서 오가닉으로의 전환이다.
이제영 광약품 대표는 최근 진행한 컨퍼런스콜에서 "자체 R&D 역량을 강화하고 국내 오픈이노베이션 등 다양한 개발협력을 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OCI그룹에 편입되기 이전부터 부광약품은 R&D 역량을 높이기 위해 활발한 외부 투자를 단행했다. 대표적인 사례가 2014년 인수한 덴마크 바이오 벤처 '콘테라파마'다. 33억원을 들여 콘테라파마를 자회사로 편입시켰다.
중추신경계(CNS) 신약 역량을 강화하는 목적이었다. 당시 부광약품은 "CNS 신약에 대한 해외에서의 연구활동을 강화하기 위한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이후로도 국내 R&D 전문 자회사 다이나세라퓨틱스와 면역항암제 신약 개발을 위한 조인트벤처(JV) 재큐어 테라퓨틱스를 설립하고 해외 바이오텍 및 연구기관과 공동 R&D 협약을 맺는 등 공격적인 투자를 했다.
매출 1000억원대 기업 규모에 맞지 않게 지나친 해외 R&D 투자를 벌이면서 막대한 비용은 부담이 됐다. 특히 작년을 기점으로 매출 성장세가 꺾이고 적자로 전환하며 R&D 비용은 감당하기 힘든 수준이 됐다.
◇작년 R&D 비중 31%, 전략 변화 계기…국내로 눈 돌리는 부광
부광약품은 매년 적게는 매출액의 13%, 많게는 20% 비용을 R&D에 투입했다. 지난해 매출액이 1252억원으로 전년 대비 34% 급감한 반면 R&D 비용은 최고치인 400억원에 육박했다. 작년 매출액 대비 R&D 비중은 31.4%에 달했다.
영업적자 강구책을 마련해야 할 시점에서 R&D 전략 변화도 불가피해졌다. 올해 기대를 모았던 콘테라파마의 파킨슨 이상행동 치료제 임상 2상 결과도 아쉬움을 남기면서 포트폴리오 조정도 필요한 시점이 됐다.
이번 전략 변화의 방점은 '비용효율의 정상화'에 찍힌다. 국내서 진행하는 것이 더 저렴하다면 자체적으로 진행해 불필요한 비용을 절감한다는 의미다.
물론 해외 R&D 역량을 포기하는 건 아니다. 내부로 돌릴 필요가 있는 부분만 전환하면서 인오가닉·오가닉 전략을 적절히 섞겠다는 의도다.
개발에 오래 걸리는 신약은 해외 중심으로 진행하고 내부에선 비교적 빠르게 개발을 완료할 수 있는 개량신약이나 난이도가 높지 않은 신약 개발을 선별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국내 기업과의 오픈이노베이션도 꾀한다.
이 대표는 "R&D 전략 변화를 결정한 건 내부적으로 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면 자체적으로 진행함으로써 비용효율적으로 성과를 내기 위한 것"이라며 "완벽히 인오가닉에서 오가닉으로 스위치하는 것은 아니고 같은 효과를 내면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부분을 선별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대동, 우크라이나에 트랙터 수출 본격 개시
-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법안 점검]상법개정안 탄력 붙나…정부와 이견 조율 '관건'
- [사무관리사 경영분석]우리펀드서비스, 수탁고 100조 '체면치레'
- [인사이드 헤지펀드/Monthly Review]신규 설정액 1조 돌파…부동산 전략 견인
- [인사이드 헤지펀드/Monthly Review]PBS 굳건한 선두 'KB', 치고 올라오는 'NH'
- NH증권, '삼성' 시니어PB 스카우트…전문성 키운다
- [인사이드 헤지펀드/Monthly Review]수익률 반등 이끈 멀티전략…라이프운용 두각
- [인사이드 헤지펀드/Monthly Review]시장 볼륨 순증 전환, 다시 54조 고지 밟았다
- [신규 ETF 리뷰]"삼성SDI 비중 20%"…차세대 배터리 '집중투자'
- [배당ETF 돋보기]'KODEX 일본부동산리츠', 높은 연간배당률에 순자산 '쑥'
정새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삼성바이오로직스 잇단 잭팟, 신규투자 재무체력 '선순환'
- '캐파·反우시' 훈풍 삼성바이오로직스, 수주잔고 10조 시대
- [제약사 넥스트 오너십]동성제약, 불완전 나원균 체제…힘 보탤 '지분승계' 퍼즐
- [2025 제약바이오 모멘텀 점검]오스템임플 성장동력 '오스템파마' 성형시장 진출 원년
- 두번째 ADC 딜 주인공 '에임드바이오', FGFR3 차별화 핵심
- [2025 제약바이오 모멘텀 점검]대웅제약, '나보타' 힘든 치료시장 진출 '묘수'는 시밀러
- [thebell note]벼랑 끝 '흙수저 바이오텍'
- [2025 제약바이오 모멘텀 점검]한미약품, 비만약 3상 결과 '평택공장' 문제 해소 핵심
- [제약사 넥스트 오너십]동성제약, 오너 조카 경영승계…젊어진 조직 '혁신 승부수'
- 에임드바이오, 바이오헤이븐에 'ADC' 물질 첫 기술수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