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카드, 수익성 개선 속 연체율 관리 숙제 3Q 누적 순이익 1402억, 1년 새 19.7% 증가…연체율 1.78%
김서영 기자공개 2024-10-28 12:38:21
이 기사는 2024년 10월 25일 17시1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박완식 우리카드 사장이 수익성 개선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올 3분기 말 기준 누적 순이익이 1400억원을 넘으면서 1년 새 20%가량 증가했다. 카드론 취급액이 늘면서 순이익 증가를 이끌었단 분석이다.다만 연체율 상승세가 멈추지 않는다는 건 여전한 고민거리다. 4대 카드사 가운데 우리카드만 유일하게 연체율이 상승해 1% 후반을 기록했기 때문이다. 대손충당금 규모도 전년 동기와 비교해 10% 넘게 증가한 상황이다. 올 연말 건전성 관리에 성과를 거둘지 주목된다.
◇카드론이 이끈 순이익 증가, 누적 순이익 1402억
25일 우리금융그룹은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을 열고 우리카드 경영 실적을 발표했다. 올 3분기 순이익은 560억원을 기록했다. 누적 기준으로는 1402억원의 순이익을 보였다. 이는 전년 동기(1170억원) 대비 19.7% 증가한 수치다.
우리카드는 저수익 자산 비중이 높았던 금융자산 포트폴리오를 고수익인 카드금융 자산 중심으로 리밸런싱함으로써 3분기 수익성을 끌어올렸다. 작년 말 4459억원으로 53%였던 금융자산 중 카드금융자산 비중을 올 3분기 4970억원으로 61%까지 끌어올려 순이익 증가를 이끌었다.
우리카드는 누적 순이익 기준으로 비은행 계열사 가운데 1위 자리에 올랐다. 순이익이 증가하며 2위를 기록한 우리캐피탈과의 격차를 더 벌렸다. 우리캐피탈은 올 3분기 누적 순이익 1157억원을 기록했다. 우리벤처파트너스가 330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하며 우리캐피탈에 이어 3위에 올랐다.
올해 상반기에 이어 신용카드 수수료이익이 크게 늘었다. 신용카드 수수료는 올 3분기 누적 기준 1550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동기(1060억원)와 비교해 46.2% 뛴 값이다. 구매전용카드를 제외하고 신용카드와 체크카드를 합산한 카드이용 실적도 소폭 증가했다. 3분기 말 카드이용 실적은 68조1000억원으로 1년 새 1.6% 증가했다.

◇4대 카드사 중 유일하게 연체율 상승세, 이자부자산 감소
수익 개선에 불구하고 연체율이 상승하며 우려를 낳았다. 올 3분기 말 기준 우리카드 연체율은 1.78%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1.36%)와 비교해 0.42%p, 전 분기(1.73%)와 비교해 0.05%p 상승한 수치다.
무엇보다 4대 카드사 중 유일하게 우리카드 연체율만 상승했다. 같은 기간 신한카드의 연체율은 1.33%로 1년 새 0.03%p 하락했다. KB국민카드는 1년 전 수준을 유지하며 연체율 1.29%를 기록했고, 삼성카드는 0.05%p 하락한 0.94%로 나타났다.
우리카드 연체율 상승세가 이어지며 건전성 관리가 필요하단 지적이다. 연체율은 2021년 말 0.65%로 떨어졌으나 2022년 말 1.2%까지 뛰었다. 작년 말 연체율이 1.22%를 기록하며 횡보하는 듯했으나 올 들어 1% 후반까지 연체율이 상승했다.
신용손실에 대한 손상차손 규모도 커졌다. 올해 3분기 말 기준 대손충당금 누적 규모는 3460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작년 3분기 누적 기준 3120억원을 기록한 것과 비교해 10.89% 증가한 값이다. 다행히 영업이익 증가 폭(20%)이 이를 웃돌며 수익성에 부담으로 작용하진 않았다.
이자부자산 규모도 소폭 감소해 연말 수익성 개선에 눈길이 쏠린다. 이자부자산이란 이자를 발생시키는 자산이란 의미로 안정적인 이자수익을 일으키며 돈줄 역할을 하는 자산이다. 규모가 커지고 작아지는 것에 따라 수익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올 3분기 말 이자부자산은 15조7000억원으로 전년 동기(15조8000억원)와 비교해 약 1000억원 줄었다. 전 분기와 비교하면 변화는 없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한국GM, 내수부진에 자산 매각…철수설 재등장하나
- 나이벡, 美 바이오사에 '계약금 109억' 섬유증 물질 기술이전
- 현대차, 아이오닉 시리즈 50만대 벽 넘었다
- [i-point]그리드위즈, 2024년 ESG 보고서 공개 "탄소배출 감축 성과"
- [i-point]빛과전자, 삼성전자 우수협력사 우수상 수상
- [코스닥 상장사 매물 분석]KH그룹, 대양금속 손 떼고 빛과전자 인수 선회
- [i-point]투비소프트, 자연어 모델 활용 프로그램 생성 특허 획득
- [i-point]ICTK, 양자 기술 기업 BTQ와 전략적 MOU
- 한투운용 'ACE 빅테크7+커버드콜', 두자릿수 배당률 눈길
- 이지스운용, 스페인 '네슬레 HQ' 매각…손절 선택
김서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동부건설, 전환사채 조기 상환 '재무구조 개선'
- [건설리포트]금강공업, 모듈러 생산실적 '쑥' 외형성장 이어갈까
- [Company Watch]유창이앤씨, 포스코A&C 모듈러 인수…성장세 탄력받나
- [건설리포트]KCC건설, 원가율 '84%' 수익성 개선 성과
- [건설부동산 테크기업 톺아보기]윤의진 이제이엠컴퍼니 대표 "AI 자동화 구축한다"
- [건설부동산 줌人]허진홍 GS건설 상무, 신설 'CDO' 선임
- [건설리포트]'흑자전환' 코오롱글로벌, 원가 절감 숨은 공신은
- [현대건설 SMR 리포트]미래 성장동력 '차세대 원전', 밸류업 해법될까
- [현대건설 SMR 리포트]'시공부터 전력 판매까지' 차세대 원전 청사진은
- [건설리포트]한신공영, 포항 펜타시티 준공에 재무 개선 '톡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