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K금융 인사 풍향계]김영문 BNK저축 대표 연임…PF 리스크 해소 '고삐'수익성 개선 통한 손실 규모 줄여…관리 중심 내실경영 추진
김경찬 기자공개 2025-01-14 12:46:05
이 기사는 2025년 01월 10일 11시3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김영문 BNK저축은행 대표(사진)가 연임에 성공했다. 김 대표는 건전성관리, 수익성 개선 등의 성과를 인정받아 BNK저축은행을 1년 더 이끌게 됐다. BNK금융그룹은 저축은행 업권의 불황이 지속되면서 김 대표의 유임으로 조직 안정화에 무게를 둔 모습이다.올해 김영문 대표의 최우선 과제는 건전성 회복이다. 건전성 제고를 위해선 선결 과제로 부동산PF 리스크 해소에 나서야 한다. 김 대표는 올해도 건전성관리에 중점을 둔 내실 있는 영업에 나설 전망이다.
◇BNK금융, 경영능력 입증 김영문 대표에 힘 실어
BNK저축은행은 최근 임시주주총회를 열고 김영문 대표를 차기 대표이사로 선임하는 안건을 의결했다. 앞서 BNK금융지주는 자회사CEO후보추천위원회(자추위)를 열고 김 대표를 BNK저축은행 대표 후보자로 추천했다. 연임에 성공한 김 대표의 임기는 1년으로 올해 12월 말까지다.

김영문 대표는 그룹 계열사 대표 경력도 있다. 2022년 BNK시스템 대표로 선임돼 2년간 이끌었다. BNK시스템에서는 그룹의 IT업무를 효과적으로 지원하면서 계획을 초과하는 재무실적을 지속 달성했다. 김 대표는 안정적으로 BNK시스템을 이끌며 경영능력을 인정받아 BNK저축은행 대표로 발탁됐다.
자추위는 김영문 대표에 대해 "BNK저축은행의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기반을 다지며 그룹의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는 적임자"라고 평가했다. 김 대표는 지난 1년간 자산건전성과 수익성을 개선하며 조정영업이익을 확보하는 성과를 거뒀다. 지난해 3분기까지 일반기업회계기준(K-GAAP) 42억원의 순손실을 거뒀으나 전년 동기 대비 106억원 순증했다. 이에 따른 자기자본이익율(ROE)도 6.39%포인트 개선되는 성과를 보였다.

◇PF 관리 전담팀 신설, 올해도 부실채권 조기회수 집중
김영문 대표는 연임에 성공하면서 관리 중심의 내실경영에 힘을 실을 것으로 보인다. 김 대표는 지난해 부임하면서 부동산PF 관리라는 과제를 부여받았다. 이와 관련해 PF를 담당하는 기업금융본부를 기업금융부로 축소했으며 여신관리부 산하에는 PF지원팀을 신설했다. 기업여신 영업에 대한 집중도를 낮추고 PF 리스크관리에 무게를 둔 것이다.
기업금융에서 줄어든 수익성은 가계대출에서 회복하고 있다. BNK저축은행은 자체 개인 신용평가시스템(CSS)을 고도화하고 개인신용대출을 적극적으로 취급하고 있다. 지난해 9월말 기준 가계대출 자산은 8352억원으로 전년말 대비 22.5% 증가했다. 자산 비중은 51.59%로 확대돼 가계대출 중심으로 대출 포트폴리오 재편을 이뤄냈다.
다만 부동산 관련 채권 부실로 대손 부담이 가중돼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부동산 업종 관련 고정이하여신(NPL)은 18.4%로 13%포인트 가까이 상승했다. 부동산PF 사업성 재평가로 NPL자산이 600억원가량 순증하면서 건전성이 급격히 악화된 것이다. 사업장 부실로 연체도 884억원이 발생하면서 연체율이 15.2%에 달했다.
임기 2년차를 맞이한 만큼 김영문 대표의 어깨가 무겁다. 그룹 내에서는 비은행 계열사 부진이 이어지고 있어 BNK저축은행의 실적 반등이 필요할 때다. 손익 실현을 위해선 우선 PF 중심으로 자산건전성 회복이 요구된다. 김 대표는 올해도 부실채권 회수에 집중하며 리테일금융에서 성장 드라이브를 걸 것으로 보인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티몬 공개입찰 참여 '제로', 오아시스 단독 협상
- [i-point]굿닥, 신임 대표로 장영주 CEO 선임
- [i-point]엣지파운드리, 2024년 실적 발표… 기술 고도화 박차
- [i-point]고영, 의료용 엑스레이 식약처 인증 획득
- [i-point]빛과전자, 국제 정보통신 전시회 참가 "인도 시장 공략"
- 에스앤에스텍 허진구 CFO 3연임, 사외이사진 재정비
- [Company Watch]플랜티넷, 7년 연속 외형 성장에 수익 개선까지
- [딥테크 포커스]'최대 매출' 슈어소프트테크, SW 중심차량 확대 수혜
- [i-point]다이나믹디자인, 2024년 감사보고서 제출
- [OK금융 저축은행 M&A]페퍼저축 실사 진행…노림수는 인수전 '가격 협상'
김경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사회 분석]현대커머셜, 경제 전문가 중용…어피너티 2인 체제 지속
- [캐피탈업계 신경쟁 체제]NH농협캐피탈, 범농협 연계 강점 디지털로 극대화 과제
- [캐피탈업계 신경쟁 체제]하나캐피탈, 리테일 상품력 강화 모색…다이렉트 '핵심축'
- [한국캐피탈은 지금]정상철 대표 "중장기 투자금융 강화, 내년 신용등급 상향 기대"
- [한국캐피탈은 지금]안정적 포트폴리오 속 견고한 수익성…대손비용 관리 '핵심'
- [한국캐피탈은 지금]군인공제회 핵심 계열사로…유동성 지원도 '든든'
- [한국캐피탈은 지금]거침없는 성장 가도…정상철 대표 목표 순익 1000억 순항
- OK캐피탈에게 필요한 '터닝포인트'
- 오우택 한투캐피탈 대표 재연임…부동산금융 의존도 해소 과제
- [캐피탈업계 신경쟁 체제]BNK캐피탈, 기업금융 다시 힘 싣는다…영업동력 확보 집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