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재감 돋보인 케이캡, 보령·종근당 실적 희비 갈랐다 케이캡 공동판매 보령 1조클럽 입성…공백 극복 못한 종근당, 매출·영업익 모두 하락
김성아 기자공개 2025-02-05 08:39:32
이 기사는 2025년 02월 04일 08시22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국산 신약 30호 ‘케이캡(성분명 테고프라잔)’이 블록버스터 후보생으로서의 존재감을 톡톡히 드러냈다. 케이캡의 유무가 두 제약사의 실적 희비를 가르면서다.지난해 초부터 HK이노엔과 케이캡 공동판매를 시작한 보령은 사상 최초로 연매출 1조원을 넘겼다. 반면 그간 케이캡 판매사로 톡톡히 수익을 올렸던 종근당은 공백을 메우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전년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떨어지며 매출 역성장을 기록했다.
◇사상 첫 매출 1조 달성한 보령, 케이캡 영향 주효
보령은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 1조171억원을 달성했다고 3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18.3% 늘어난 기록이다. 보령이 연매출 1조원을 넘긴 것은 이번이 창립 이후 처음이다. 영업이익은 705억원으로 같은 기간 3.2% 증가했다.
외형 성장을 견인한 것은 단연 케이캡이다. 지난해 각 분기 전문의약품 질환군별 매출액을 살펴보면 가장 높은 성장세를 보인 질환군은 ‘스페셜티 케어’다. 스페셜티 케어를 구성하는 약품은 △맥스핌 △나제론 △메이액트 △스토카 △케이캡 등이다.

스페셜티 케어군은 케이캡을 도입한 지난 1분기 전년 동기 대비 57% 성장했으며 같은 기간 2분기 80%, 3분기 83% 성장해 4분기 85%의 성장률을 보였다. 2분기부터 맥스핌, 나제론 등 다른 스페셜티 케어군 약품이 의정갈등 지속으로 인해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이 줄었던 것을 감안하면 케이캡의 활약이 두드러진 셈이다.
보령 관계자는 “케이캡 코프로모션은 물론 카나브 패밀리 등 만성질환 품목의 견고한 성장으로 사상 첫 연매출 1조원을 달성하게 됐다”며 “올해는 자체 품목 시장점유율 확대, 자사생산 전환을 마친 LBA 품목들의 이익 기여 및 경영 효율화를 기반으로 매출과 수익성 모두 성장시키는 내실경영에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케이캡 빠진 종근당, 분할 후 첫 매출 역성장
2019년부터 5년간 케이캡의 공동판매 파트너였던 종근당은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 1조5864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5% 감소한 실적을 기록했다. 종근당 매출이 역성장한 것은 2013년 지주사와 분할 이후 처음이다.
케이캡 공동판매 마지막해인 2023년 종근당 매출 중 케이캡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8%로 의약품 가운데 가장 높은 매출액을 보였다. 효자 품목이었던 만큼 케이캡의 공백은 타격이 컸다.

종근당은 곧바로 같은 P-CAB 신약인 대웅제약의 펙수클루 공동판매 계약을 체결하고 셀트리온제약의 간기능 보조제 ‘고덱스’ 판권 계약도 맺으며 매출 공백을 메우려고 했으나 역부족이었다.
영업이익 측면에서는 타격이 더 컸다. 지난해 연결기준 종근당 영업이익은 995억원을 전년 대비 59.7%나 감소했다.
종근당 관계자는 “펙수클루와 고덱스 등 신규 도입 품목의 매출이 호조를 보이긴 했으나 도입 첫 해는 이익률이 높지 않기 때문에 영업이익 성장에는 큰 기여를 하지 못했다”며 “2023년 말 체결된 노바티스와의 CKD-510 기술수출 선급금 인식에 따른 역기저 효과가 가장 주효했고 늘어난 연구개발(R&D) 비용 역시 영업이익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한양학원 급한불 끈다…OK금융서 450억 주담대 실행
- 한양증권 매각, 차입 상환 압박 속 대체 카드는
- CJ프레시웨이, '효율화 방점' 프레시원 합병 결정
- [i-point]한컴, '2025 재팬 IT 위크 스프링' 참가
- [NPL 경영분석]800억 환입에 순익 4배…대신F&I, '나인원한남 효과'로 도약
- [보험사 CSM 점검]메리츠화재, 보수적 계리정책이 견인한 잔액 증가
- [신협 부실여신 관리 점검]'PF 후폭풍' 신협중앙회, 위기대응 역량 '시험대'
- 우리금융캐피탈, 디지털 영업 경쟁력 강화 사업 착수
- [보험사 기본자본 점검]NH농협생명, 경과조치·보완자본 뺀 손실흡수력은
- [신한금융-더존비즈온 맞손]제주은행 주가 급등한 두 가지 이유
김성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덩치 키우는 오름테라퓨틱, R&D·경영지원 인력 늘렸다
- [2025 제약·바이오 포럼]아치벤처가 말하는 K-바이오의 '해외 VC' 협업 조건은
- [큐라클 리바운드 전략]대성팜텍 인수 '일석삼조' 신사업에 재무·매출도 잡았다
- 제노스코, IPO 절차 완주 '시장위원회'도 '미승인'
- [로킷헬스케어 IPO]상용화 장기재생 플랫폼 자신감, 재무건전성 강화 '과제'
- 제노스코 '상장 불발' 이후, 오스코텍·메리츠 복잡한 셈법
- [클리니컬 리포트]동아ST의 메타비아, 위고비 빈틈 겨냥 '비만약' 내약성 입증
- [바이오 스톡 오해와 진실]브릿지바이오 "상폐 임박? 넥스트도 지원군도 있다"
- [큐라클 리바운드 전략]CU06 '원툴 탈피' 맵틱스 콜라보 '사업화 기회' 늘었다
- [큐라클 리바운드 전략]위기도 재기도 'CU06', 시력개선 효과 '자체임상' 승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