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라운제과, 가격 올렸는데 수익성은 하락 왜? 2Q, 매출액 늘고 수익은 하락..출고가 인상이 오히려 '발목'
이 기사는 2011년 08월 16일 18시5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지난 5월 제품 출고가 인상을 단행하며 올 2분기 실적 개선 기대감을 모았던 크라운제과가 시장의 기대치에 못미치는 실적을 내놨다.
16일 공시된 크라운제과의 2분기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매출액은 전년 동기(925억원) 대비 3.13% 상승한 954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대비 29.4% 하락한 87억원, 당기순이익 역시 34% 줄어든 45억원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2분기 매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수익성 저하를 겪게 된 원인은 우선 매출원가의 증대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크라운제과가 올 2분기 지출한 매출원가는 지난해 동기 대비 50억원 가량 상승한 535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판매비와 관리비가 같은 기간 대비 20억원가량 상승한 337억원으로 늘면서 이 역시 전반적인 수익성 하락에 소폭이나마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같은 유인들을 모두 반영하더라도 올 2분기 크라운제과의 실적은 시장의 기대치에 훨씬 못미치는 결과라는 지적도 이어진다. 지난 5월 출고가 인상을 단행하면서 예년 수준 보다도 개선된 실적을 내놀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됐기 때문이다.
실제 올 1분기 크라운제과가 악화된 실적을 내놨을 당시 증권사의 한 애널리스트는 "크라운해태제과가 최근 5~17% 수준으로 상향한 출고가가 2분기에 반영될 것이기 때문에 2분기에는 수익성 향상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하지만 크라운제과의 2분기 실적은 지난 분기 대비로도 모두 하향 곡선을 그린 것으로 나타났다. 크라운제과는 올 1분기 전년 동기(959억원)대비 5.3% 상승한 1009억원의 매출액을 기록했고 영업이익은 108억원, 당기순이익은 51억원을 기록했다.
결론적으로 이같은 크라운제과의 수익성 저하는 제품가 인상 단행이 '양날의 칼'로 작용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제품가 인상 단행이 매출원가를 제품에 어느정도 반영할 수 있었지만, 동시에 매출규모 자체가 줄어드는 악영향을 미쳤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증권사의 한 애널리스트는 "출고가가 2분기에 반영될 것으로 보고 수익성 향상을 기대했지만 가격 상승 요인이 매출 증대를 오히려 억누르면서 수익성 개선을 이루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롯데정밀, 중국산 에폭시 반덤핑관세 '반사이익'
- 박찬구 금호석화 회장, 법적분쟁 다 털어냈다
- [i-point]케이쓰리아이, 엔비디아 연동 플랫폼 개발 착수
- KCGI 세무조사 주시하는 OK금융그룹, 대응 카드 '만지작'
- IBK운용, 공들인 첫 헤지펀드 1년만에 청산
- 날개 단 푸른인베스트먼트, AUM 1700억 돌파
- '성장주+미국채' 조합…신한운용 하이브리드 전략
- "팔란티어 변동성 잡는다"…신한운용 커버드콜 전략 가동
- "한국 시장에 강력한 기반…유럽 인프라로 '알파' 창출"
- [로보어드바이저 릴레이 인터뷰]"AI PB 전면 배치…'B2B2C' 전략 앞장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