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부장펀드 출자사업 2라운드 윤곽 규모 작년 수준…시기는 뉴딜펀드 일정 감안
김병윤 기자공개 2021-01-22 07:41:56
이 기사는 2021년 01월 21일 15:21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KDB산업은행과 한국성장금융투자운용(이하 성장금융)이 지난해 첫 선을 보인 '소재·부품·장비(소부장) 투자 전용 펀드' 출자사업이 올해도 진행된다. 출자규모 면에서는 지난해와 같거나 다소 확대되는 안이 거론된다. 위탁사 선정 시기는 현재 추진되고 있는 뉴딜펀드가 어느 정도 마무리된 뒤로 가닥이 잡히는 분위기다.2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KDB산업은행과 성장금융은 올해 소부장펀드 출자사업을 구체화하고 있다. 출자사업의 구조는 지난해와 대체로 유사할 전망이다. 지난해 출자사업은 정부재정 2000억원으로 모펀드를 만든 뒤 그 가운데 1000억원은 소부장 블라인드펀드(주관기관 KDB산업은행)에, 나머지 1000억원은 소부장 프로젝트펀드(주관기관 성장금융)에 각각 출자했다. KDB산업은행은 자기자본 200억원을 추가, 블라인드펀드의 위탁운용액은 결과적으로 1200억원이 됐다.
올해 정부재정으로 조성되는 모펀드의 규모 역시 2000억원으로 예상된다.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절반씩 블라인드펀드와 프로젝트펀드 출자사업에 투입될 전망이다.
다만 KDB산업은행이 자기자본으로 출자하는 금액은 다소 변동될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KDB산업은행의 소부장 블라인드펀드 출자 금액이 전년대비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며 "정부가 소부장 산업 육성에 적극 나서고 있는데다 지난해 출자사업에 관심이 많았던 점을 감안해 위탁운용액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지난해 총 2곳이 선정된 소부장 블라인드펀드 출자사업에는 9곳이 지원해 성황을 이뤘다. 이 가운데 △SKS PE-한국투자프라이빗에쿼티 △BNW인베스트먼트-IBK기업은행 △킹고투자파트너스-한국투자파트너스 △메디치인베스트먼트 등 4곳이 숏리스트에 이름을 올렸고, △SKS PE-한국투자프라이빗에쿼티 △BNW인베스트먼트-IBK기업은행 등이 위탁사로 뽑혔다.
지난해와 비교해 출자사업의 시기는 다소 늦춰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에는 1월 초 출자사업 공고를 낸 뒤 1월 31일 제안서를 접수받았다. 위탁사 선정은 2월 말 이뤄졌다. 올해는 KDB산업은행과 성장금융이 진행하고 있는 뉴딜펀드 출자사업이 어느 정도 진행된 뒤 소부장펀드 위탁사를 뽑는 일정이 될 수 있다는 게 금융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다른 금융업계 관계자는 "뉴딜펀드의 규모가 워낙 큰 데다 많은 사모투자펀드(PEF) 운용사가 지원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KDB산업은행과 성장금융은 뉴딜펀드 출자사업에 적잖은 자원에 투입할 것으로 보여 소부장펀드 출자사업의 일정은 지난해와 비교해 다소 늦춰질 전망"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소부장펀드 출자사업을 주관하는 두 기관의 주요 인사이동이 최근 있었다"며 "담당자의 교체도 고려해 올해 소부장펀드 출자사업은 비교적 여유 있게 진행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KDB산업은행은 출자사업을 담당하는 간접투자금융실 내 정책펀드운영단을 신설할 전망이다. 정책펀드운영단은 뉴딜펀드·소부장펀드 등 정부 기조에 부합하는 출자사업을 주로 담당한다. 간접투자금융실의 기존 팀장급 인사가 정책펀드운용단장을 맡는 안이 내부적으로 거론되는 분위기다.
PE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소부장 산업 투자에 여러 하우스가 관심을 보이는 분위기"라며 "올해 정책자금이 대규모로 풀리는 만큼 많은 PEF 운용사가 출자사업에 도전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베스트
-
- [VC 펀드분석]타임와이즈 '중소상생조합', 커머스 연결 징검다리
- [ESG Fund Watch]주식형·채권혼합형, 'ESG 투자확대' 삼성전자 '싹쓸이'
- [ESG Fund Watch]'리뉴얼 효과' 한투운용 크레딧포커스 '선두 부상'
- [ESG Fund Watch]‘ESG 전략 추가’ 회사채펀드 덩치 커졌다
- [라스베이거스 리조트 디폴트]'차주-주관사 연결고리' AIP운용에 쏠린 눈
- [2021 정책형 뉴딜펀드]미드캡 강자 큐캐피탈, 새 블라인드펀드 조성 '시동'
- [VC 펀드분석]한투파, 첫 글로벌 문화콘텐츠 펀드 중간 성적은
- [2021 정책형 뉴딜펀드]한국투자파트너스, 1000억 'DNA 펀드' 결성 착수
- [2021 정책형 뉴딜펀드]알바트로스인베, 미래·그린모빌리티 정조준 ‘채비’
- [2021 정책형 뉴딜펀드]얼머스인베스트, 700억대 신규 펀드레이징 박차
김병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라스베이거스 리조트 디폴트]'차주-주관사 연결고리' AIP운용에 쏠린 눈
- 7조 소송전 항소 시한 D-3…안방보험 선택은
- [라스베이거스 리조트 디폴트]주관사 과거 딜, 부실 여부 확인 움직임
- 빗썸 재매각 지지부진…철회 가능성 예의주시
- [라스베이거스 리조트 디폴트]주관사 '워런트 수취' 소송전 이슈되나
- PE운용업계도 ESG 바람…스터디 본격화
- JSR 사업부 매각 프로그레시브 전환…몸값 상승 이끌까
- [라스베이거스 리조트 디폴트]주관사 NH·미래대우 침묵 일관…시장도 갸우뚱
- 크래프톤 액면분할 임박…FI 엑시트 기대감 점증
- 수출입은행 첫 ESG 펀드 출자사업, 흥행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