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 IPO]날개 단 쿠팡이츠, 배달의민족 긴장모드조단위 자금 확보시 확장성 제고, 마케팅경쟁 재점화 예상
원충희 기자공개 2021-02-17 08:12:05
이 기사는 2021년 02월 16일 08:15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쿠팡의 미국 뉴욕증시 상장(IPO)은 자회사 쿠팡이츠에게 날개를 달아줄 호재다. 공모에 성공해 조 단위 자금을 끌어올 경우 쿠팡이츠의 확장성은 한층 제고될 수 있다. 배달앱 시장의 1인자 배달의민족(우아한형제들)과 이를 품은 딜리버리히어로(DH)도 충분히 긴장할 만한 상황이다.지난해 말 공정거래위원회는 DH와 배민의 기업결합 심사 중 쿠팡이츠의 확장성에 대해 박한 평가를 내렸다. 후발주자로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나 수도권 등 일부지역에만 서비스 된다는 점, 전국시장 기준 점유율은 아직 5% 미만이란 점, 고비용의 '1주문 1배달' 모델이라는 점을 들어 배민의 시장지배력을 위협할 정도는 아니라고 봤다.
하지만 쿠팡의 뉴욕증시 데뷔가 성공할 경우 얘기는 달라질 수 있다. 공모로 조달할 자금규모가 10억달러(약 1조원)를 웃돌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 돈의 일부가 쿠팡이츠 사업을 지원하는데 쓰일 것은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일이다.

최근 배달앱 업체들의 경쟁이 불붙으면서 배민과 요기요(딜리버리히어로코리아) 등 기존 업체들이 쓴 마케팅비용이 2000억원에 육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쿠팡이츠 역시 점유율 확대를 위해 이에 상응하거나 그 이상에 자금을 썼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올해부터는 수도권과 일부 광역시에서만 제공되는 서비스를 전국구로 넓히려고 드라이브를 걸었다. 12일부터 대구에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19일 광주에 상륙한다. 상반기 내 경상남도와 충청도, 제주도와 강원도, 전라도로 서비스 지역을 넓히는 게 목표다.
이런 광폭행보는 막대한 비용을 소요하기 때문에 적자는 불가피하다. 그러나 실탄을 받쳐주는 든든한 뒷배가 있다면 불가능한 것도 아니다. 쿠팡이 '계획된 적자'를 통해 이커머스 시장을 파죽지세로 접수한 사례를 보면 쿠팡이츠가 어떤 전략을 갖고 있는지 충분히 가늠할 수 있다.
배민이 DH 품에 안긴 요인도 이 같은 경쟁상황과 연관이 깊다. 배민 역시 창업자(김봉진 이사회 의장)의 지분희석을 감수하며 상당한 투자금을 유치했으나 요기요, 쿠팡이츠와의 출혈경쟁이 계속되자 국내시장 사수에도 벅찬 상태가 됐다. 해외로 확장하면서 사세를 키우려면 확실한 뒷배가 필요했는데 그곳이 DH였던 셈이다.
쿠팡의 IPO가 성공적으로 종료될 경우 국내 배달앱 시장의 마케팅 경쟁은 이전보다 한층 더 강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DH를 등에 업은 배민이라도 안심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
배민 관계자는 "배달앱 사업은 소비자, 업주, 라이더 3곳을 상대로 하는데 경쟁사(쿠팡이츠, 요기요)와 힘든 마케팅 경쟁을 했었다"며 "내부적으로 (쿠팡 IPO에 대해) 긴장은 하고 있겠지만 아직 별다른 움직임은 없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SK E&S, 재무솔루션 과외 받는다
- 뉴지랩파마 "전 대주주 관련 판결 불복, 즉각 항소"
- 성석경 광림 대표, 자사주 매입 "책임경영 실천"
- [건설사 해외사업 점검]대우건설, 순익 1000억 넘은 베트남 ‘스타레이크시티’
- [중견건설사 재무 점검]'홀로서기 2년' 시티건설…외형 줄고 유동성 확대
- [ESG 모니터/그린(E) 리포트]성신양회, 5년만에 배출부채 '제로'
- 조현민 ㈜한진 부사장 주도한 '게임', 단순 마케팅 수단?
- 삼성코닝글라스, 유한회사로 재전환 배경은
- 신성이엔지, 산업용 넘어 바이오 클린룸 공략 속도
- 브이티바이오 "한림제약에 기술이전한 치료제, 식약처 품목 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