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2i 매각한 LX하우시스, 나머지 사업장 상황은 자동차소재·산업용필름 부진 계속...울산·중국·미국 사업부 등도 매각 가능성
이호준 기자공개 2022-06-07 09:33:06
이 기사는 2022년 06월 02일 08:12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슬로바키아 자동차소재 부품사 c2i가 매각되면서 이제 LX하우시스에게 남은 자동차소재·산업용필름 사업장은 세 곳이다. 울산·중국·미국이다. LX하우시스는 공식적으로 “해당 지역 사업부에 대한 추가적인 매각은 현재로선 진행되는 게 없다”고 답하고 있다.하지만 업계에서는 나머지 사업장에 대한 매각도 충분히 자연스러운 흐름이라는 해석을 내놓는다. 자동차소재·산업용필름 사업 전체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추가적인 매각 시도도 언제든지 수면 위로 떠오를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LX하우시스의 자동차소재·산업용필름 사업부 매각 가능성이 끊이지 않는 이유는 뭘까. 가장 많이 언급되는 건 재무구조 개선이다. LX하우시스 관계자는 이번 c2i 매각 배경에 대해 "적자 기업 정리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LX하우시스가 최근 매각한 c2i는 BMW와 포르셰 등에 차량용 내장재를 납품하는 업체다. LX하우시스는 지난 2017년 c2i의 지분 50.1%를 인수했다. 2019년엔 약 160억 원을 추가로 투자해 39.9%의 지분을 획득했다.
그러나 c2i는 LX하우시스에 인수된 이래 흑자를 기록한 적이 한 번도 없다. 이번 분기만 봐도 27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지만 10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여전히 사업을 영위 중인 다른 법인을 살펴봐도 상황은 비슷하다. LX하우시스는 현재 국내 울산, 중국의 톈진과 상하이, 미국의 아틀랜타 등에서 자동차소재·산업용필름 공장을 운영 중이다.

이 가운데 중국 사업장의 상태가 특히 좋지 않다. 올 1분기 LX하우시스는 중국 톈진과 상하이에서 약 37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앞서 지난해엔 100억원이 넘는 적자를 기록한 바 있다.
전방 산업이 장기 침체에 빠지면서 차량용 내장재 사업이 어려워진 탓이다. LX하우시스는 지난해 c2i 와 중국 사업장에서 각각 80억원, 425억원의 손상차손을 인식했다. 손상차손은 회수가능액이 장부가액보다 낮아 자산으로서의 가치를 상실해 비용으로 처리했다는 의미로 당기손익에 반영된다.
실제 LX하우시스는 관련 사업장의 손상차손 등 일회성비용을 반영하면서 지난해 영업외비용 680억원을 기록했다. 그러면서 126억원 당기순손실을 냈다. 미국 사업장이 흑자를 기록했지만 약 90억원의 이익만 가져다 줬을 뿐이다.
문제는 앞으로다. 자동차소재·산업용필름 시장은 정부 차원의 지원을 바탕으로 성장한 중국 업체들의 급부상으로 향후 어려운 경쟁 상황이 점쳐진다. 또 LX하우시스는 호황기 시절이던 2014~2017년 약 1000억원을 들여 공장 증설 등에 나섰는데 공급량 자체가 계속 떨어진 상황에서 단기간에 손실을 회복하기 쉽지 않은 적자 사업구조가 만들어졌다.
LX하우시스 관계자는 "자동차소재·산업용필름 사업은 내수 시장을 파고드는 중국 업체들의 급성장으로 어려운 수익성 확보가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때문에 업계는 c2i 매각에 이어 또 다른 자동차소재·산업용필름 사업 매각 가능성도 여전히 열어두고 있다. LX하우시스는 작년 3월 현대비앤지스틸과의 매각 추진 과정에서 한차례 매각 계약이 무산된 바 있다.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LX하우시스의 매출액은 8614억원,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75% 감소한 69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LX하우시스의 자동차소재·산업용필름 사업은 올 1분기 영업손실 43억원을 냈다. 지난 2019년 1분기 이래 13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 중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한화 사업구조 재편]한화건설, 에이치피앤디 합병…디벨로퍼 역량 '방점'
- [건설사 시공능력 점검]안강건설, 자체개발 역량 발판 시평 '수직상승'
- 평택도시공사, '브레인시티' 중흥 상대로 중재 신청
- [건설사 시공능력 점검]새 주인 앞둔 쌍용건설, 시평 33위…재무개선 '관건'
- 디에이테크, 2차전지 레이저 가공 기술 공신력 인증
- FSN, 더샌드박스와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 LG헬로, 역대급 영업이익률…신사업·CAPEX 덕분
- LGU+, 일회성 인건비 지출에 가려진 비용 효율화
- 두산 테스나에 지주사 전략통 김도원 사장 합류
- 베일 벗은 네이버웹툰 구조, 성장 자신감 이유는
이호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지속가능경영 리뷰]현대오일뱅크, 중요이슈에 '이사회 리더십' 선정
- [잭팟 터트린 K방산]KAI의 유럽 진출, 수출확대 교두보 마련
- 김교현 롯데케미칼 부회장 "투자 계획 속도 조절"
- SK네트웍스도 BSM 도입, 이사회 중심 경영 '박차'
- LX하우시스, 상하이 법인 정리 수순
- 잘하는 것과 잘해야 할 것
- 고려아연의 잇단 M&A , 자원순환 사업 속도
- 모빌리티 생태계 대응하는 GS, '모빌리티 협의체' 눈길
- [러시아 리스크, 상사는 지금]GS글로벌, '친환경·헬스케어'에서 돌파구 찾을까
- [지속가능경영 리뷰]포스코케미칼, '공급망 관리'에 방점...그룹과 연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