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딜 그 이후]SK넥실리스, 3년간 얼마나 성장했나⑤자산 3.9배, 매출 2.5배 '팽창'…재무건전성 유지 '성과'
박기수 기자공개 2023-05-10 15:19:36
[편집자주]
인수합병(M&A), 기업공개(IPO) 등 '빅딜(Big Deal)'은 기업의 운명을 가른다. 단 한 건의 재무적 이벤트라도 규모가 크다면 그 영향은 기업을 넘어 그룹 전체로 영향을 미친다. 그 영향은 긍정적일수도, 부정적일수도 있다. THE CFO는 기업과 그룹의 방향성을 바꾼 빅딜을 분석한다. 빅딜 이후 기업은 재무적으로 어떻게 변모했으며, 나아가 딜을 이끈 최고재무책임자(CFO) 및 재무 인력들의 행보를 살펴본다.
이 기사는 2023년 05월 03일 14:40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작년 말을 기점으로 SK넥실리스가 SK그룹으로 편입된 지 만 3년을 채웠다. 2020년 1월 SKC 계열로 공식 편입된 후 3년 이상의 기간이 흐른 현재 SK넥실리스는 눈에 띄게 외형을 확장했다.SKC가 SK넥실리스 인수를 완료했을 시점에만 하더라도 SK넥실리스는 연간 별도 감사보고서만 제출해도 되는 기업이었다. 자회사 등 연결 주체가 없었다는 의미다.
현재는 역량을 글로벌로 뻗었다. 작년 말 SK넥실리스는 △SK Nexilis Poland sp. z.o.o. △Nexilis Management Malaysia Sdn. Bhd. △SK Nexilis Malaysia Sdn. Bhd. △Nexilis Management Europe B.V. 등 폴란드·말레이시아·네덜란드에 자회사를 두고 있다.
외형 확장의 기세는 수치로도 확인된다. 작년 말 SK넥실리스의 연결 기준 자산총계는 1조8296억원으로 인수 당시였던 2019년 말 자산총계(별도 기준) 4720억원보다 3.88배 늘어났다.
매출도 늘었다. SK넥실리스의 작년 연결 기준 매출은 8101억원으로 2019년 3229억원보다 2.5배 늘었다. SK그룹 편입 이후 시점과 전기차 배터리 시장 확장 시기가 맞물리면서 자산과 매출이 동반 증가했다.
수익성은 낮아졌으나 여전히 견조한 수준이다. 작년 연결 기준 영업이익률은 11.3%으로 2019년 별도 기준 영업이익률 19.3%보다 8%포인트 낮다. 다만 영업이익 총량은 2019년 624억원에서 작년 912억원으로 늘어나는 등 여전히 높은 수익성을 보이고 있다.
자산 팽창 과정에서 재무구조에 긍정적인 요소는 부채와 자본이 균형을 유지하며 늘어났다는 점이다. 외부 조달을 늘리기도 했지만 SKC 안팎에서 자본확충이 적절하게 이뤄졌다. 작년 말 SK넥실리스의 연결 부채비율은 118.7%로 2019년 말 별도 기준 부채비율 115.4%와 큰 차이가 없다.
정읍 공장 증설(2020년)과 말레이시아 공장 착공(2021년), 폴란드 공장 착공(2022년) 등 외형 확장 과정에서 차입금은 크게 늘었다. 작년 말 기준 SK넥실리스의 연결 총차입금은 7566억원으로 2019년 말 별도 총차입금 1777억원 대비 4.26배 많다.
다만 유상증자 등 자본확충이 적시에 이뤄지면서 차입금의존도나 순차입금비율 등 재무건전성을 나타내는 지표는 크게 훼손되지 않았다. 오히려 순차입금비율은 2019년 말 별도 기준 65.6%에서 작년 말 연결 기준 54.6%로 낮아졌다. 차입금의존도는 2019년 말 별도 37.6%에서 작년 말 연결 41.4%로 소폭 높아졌다. 대규모 투자 과정에서 재무건전성 유지를 위한 노력이 상당했음을 나타낸다.
향후 행보가 관건이다. 말레이시아(아시아)와 폴란드(유럽)에 이어 SK넥실리스는 북미 지역에도 생산 기지를 확보할 계획이다. 북미 지역에 5만톤 규모의 공장 2곳을 짓는다. 이를 통해 SK넥실리스는 2025년까지 글로벌 동박 25만톤 생산체제를 마련할 계획이다. SK넥실리스로서는 다시 한번 조달을 통한 재원 마련과 재무 균형 유지라는 어려운 숙제를 마주할 것으로 보인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신세계백화점, '그룹과 별도 행보' 브랜드본부 신설
- [롯데의 베트남 시대]"면세점은 역시 럭셔리, 신규 출점 검토"
- [Red & Blue]'황제주의 추억' 오뚜기, 잠룡일까 항룡일까
- [베일 벗은 부산 디지털자산거래소]최대 숙제 '원화 거래 지원', 부산시 지원사격 받는다
- 디딤이앤에프, 임직원 266명 탄원서 제출
- [KAI를 움직이는 사람들]재무개선 기반 강화, 박상욱 CFO 역량 '시험대'
- 라이트론, 유럽 광통신 컨퍼런스서 100G 제품 전시
- 세종텔레콤-한국토지신탁, STO 상품 개발 '맞손'
- [시험대 선 삼성 리더]대변환 시대 이끄는 최주선 사장, 미래동력 확보 과제
- [게임사 성장 로드맵]밸로프, 플랫폼으로 '성장 과도기' 넘어서나
박기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기업집단 톺아보기]동원그룹의 도전, '조달 특명' 백관영 상무의 과제
- [기업집단 톺아보기]동원F&B·시스템즈, 동원산업 뒷받치는 힘
- [기업집단 톺아보기]동원그룹 '핵심' 동원산업, 재무 현주소는
- [기업집단 톺아보기]스타키스트, 동원그룹의 '히든 카드'
- [기업집단 톺아보기]'지주회사' 동원산업, HMM 인수 자신감의 원천은
- [the 강한기업/성일하이텍]투자 위한 재무체력도 '합격점'
- [기업집단 톺아보기]HMM 도전장 내민 동원그룹, 튼튼한 지분고리 '강점'
- [the 강한기업/성일하이텍]재무구조 개선 역사, 이강명 회장의 지배력 희생
- [the 강한기업/성일하이텍]해외 배터리 공장 옆에 성일하이텍 공장도 있다
- [the 강한기업/성일하이텍]이차전지 시장 확대에 매출·수익성 '날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