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업 재무 점검]기로에 선 한수원 '해외 에너지 투자'⑤2008년 이후 15년간 7000억 집행, 재무건전성 강화차원 사업 '청산' 수순
박동우 기자공개 2023-06-05 09:35:23
[편집자주]
공기업의 수익 악화, 부채 증가는 정부의 잠재적인 재정 부담 요소다. 손실이 누적됐을 땐 이를 보전하기 위해 결국 공기업의 대주주인 정부가 재정을 투입해야 한다. 공기업들은 각자 재무 위험 요인을 파악해 정부의 재정 부담으로 전이되지 않도록 재무 관리 방안을 수립해 두고 있다. THE CFO는 주요 공기업들의 재무 현안과 이를 풀어갈 인물 등을 살펴본다.
이 기사는 2023년 05월 30일 17:41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이 해외 에너지 투자에 뛰어든지 15년이 지났다. 2008년 첫 자금 집행 이후 올해까지 7000억원 넘게 해외 법인에 투입했다. 원자력 발전에 필요한 광물인 우라늄을 안정적으로 수급하고, 신재생 전력 생산으로 수익을 얻는 청사진이 녹아들었다.구상은 담대했지만 현재 글로벌 에너지 개발 행보가 기로에 섰다. 정부가 '공기업 재무 개선' 방침을 강조했기 때문이다. 일부 피투자회사를 청산하는 등 해외투자 포트폴리오를 조정하는 수순으로 이어졌다.
◇초기 '우라늄 수급' 집중, '신재생발전'으로 무게추 이동
한수원이 15년 동안 해외 법인에 집행한 금액은 7231억원이다. 자금 집행의 첫 발을 뗀 시점은 2008년이다. 원전을 가동하는 데 필수적인 원료인 우라늄을 확보하는 기반 마련에 집중했다. 당시 캐나다 워터베리에 자리잡은 광산을 첫 탐사 구역으로 낙점했다. 한수원은 33억원을 출자해 '코리아 워터베리 우라늄 파트너십' 법인을 설립했다.

이후 투자는 공격적 양상으로 진화했다. 2009년 농축우라늄 제조에 특화된 프랑스 기업 아레바(Areva) 산하 공장 운영사 'SET홀딩'에 자금을 투입한 사례가 대표적이다. 연간 400톤의 농축우라늄을 우선 매입할 권리를 얻는 대신 지분 2.5%를 사들이는 데 2293억원을 집행했다.
아프리카 니제르에 있는 우라늄 개발에도 뛰어들었다. 2009년 12월 한수원은 '코리아 이모라렝 우라늄 인베스트먼트(KIUI)'가 출범했는데 1155억원을 출자해 주식 40%를 취득했다. 한전은 1730억원을 들여 나머지 지분율 60%를 책임졌다. KIUI는 광산 운영사인 '아레바 NC 익스팬션(오라노 익스팬션)' 유상증자에 참여했다.
해외 투자 초기 열쇳말이 '우라늄'이었다면 최근 투자는 '신재생에너지'에 주안점을 뒀다. 탄소 중립 의제가 부상하자 세계 각국이 친환경 방식으로 전력 생산을 강화하는 움직임과 맞물렸다. 발전시설을 운영하며 장기간 수익 창출을 도모하려는 밑그림도 반영됐다.
2020년 10월에 한수원은 467억원을 출자해 유한회사 'KAS 인베스트먼트' 1호와 2호를 세웠다. 두 업체를 활용해 미국 △일리노이 △네브래스카 △텍사스 주에 포진한 육상 풍력발전단지 지분 49.9%를 인수했다. 2021년 초 칠레 과달루페 지역에 7메가와트(㎿) 용량의 태양광 발전시설을 조성하는 프로젝트에도 28억원을 투입했다.
◇한전 투자자산 떠안기도, 니제르 개발사업 좌초
정부가 공기업 재무건전성을 강화하는 드라이브를 걸자 한수원의 해외투자 포트폴리오는 큰 변화를 겪었다. 첫 파도가 밀려든 시점은 2016년이다. 당시 한전은 글로벌 자원 개발 사업을 멈추기로 결정했다.
한수원이 한전의 해외 투자 자산 일부를 인수하는 수순으로 이어졌다. 아프리카 니제르 우라늄 광산 사업을 둘러싸고 KIUI(921억원) 지분을 추가로 취득하는데 921억원을 집행했다. 캐나다 자원 개발 업체 데니슨(Denison) 주식도 5만8100주 매입하면서 367억원을 썼다. 미국 우라늄 생산 2위 업체 에너지퓨얼스(Energy Fuels) 지분 2.6%를 사들이는데 32억원을 썼다.

두번째 파도는 2021년에 밀려왔다. 니제르 이모라렝 우라늄 개발 사업이 지지부진한 대목이 결정적이었다. 한수원은 종속기업 KIUI를 청산하면서 KIUI가 갖고 있던 오라노 익스팬션 지분 4.7%를 직접 취득했다. 올해 3월 말 기준으로 오라노 익스팬션 장부가액은 제로(0)로, 기업가치를 모두 손상차손으로 인식했다.
해외 투자에 신중히 접근하는 기조는 계속 이어질 전망이다. 한수원은 지난해 캐나다 자원개발사 데니슨이 진행한 유상증자에 불참했다. 이에 따라 보유 지분율은 2022년 초 7.2%에서 같은해 12월 말 7.1%로 소폭 줄었다.
스페인 태양광 발전시설 투자 프로젝트도 중단했다. 올해 초 'KHNP 스페인'을 청산했다. 설립한지 1년여 만이다. 폴리실리콘 등 핵심소재 가격이 급격히 오르자 사업을 지속키 어렵다고 판단하면서 투자 중단 결정을 내렸다.
한수원은 올해 초 재무건전성 증진 조치로 '해외 투자 심의 강화'를 거론했다. 글로벌 투자 포트폴리오 조정을 시사하는 대목은 지난해 수립한 '2022~2026년 중장기 재무관리계획'에서도 찾을 수 있다. 한수원은 출자·출연 관리 강화, 투자 효율성 제고 등의 방침을 제시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우리금융지주, 운용 합병으로 규모의 경제 택했다
- [CFO Change]엘앤에프, 투자자 저변 다변화 이끌 '류승헌 부사장'
- [기업집단 톺아보기]'지주회사' 동원산업, HMM 인수 자신감의 원천은
- 신세계百, '부사장급' 상품본부장에 상무 중용 '파격'
- [숨은 진주 SC제일은행]성장 원동력은 'SC' 브랜드 앞세운 '기업금융·WM'
- 진옥동의 싱크탱크…신한미래전략연구소장 교체
- [CFO 워치/우리은행]유도현 부행장, 자본비율 개선에 달린 기업금융 성패
-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과 워런 버핏
- [두산로보틱스 IPO]‘가격차’로 M&A 불발…상장후에도 추가조달 가능성
- [두산로보틱스 IPO]해외 확약비중 국내의 10분의1...반복되는 '역차별 논란'
박동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On the move]크래프톤 계열 오버데어가 '투자실사' 주목한 이유
- [CFO's Partner]글로벌IB와 끈끈한 공조 구축한 넷마블
- [CFO's Partner]넷마블 펀드출자 동맹군 '소프트뱅크벤처스'
- [CFO's Partner]자금확보 지평넓힌 넷마블, 증권사의 숨은 조력
- [CFO는 지금]한솔케미칼 한장안 CFO, '솔머티리얼즈' 순항 뒷받침
- [CFO's Partner]넷마블 빅딜 마지막 단추 채워준 '하나은행'
- [유동성 풍향계]교육기업 넘어서는 대교, '투트랙' 조달전략 가동
- [GS건설 파이낸셜 뷰]국내수주 대안 '해외투자'로 돌파하나
- [Red & Blue]'코스피' 갈아타는 엘앤에프, 우상향 '묘수' 될까
- [GS건설 파이낸셜 뷰]장부 바깥에 '숨은 뇌관' 1조6000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