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증권, 기관전용 부동산 PEF 2호 조성 검토 1호 상반기 중 소진 목표, 한국증권 내부 분위기 '고무적'
이지은 기자공개 2025-03-17 14:10:08
이 기사는 2025년 03월 13일 08시1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국투자증권이 올해 상반기 내로 기관전용 부동산 사모펀드(PEF) 1호 펀드 자금을 소진하고 2호 조성에 착수하는 안을 검토하는 중이다. 수년간 증권사들의 주요 수익원으로 떠올랐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의 공백을 PEF 사업으로 메울 수 있다는 점에서 내부적으로 고무적인 분위기인 것으로 전해진다.1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한국투자증권은 기관전용 부동산 PEF 2호를 조성을 위한 논의에 착수할 계획이다. 다만 펀드 규모나 협력하는 운용사가 정해진 것은 아닌 상태인 것으로 파악된다. 일각에선 1호 펀드를 함께 조성한 캐피탈랜드투자운용이 2호 조성에도 협력할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당초 한국투자증권은 지난해 말 싱가포르 자산운용사인 캐피탈랜드투자운용과 함께 기관전용 부동산 PEF 1호를 설정한 바 있다. 총 1800억원 규모로 조성됐으며 목표수익률은 9% 안팎이다. 투자 대상은 선·중·후순위 대출자산이다.
한국투자증권은 최근까지 해당 펀드 자금의 절반을 소진한 것으로 파악된다. 일례 중 하나로 개봉동에 위치한 데이터센터 후순위 채권 투자가 거론된다. 캡스톤자산운용이 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와 함께 조성한 PF 정상화펀드 자금을 활용해 해당 데이터센터 프로젝트를 인수, 올초 본PF 전환까지 이끈 건이다.
한 운용사 관계자는 "한국투자증권이 PEF 펀드를 통해 투자한 데이터센터 후순위 채권은 LTV(담보인정비율)가 낮은 편이다"라며 "상반기 내 펀드 자금을 전액 소진하는 것이 목표이며 이후 2호, 3호 펀드를 조성할 계획이 있다"라고 말했다.
한국투자증권 내부적으로 PEF 사업에 대해 고무적인 분위기인 것으로 전해진다. 그간 부동산 PF는 증권사 기업금융(IB) 부문 실적을 크게 견인하던 사업이었지만 부동산 시장이 침체되면서 먹거리로서의 매력이 반감됐다. 이를 대체할 사업으로서 부동산 PEF 운용이 떠오른 모양새다.
한 운용사 관계자는 "다수의 증권사들이 부동산 PEF 조성 및 운용에 적극 나서면서, 성장이 정체된 부동산 PF 사업을 대체할 먹거리로 떠오른 분위기"라며 "한국투자증권 내부적으로도 해당 사업을 적극 밀어주려는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다"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베스트
-
- [스타트업 1st 감사보고서]'기업가치 1400억' 포엔, 올해 매출 270억 목표
- '김동환호' UTC인베, 첫 펀딩 시동…다음 타깃은
- '오일머니'도 주목한 달바글로벌…밴드 상단 확정적
- [VC 투자기업]위펀, M&A로 가파른 성장세 이었다
- [thebell interview]"솔라스타넥서스, AI 투자 집중…500억 펀드 결성"
- [LP Radar]새마을금고, 3년만 벤처출자 시동…펀딩난에 호재
- KCGI 세무조사 주시하는 OK금융그룹, 대응 카드 '만지작'
- IBK운용, 공들인 첫 헤지펀드 1년만에 청산
- 날개 단 푸른인베스트먼트, AUM 1700억 돌파
- '성장주+미국채' 조합…신한운용 하이브리드 전략
이지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KCGI 세무조사 주시하는 OK금융그룹, 대응 카드 '만지작'
- "한국 시장에 강력한 기반…유럽 인프라로 '알파' 창출"
- DB운용, 1억달러 사모대출펀드 조성…LP 선호도 '쑥쑥'
- '통합 카드' 돌파구 찾는 크림…NH증권 상품화 일단 보류
- [영상]신한은행 택스센터의 조언 "승계 대신 M&A도 고려해야"
- NH증권 목표전환랩, 두각 드러낸 '이스트스프링운용'
- 상장 철회한 롯데글로벌로지스, 운용업계 '미온적'이었던 이유는
- 아너스운용, 미국 휴머노이드 기업 '피규어AI' 투자
- 현대인베스트먼트운용, 디딤펀드 판매채널 확대 속도
- 삼성운용, S&P500도 액티브 ETF 출시…주도 섹터 추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