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리빌리언, 신임 CFO 선임…핵심 과제 '美 법인 설립' CLIA 인증 이어 보험 청구 통한 수익 모델 구축, 글로벌 매출 확대 승부수
한태희 기자공개 2025-05-07 08:15:33
이 기사는 2025년 05월 02일 09시3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상장 2년 차를 맞이한 쓰리빌리언의 주된 과제는 글로벌 매출 확대다. 이를 위해 연내 미국 법인 설립을 추진하며 희귀질환 진단 사업의 최대 시장을 겨냥하기로 했다. 최근에는 관련 사업을 후방에서 지원할 신임 CFO(최고재무책임자)를 선임했다.2일 업계에 따르면 쓰리빌리언은 최근 신임 CFO로 이동현 이사를 선임했다. 이 이사는 공인회계사로 삼일회계법인, 신정회계법인을 거쳐 주식회사 달콤소프트, 이도 등에 재직했다. 올해 정기주주총회를 통해 사내이사로 쓰리빌리언 이사회에 입성했다.

기존 CFO였던 박순일 이사는 지난달 경 회사를 떠났다. 박 이사는 2020년 합류해 시리즈C, 프리IPO 펀딩과 회사의 상장 작업을 이끌어왔다. 쓰리빌리언이 작년 11월 기술특례상장을 완료했고 상장 후 신규 사업전략을 구상하는 과정에서 CFO의 교체가 이뤄졌다.
쓰리빌리언의 주력 제품은 전장유전체(WGS), 전장엑솜(WES) 기반 희귀질환 진단 유전자 검사다. Full service, 데이터 기반 진단 검사, 특정 질환 진단 검사로 구분돼 서비스된다. AI 유전체 해석 기술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소프트웨어 형태로도 제품화했다.
작년 매출은 58억원으로 전년 27억원 대비 2배 이상 실적을 끌어올렸다. 2027년 흑자전환을 목표로 글로벌 사업망을 빠르게 넓히고 있다. 특히 작년 수출액이 39억원으로 전년 11억원 대비 1년 만에 257.7% 늘었다.

상장 후에는 북미 지역 매출 확대에 주목하고 있다. 쓰리빌리언은 IPO 과정에서 확보한 공모자금 중 25억원을 해외 시장 진출 및 매출 확대를 위한 미국의 해외 현지 실험실 구축을 위해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이미 확보한 CLIA(클리아) 인증을 바탕으로 미국 자회사를 설립해 현지 영업망 확대에 나선다. 보험 청구를 통한 현지 수익 모델을 구축하려면 현지 랩 외에도 미국 내 법인 설립이 필요하다. 현재 텍사스 지역을 유력한 후보지로 검토하고 있다.
쓰리빌리언 관계자는 "많은 환자에 접근할 수 있는 지역 선정이 우선"이라며 "단순히 한국 회사가 미국 법인을 세운다는 관점이 아니라 현지에서 채용한 직원 중심의 성장이 중요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작년 말에는 마크로젠의 미주법인인 유전체 분석 전문기업 소마젠과 손을 잡았다. 소마젠과 희귀질환 진단 유전자 검사 제공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소마젠의 현지 네트워크를 활용해 매출 기반을 미국으로 확장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대진첨단소재 줌인]1차 락업 물량 보호예수 해제, 공모가 '유지'
- [나우로보틱스 줌인]상장 승인 프리패스 원동력 '글로벌사 ODM 계약'
- [대진첨단소재 줌인]미국 ESS 이어 영국·독일 가전업체 '러브콜'
- [i-point]신성이엔지, 산불 피해 청송군에 기부금 전달
- [i-point]아이티센코어, 세아제강지주 준법경영시스템 구축
- '자본잠식' 해소 효성화학, 비주력사업 매각 이어간다
- '흑자전환' 세아베스틸지주, 항공방산소재 '효자' 등극
- 오일뱅크 빠졌지만…HD현대 배당재원 '조선·전력기기'
- 두산밥캣, 건설기계 불황에도 분기배당 이행
- [GM·르노·KGM 생존기]KGM, 가동률 저하 묘수 '수출'
한태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엔케이젠, 엔케이맥스 인수 비용 추가납부…딜 완주 주목
- 쓰리빌리언, 신임 CFO 선임…핵심 과제 '美 법인 설립'
- 휴온스랩, 92억 투자 유치…반년만에 밸류 두배 껑충
- [동성제약 오너십 체인지]갑작스레 바뀐 최대주주, 지분 이은 경영권 변화 예고
- [thebell interview]윤석근 일성아이에스 회장 "3인 대표, 미래 CEO 포석"
- [인투셀 IPO]플랫폼의 한계 '자체신약'으로 상쇄…밸류 핵심 '연내 IND'
- '오너의 귀환' 마크로젠, 해외 겨냥…한몸 된 '소마젠' 활용
- HK이노엔의 케이캡, 1조 매출 키 美 진출 '3상 유효성 입증'
- 동성제약 최대주주 브랜드리팩터링, '셀레스트라' 연계성
- '엑스레이 그리드' JPI헬스케어, 예심 청구 'IPO 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