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B보스톤창투, 콘텐츠-IT '투 트랙' 전략 집중 김현우 대표 "당분간 안정적인 수익 낼 수 있는 투자처 발굴할 계획"
권일운 기자공개 2013-07-29 09:44:38
이 기사는 2013년 07월 26일 15시0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GB보스톤창업투자를 하루빨리 본 궤도에 올려놓기 위해 '주 전공'인 콘텐츠 투자뿐 아니라 IT를 필두로 한 다양한 투자 영역을 살펴볼 계획이다."
|
김 대표는 콘텐츠 투자 업계 최고 실력자로 손꼽힌다. '괴물'과 '해운대', '국가대표' 등 박스오피스를 석권한 작품들이 그의 손을 거쳤다. 콘텐츠 뿐 아니라 바이오와 IT분야에서도 두각을 나타내 셀트리온과 비아트론 등에 투자해 큰 수익을 거뒀다.
이런 이유에서 김 대표는 GB보스톤창업투자의 첫 펀드가 반드시 콘텐츠 펀드가 될 필요는 없다는 입장이다. 그는 "오래 전부터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해외 전략적투자자(SI)들과 펀드 출자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며 "콘텐츠 펀드와 IT 신기술에 초점을 맞춘 펀드를 각각 100억 원 규모로 하나씩 조성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현재 GB보스톤창업투자의 전문인력은 김 대표와 IT 영역을 담당하는 주니어 급 1명이 전부다. 하지만 펀드 결성이 임박한 상황이라 추가적인 인력 채용에 나선 상황이다. 콘텐츠와 IT를 각각 공략키로 한 '투 트랙(Two-track)' 전략을 세운 만큼 해당 분야의 전문성을 갖춘 인력을 영입한다는 복안이다.
장기신용은행 출신인 김 대표는 2004년 출범한 보스톤창업투자의 대표이사를 역임했다. 보스톤창업투자는 2010년 리딩투자증권을 새 주인으로 맞이하며 사명을 리딩인베스트먼트로 변경했다. 이후 경영난에 시달리던 리딩투자증권이 지난 4월 리딩인베스트를 매각함에 따라 김 대표도 회사를 떠났다.
김 대표의 '야인' 생활은 길지 않았다. 보스톤창업투자 시절부터 인연을 맺은 지인들과 6월 무렵부터 새로운 벤처캐피탈 설립을 추진한 것이다. 김 대표는 부실채권(NPL) 투자로 트랙 레코드(Track-record)를 쌓은 가보홀딩스를 최대주주로 유치, 자본금 50억 원 규모의 GB보스톤창업투자 설립에 성공했다.
김 대표는 벤처캐피탈 업종 특성상 단기간에 가시적인 성과를 내기는 어렵다는 점을 인정했다. 하지만 주주들의 인내만 요구하는 것도 최고경영자(CEO)의 본분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따라서 당분간은 '대박'은 나지 않더라도 안정적인 수익을 낼 수 있는 투자처를 발굴하는 데 힘을 쏟을 생각이다.
김 대표는 "벤처캐피탈이 첫해부터 흑자를 내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면서도 "그래도 주주들의 성의에 보답하기 위해 짧은 기간에 회수(엑시트) 가능한 투자는 어떤 것이 있을지에 대해 고민해 본 결과 상장 직전의 기업을 발굴해 프리 IPO 투자를 집행하는 것이란 결론을 내렸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신테카바이오, OCMS Bio와 공동 서비스 계약 체결
- 김동관 부회장 "미국 현지 조선소 확보 계획"
- [i-point]대동로보틱스, 농업로봇 아이디어 발굴 투어 진행
- 메리츠, WM·IB 경계 허문다…PIB센터로 '승부수'
- NH증권 목표전환랩, 두각 드러낸 '이스트스프링운용'
- 한화운용, '유블레스47' 엑시트 후 청산 수순
- 쿼터백 테마로테이션 전략 통했다…'일임→펀드' 확장
- 스타퀘스트운용, 핵심 운용역 교체…다올운용 출신 영입
- 기관 청약 나선 롯데글로벌로지스, 운용업계 미온적 반응
- [thebell desk]특색 없는 운용사를 향한 질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