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 사외이사, '용인 오토밸리' 반대한 까닭 이사회서 이례적 부결...'사업성 결여' 경영진 입김 작용 관측
길진홍 기자공개 2015-03-03 09:03:00
이 기사는 2015년 02월 27일 15시5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현대건설이 도급사업으로 추진하던 경기도 용인의 자동차 복합 매매단지 시공 참여가 사외이사 반대로 무산된 것으로 나타났다. 수주심의를 거친 일반 도급사업을 사외이사들이 반대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지난해 11월 19일 현대건설 사외이사들은 이사회 안건으로 올라온 ‘용인 오토밸리 신축공사 사업비 대출 신용공여'를 부결시켰다. 지난해 현대건설 이사회 안건 가운데 유일하게 사외이사들이 전원 반대표를 던졌다.
현대건설은 2014년 모두 14차례에 걸쳐 사외이사들이 참석하는 이사회를 개최했다. 이사회에서 논의된 안건은 모두 39건이다. 이 가운데 용인 오토밸리를 제외한 현대건설인재개발원 합병 등 38건이 사외이사 전원 찬성으로 가결됐다.
현대건설은 결국 용인 오토밸리 사업비 조달이 무산되면서 시공사 지위를 내려놨다. 시행사는 당초 현대건설의 신용공여로 2100여억 원을 조달할 계획이었다. 지난해 착공에 들어가 올 연말께 중고차단지를 완공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시공사 선정이 지연되면서 사업은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현대건설의 이사회 결의가 사외이사들의 반대로 무산된 것은 현대자동차그룹에 인수된 이후 처음이다. 현대건설은 2010년 12월 현대그룹계열인 현대상선 유상증자 참여를 추진했다가 이사회 반대로 무산된 바 있다. 당시에는 현대차그룹과 현대그룹이 각각 현대건설 인수합병(M&A)을 추진하던 때였다. M&A라는 변수가 의사결정 변수로 작용했다.
용인 오토밸리 공사의 경우 이 같은 외생 변수와 연관관계를 찾기가 쉽지 않다. 현대건설은 이에 대해 사업성이 떨어져 시공 참여를 포기했다고 설명했다. 시행사와 건축비 등 사업조건 이견을 막판까지 좁히지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
도급계약 체결 후 자동차매매 수요 등 분양성을 놓고 내부에서 회의적인 시각이 적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시행사 자금모집을 위한 신용보강 단계에서 사업을 철회했다. 사실상 사외이사 결정에 내부 경영진 입김이 일부 반영됐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현대건설 사외이사는 신현윤 연세대학교 부총장, 서치호 건국대 건축공학부 교수, 이승재 삼송세무법인 회장, 박성득 리인터내셔널 법률사무소 변호사 등으로 이뤄졌다.
한편 시행사는 사업 지속을 위해 다른 1군 건설사를 물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9만 5916㎡(2만 9000평) 부지에 지하 4층에 지상 4층, 연면적 16만 9840㎡(5만 1376평) 규모의 자동차 관련 시설 및 근린생활시설 공급을 추진해 왔다.
|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thebell interview]황민영 부대표 “AI 검증 돕는 세계적 기업 되겠다”
- [thebell interview]"사제파트너스, 글로벌 파워 갖춘 K-커뮤니티 꿈꿔"
- [thebell interview]"클레이디스, AI로 3D 쉽게 생성…1분만에 뚝딱"
- 에트리홀딩스, 윤상경 대표 곧 임기만료…공모 돌입
- 산은 미국법인, 프라임마스에 70억 베팅
- ' VC협회장사' 퀀텀벤처스, 과기부 AI GP는 따낼까
- 한국벤처투자 신임 대표에 이대희…첫 '관 출신' 사례
- [thebell interview]황건필 대표 “미국에 햄버거 조리 로봇 도입할 것”
- 신스타프리젠츠, 30억 시리즈A 익스텐션 라운드 시동
- 어니스트벤처스, 과기부 SaaS 재도전 성공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