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달러채권, 자산관리 시장에 등장 A 은행 특정금전신탁 추진…비과세 혜택 불구 금리 낮아 판매 못해
이승우 기자공개 2015-07-14 17:59:19
이 기사는 2015년 07월 08일 10시4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직전 삼성전자가 발행했던 달러 표시 채권이 국내 자산관리 시장에 등장해 주목받고 있다. 삼성전자 달러 표시 채권은 만기가 30년으로 꽤 길지만 비과세 혜택이 있어 고액자산가들의 구미를 당기고 있다. 하지만 발행 당시 7%대에 달했던 금리가 줄곧 하락해 최근 2%대에 머무르면서 실제 투자로는 잘 이어지지 않고 있다.8일 금융권에 따르면 A 시중은행이 삼성전자가 지난 97년 10월 발행한 달러 표시 채권을 고액자산가들에 판매하기 위한 내부 검토를 했다. 삼성전자 달러 표시 채권을 특정금전신탁 상품으로 만들어 PB센터를 통해 판매를 추진했던 것.
하지만 이 은행은 삼성전자 달러 채권 판매 계획을 접었다. 비과세 혜택에도 불구하고 투자자에게 돌려줄 수 있는 실질 수익률이 너무 낮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해당 채권은 쿠폰 금리가 7.7%다. 하지만 발행 이후 삼성전자의 신용등급 상승과 함게 시장금리 하락 등으로 최근 유통시장에서 2%대에 거래되고 있다. 중개 수수료와 판매 수수료 등을 제하고 나면 1%대 수익률에 그치게 되는 셈이다. 실제 투자로 이어지기에는 너무 낮은 금리인 것.
몇 해 전까지만 해도 삼성전자 달러 채권에 대한 실투자가 있었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달러/원 스왑포인트가 플러스를 유지하면서 환헤지를 할 경우 삼성전자 채권 유통수익률에 환헤지 프리미엄까지 얻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이 경우 달러/원 스왑포인트가 플러스를 유지하고 있는 단기 구간을 골라 환헤지를 여러번 해야 했다.
A 은행이 팔기로 한 삼성전자 달러표시 채권은 삼성전자가 97년 발행한 1억달러 중 일부다. 이 채권은 30년 만기 장기 채권으로 2007년 10월까지는 원금 상환 없이 이자만 지급하고 2008년부터는 연 500만달러씩 원금도 함께 상환하는 조건으로 발행됐다. 때문에 1억달러 중 3500만달러가 이미 상환됐고 현재 6500만달러가 정도가 남아있다. 법인 투자자들이 대부분 보유하고 있고 법인 물량이 유통시장에 간간히 나오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권 관계자는 "삼성전자 채권에 대한 수요가 꽤 있었으나 최근 금리가 너무 내려가서 수요가 많지 않다"며 "유통시장에서 간간히 보이는 채권은 그동안 금리 하락에 따른 차익을 실현하기 위해 일부 법인들이 내놓는 물량이 아닐까 싶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큐브엔터, 소속 걸그룹 '아이들' 컴백 확정
- [NPL 자금조달 리포트]대신F&I, 공격적 투자에 단기조달 확대…NPL 매입 '적기 대응'
- [교보생명 SBI저축 인수]1위 저축은행 PBR 0.95배, 상상인그룹은 '난색'
- [Policy Radar]금융당국, SKT 사태 '비상대응본부' 구성
- [은행경영분석]농협금융, 예대업 약화…낮아진 비은행 기여도 '설상가상'
- [여전사경영분석]우리금융캐피탈, 대손비용 부담 확대로 실적 개선 제동
- [금융 人사이드]캠코 사장 단독후보에 정정훈 전 세제실장…'자본확충' 첫 시험대
- [은행경영분석]제주은행, 90% 넘는 지역 의존도…가파른 연체율 상승세
- [은행경영분석]BNK금융, 건전성 지표 저하 '밸류업 복병' 부상
- [금융사 KPI 점검/하나은행]본사 정책 평가 강화, '건전성·손님만족' 항목 힘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