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16년 11월 07일 08시3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정부가 최근 해운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총 6조 5000억 원 들여 선사의 원가경쟁력과 재무구조 개선을 지원하는 ‘한국선박회사' 설립, 신규 선박의 발주를 돕는 선박펀드 규모의 확대 등이 핵심 요지다.이를 통해 세계 5위권 초대형 원양선사를 육성하겠다는 것이 정부의 밑그림이다. 글로벌 선사들이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기 위해 수시로 ‘합종연횡'을 하고 있는 터라 정부의 방안은 상당히 그럴싸해 보인다.
하지만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란 속담이 생각나는 이유는 뭘까. 한진해운 때문이다. 불과 두 달 전 국내 1위이자 세계 7위 선사였던 한진해운은 정부로부터 3000억 원을 지원 받지 못해 법정관리를 택했다.
융통성이란 찾아볼 수 없던 정부가 수조 원을 들여 초대형 선사 만들겠다고 나선 모양새가 꼴사나워 보인다. 또 최근 비선실세 의혹을 받고 있는 최순실 씨가 한진해운 사태를 초래했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는 터라 해당 정책의 유효성에 대한 의구심이 어쩔 수 없이 든다.
분명한 사실은 한진해운이 이르면 이달 중순경 청산 절차를 밟은 것이란 사실이다. 때문에 정부의 해운업 경쟁력 제고 방안도 현대상선 살리기에 집중돼 있다.
한진해운 없이는 국내 해운업의 경쟁력을 회복하는데 상당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30년 넘게 쌓인 영업 노하우와 우수 인력 등 무형자산이 한진해운에 그대로 남아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부가 한진해운을 영국의 ‘벤라인' 같은 회사로 키워보는 건 어떨까 싶다. 벤라인 역시 한때 세계 3위 선사였지만 불황의 파고에 휩쓸려 파산했다. 그러나 영업 노하우와 우수 인력을 바탕으로 세계적인 해운컨설팅 업체로 재탄생 한 바 있다.
한진해운은 결코 버려지는 카드가 돼서는 안 된다. 일각의 주장처럼 정치적 논리에 의한 것이더라도 말이다. 정부 역시 지금은 한진해운을 십분 활용할 방법을 고민할 때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적자 감소' 모티브인텔리전스, 올해 매출 볼륨업 방점
- [RWA가 쏘아올린 VC 펀딩난]'예외조항' 공략 나선 중기부, 특례 확대 어디까지
- 지난해 모태 '3관왕' MYSC, 올해도 승전고 울렸다
- '이름 값'한 달바글로벌…해외매출이 내수 넘었다
- 한투파, 3500억 핵심역량레버리지2펀드 2차 클로징
- '유안타인베 GP 반납'…산은 혁신산업펀드 재공고
- [대성창투의 시프트업]하반기 펀딩 재개, 건재함 증명 목표…세컨더리 '만지작'
- [Company Watch]서진시스템, 베트남 생산기지 순손실 '변수'
- [더본코리아 거버넌스 점검]성장엔진이자 구조적 한계 '백종원'
- [Company Watch]위메이드, 매출 줄었지만 현금은 늘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