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헬스케어, 전문약 사업 호조…매각 전 '막판스퍼트' '신제품 3종 급성장' 국내사 6위 랭크…몸값 영향 주목
이석준 기자공개 2018-01-29 07:55:28
이 기사는 2018년 01월 26일 13시5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CJ헬스케어(CJ제일제당 100% 자회사) 전문의약품(ETC) 사업부가 지난해 실적 호조를 보였다. 안정적인 상위 5대 품목과 큰 성장을 거둔 신제품 3종이 조화를 이룬 덕분이다. ETC 사업 호조는 매물로 나온 CJ헬스케어 몸값에 긍정적인 요소로 부각될 수 있다.26일 의약품 시장전문조사기관 유비스트(UBIST)에 따르면 CJ헬스케어의 지난해 원외처방액은 2327억 원을 기록하며 국내사 중 6위에 자리했다. CJ헬스케어는 기초수액 등 원내처방 제품 비중도 상당해 ETC 전체(원내+원외+비급여)로 보면 순위가 더 상승할 수 있다.
미래 성장 동력인 신제품 실적이 좋았다. 로바젯(고지혈증복합제), 루키오(비염·천신약), 마하칸(고혈압복합제) 등 신제품 3종은 전년대비 각각 274%, 344%, 768% 처방액이 급증했다. 로바젯의 경우 지난해 115억 원으로 단숨에 블록버스터 약물로 성장했다. 루키오도 98억 원을 기록했다.
상위 5대 품목은 안정적인 처방액을 유지했다. 헤르벤(고혈압약), 안플레이드(동맥폐색증 치료제), 크레메진(만성신부전 치료제), 엑스원(고혈압약), 비바코(고지혈증치료제) 등은 각 200억 원 안팎의 매출을 기록하며 1000억 원 정도를 합작했다.
안정적인 실적은 몸값을 높여줄 긍정 요소 중 하나로 평가된다. 특히 ETC 부문(원내처방 포함)은 대다수 제약사 매출의 70% 이상을 차지해 핵심 사업으로 꼽힌다. CJ헬스케어도 마찬가지다.
CJ제일제당 실적 보고서를 보면 CJ헬스케어의 지난해 3분기 누계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3900억 원, 556억 원이다. 단순 계산시연간 매출액은 5200억 원, 영업이익은 740억 원 정도가 추산되는데 두 부문 모두 역대 최고 수치다. ETC 부문 호조가 있었기에 가능했다는 분석이다.
CJ헬스케어 매각 작업은 본격화되고 있다. 전략적투자자(SI) 한국콜마와 국내외 사모투자펀드(PEF) 칼라일, CVC캐피탈, 한앤컴퍼니 등 4곳이 인수적격후보(숏리스트)에 올라있다. 한국콜마는 미래에셋금융그룹 계열 PEF 운용사인 미래에셋자산운용PE와 스틱인베스트먼트, H&Q코리아 등 PEF들과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증권가 관계자는 "CJ헬스케어 ETC 부문은 폭발적이지는 않지만 품목간 세대교체가 이뤄지며 안정적인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며 "연간 매출액 5000억 원과 영업이익 500억 원 이상을 기록하는 회사는 극소수에 불과한데 CJ헬스케어는 이중 한 곳"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특히 신제품 시장 안착은 성장동력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매각 몸값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간추려진 대명소노그룹 선택지, '티웨이'에 집중
- [감액배당 리포트]제주항공, 신속한 885억 감액…배당은 못했다
- [중간지주 배당수익 분석]세아베스틸지주, 배당수익 3배 급증...분할회사도 첫 기여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공격적인 '외연 확장'…재무 키워드 '자산 확충'
- [중견 배터리사 점검]고려아연, 이차전지 3사 이사회 정비...전문경영인 CEO 도입
- [자사주 리포트]두산, 3분의 1만 소각하는 이유는
- [Financial Index/금융지주]신한금융, 부채비율 43%…우리금융 출자여력 '넉넉'
- [Financial Index/SK그룹]절반 이상 PBR '1배 미만', 체면 살린 SK바이오팜
- [Financial Index/LG그룹]그룹 자존심 지킨 에너지솔루션, 2024년 PBR '3.86배'
- [교보생명 SBI저축 인수]SBI홀딩스, '경제적 권리' 70% 합의…실속 챙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