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건설, IBS타워 매각추진…자산효율화 이어간다 DB금융투자 매각주관사 선정, 송도쉐라톤호텔·파가니카CC·美 골프리조트 처분도 지속
김경태 기자공개 2019-02-14 08:57:18
이 기사는 2019년 02월 12일 14시4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대우건설이 약 8년 전 만든 송도 '인터내셔널비즈니스스퀘어(IBS)타워'(사진) 매각에 돌입했다. 자산효율화 차원에서 진행하는 매각으로 현재 일부 원매자들이 관심을 드러내고 있다. 대우건설은 작년부터 매물로 내놓은 송도 쉐라톤 그랜드 인천 호텔 등 3곳에 대한 처분 시도도 지속해 자산효율화를 이룬다는 방침이다.
|
IBS타워는 인천광역시 연수구 센트럴로에 소재한 프라임오피스빌딩이다. 지하 4층~지상 35층이며 연면적은 12만3203㎡ 규모다. 대우건설은 2011년 8월 건물을 준공했다. 대우건설은 IBS타워의 소유주인 '현대 유퍼스트 사모부동산투자신탁 12호'의 신탁업자인 한국스탠다드차타드(SC제일)은행과 2021년 12월 28일까지 책임임대차운용리스 계약을 체결하고 있다. 2017년 3월 6일부터 2019년 8월 29일까지의 기간 동안 매입할 수 있는 우선매수청구권을 보유하고 있다.
IBS타워는 대우건설의 신사옥 후보지로 꾸준히 거론됐던 곳이다. 하지만 약 2년 전 맥킨지로부터 경영 컨설팅을 받고, 유휴 자산 정리가 거론되면서 시장에서는 잠재적인 매물로 분류됐었다. 특히 대우건설이 작년 상반기에 서울 중구 을지로4가에 위치한 써밋타워로 본사를 이전키로 하면서 매각을 본격 시작한 것으로 풀이된다. 작년 9월 초 IBS타워 대출투자자가 변동됐는데, 매각 작업과 맞물린 것으로 관측된다. 기존에는 NH농협생명, 흥국생명, IBK캐피탈, 삼성생명이었다. 현재는 NH농협생명, 한국투자캐피탈, KDB산은캐피탈, IBK캐피탈이다.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일부 부동산자산운용사에서 매각 측을 접촉했고 협의가 있었지만 거래 성사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다만 운용사를 비롯한 잠재적 원매자들을 꾸준히 접촉하고 있다. 대우건설이 매각주관사 기간을 연장하면서 매도 의지를 보이는 만큼 시장의 관심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IBS타워의 매각은 다소 시일이 걸릴 수 있지만, 내부에서는 거래 성사에 대해 긍정적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우건설은 IBS타워 외에도 다른 자산 매각도 지속적으로 진행하면서 자산효율화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대우건설은 작년 초 삼정KPMG를 매각주관사로 선정한 후 △송도 쉐라톤호텔 △파가니카컨트리클럽(CC) △미국 사이판 라오라오베이 골프리조트 처분을 시작했다.
3곳 모두 대우건설의 비핵심자산으로 처분에 나서게 됐다. 송도 쉐라톤호텔은 대우건설의 100% 자회사 대우송도호텔이 소유하고 있다. 파가니카CC는 2016년 춘천개발㈜로부터 인수했고, 대우건설이 직접 보유하고 있다. 위탁운영은 대우건설의 종속사인 푸르지오서비스가 맡고 있다. 라오라오골프리조트는 대우건설의 100% 자회사 'SAIPAN LAULAU DEVELOPMENT,INC.'가 갖고 있다.
삼정KPMG가 작년 6월 잠재적 투자자를 대상으로 투자안내문을 발송하면서 매각 절차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그 후 일부 원매자들과 접촉이 있었지만, 아직 매각하지 못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3곳 다 아직 원매자를 구하지 않은 상황"이라며 "작년과 마찬가지로 올해도 매각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김화진칼럼]영국 RBS
- '환경 변화 고려' CJ제일제당, 그린바이오사업 계속 키운다
- [DN솔루션즈 IPO]고심끝 상장 철회…비우호적 시장 환경에 '결단'
- [i-point]신테카바이오, ‘2025 글로벌 IP 스타기업’ 선정
- [i-point]채비, 서울시 전기버스 충전 인프라 확대 사업자 선정
- [영상/Red & Blue]현대엘리베이터 '주주환원, 리포트, 실적' 삼박자
- 기지개 켜는 인성정보의 '헬스케어'
- [i-point]인텔리안테크, 정부 저궤도 위성통신망 구축 '핵심'
- [NHN 리빌딩]'아픈 손가락' 콘텐츠, 더디지만 잠재력 확신
- [영상]‘메타가 탐낸’ 퓨리오사AI의 백준호 대표에게 들었다…회사의 향후 계획은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HB그룹은 지금]종합엔터 거듭난 HB엔터, '중국자본 동행' 기대감
- HPSP, 예스티 상대 소극적권리심판 항소
- 트럼프 시대, 삼성에 필요한 단어 '그룹'
- [HB그룹은 지금]HB테크놀러지·솔루션, 신성장동력 가시화 언제쯤
- [IR Briefing]LG전자, 조주완 승부수 '적중'·인도법인 IPO '느긋'
- [IR Briefing]'저점 확인' 삼성SDI, 신성장동력 '만반의 준비'
- 삼성전자 미국법인, 인하우스 로비스트 활동 강화
- [HB그룹은 지금]HB테크놀러지·솔루션, HPSP 투자 대박·삼성D 신뢰 '굳건'
- [HB그룹은 지금]장남 승계 확고, 옥상옥 구조 '지배구조 변신'
- [HB그룹은 지금]문흥렬 회장, 정치학도 상사맨의 반세기 영토 확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