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k Manager Awards] "KB, ML 자체 개발능력 보유…활용방안 무궁무진"[thebell interview] 최진경 KB국민은행 신용평가모델 Unit장
손현지 기자공개 2019-10-31 15:33:32
이 기사는 2019년 10월 31일 11:01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KB국민은행의 차별점이자 강점은 직원 스스로 머신러닝(ML)기반 자체 신용평가개발 능력을 확보하고 있다는 점이다. 향후에도 컨설턴트에 의존하지 않고 소매 행동평점모형(BSS)이나 기업신용평가 등 적용분야를 확대해나갈 수 있기에 그 가능성도 무궁무진하다."최진경 국민은행 신용평가모델 유닛(Unit)장(사진)은 '습득을 통한 내재화'가 KB의 문화라고 소개했다. 단순히 용역을 통해 퍼포먼스를 낼 경우 컨설팅 기간이 끝나면 유지보수 관리할 인력이 없어 결국 원점이 된다. 이와 달리 직원들이 개발 스킬이나 경험을 직접 배우게 되면 업무 스펙트럼이 유사한 프로젝트를 만났을때 컨설턴트가 없어도 똑같은 퍼포먼스를 낼 수 있게 된다는 지론이다.
최 유닛장은 "3년전부터 내부적으로 여러 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ML 개발을 새롭게 하자는 수요가 나오기 시작했다"며 "활용에 주안점을 두고 새로운 신용평가모델을 위한 연구를 진행한 결과 2017년에는 파일럿 테스트를 실시하기도 했다"고 초기 개발 배경을 소개했다.

그는 "기존 15년 동안 고수해오던 통계적인 방법론을 탈피해 혁신을 시도하고자 했다"며 "그러나 기존 통계적인 방법론과 달리 신생 ML모델은 아직까지 승인 인프라가 갖춰져 있지 않았고, BIS비율 규제 등에 적용하기 어려운 실정이었다"라고 설명했다.
국민은행의 신용평가모델유닛은 작년 2월부터 외부업체의 자문을 받기 시작했다. '페니로이스'라는 컨설팅업체와 협업해 가계 신용대출자를 대상으로 한 신용평가모델 3개, 기업조기경보모델 2개(법인·개인사업자)를 공동으로 개발했다. 그중에서도 소매형 SOHO, 기업검증모델(외감,비외감1, 비외감2)의 경우 직원들이 방법론을 직접 익혀서 자체개발에 성공한 사례다.
최 유닛장은 "비슷한 예로 지난 7월 바젤 변경승인을 받을 때도 컨설팅을 따로 받지 않았다"며 "이전에는 자문을 받앗었지만 바젤 업무 스펙트럼이 유사하기 때문에 자체적인 역량으로 대응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국민은행 리스크전략그룹 내 17명의 신용평가모델유닛 구성원들은 특히나 전문성을 띈다. 대표적으로 최 유닛장도 국민은행이 지난 1999년 신용평가모형을 처음 만들 때부터 합류한 멤버다. 앞서 15년정도 모델링 업무를 이행하고 그 이후 5년 정도는 모델검증 업무를 통해 신용평가모델 유닛에 몸담아왔다.
이번 은행권역 심사위원들도 국민은행 ML기법모델의 내구성에 주목했다. 내부직원들이 실증적인 경험 축적을 통해 자체 개발 능력을 보유했기 때문에 개발 범위도 다양할 뿐 아니라 신용리스크의 내부관리 역량도 탄탄할 수 밖에 없다는 평가다.
국민은행의 신용평가유닛은 향후 2년간 꾸준히 성능에 대한 검증을 실시해나가겠다는 방침이다. 최 유닛장은 "보통 신설한 신용평가모델들은 정확한 퍼포먼스가 나오기 까지 2년 정도가 소요된다"며 "자체적인 ML역량도 3개월 마다 관리하고 있는데 통계치를 기반으로 정보정의를 통해 유지관리를 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모델 업데이트 주기는 3년으로 계획 중이다. 그는 "신용평가모델은 주기적으로 보강을 해나가야 하는 작업이라 매달 성능검증을 통해 변수가 생긴다면 업데이트 시기를 앞당길 수 도 있다"며 "여신리스크 관리가 위험가중자산과 충당금 추이에 영향을 비칠 수 있는 만큼 운용업무와 개발업무의 균형을 적절히 맞춰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넘버원 K-가전 기술]'10초에 제습기 한대씩' 위닉스 초고속 공정시스템
- [셀트리온의 도전, 서정진의 승부수]서정진 명예회장 "M&A 대상 '밸류체인·플랫폼' 염두"
- [셀트리온의 도전, 서정진의 승부수]'불만을 기대로' 미래전략 말하는 '서정진'式 소통법
- [셀트리온의 도전, 서정진의 승부수]돌아온 서정진, 첫 키워드 사과 그리고 강력한 리더십
- 신학철 LG화학 부회장 "CRMA에 현지화 적극 검토"
- 한글과컴퓨터, 네이버클라우드와 'AI 동맹' 체결
- 위지윅스튜디오, 아티스트 'AI 트윈' 밸류체인 구축
- SK그룹 팹리스 계열사 '사피온', 최소 500억 투자유치 추진
- [VC 글로벌 투자 리포트]파트너스인베스트 해외 투자, 바이오2팀 '트리오' 주도
- '순자산 상태' 국일제지, 회생 인가전 M&A 가능성
손현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넘버원 K-가전 기술]LG전자, '모터 기술력' 진화는 계속된다
- LG디스플레이, 수급보다 수주에 방점...경기민감도 해결할까
- 경동나비엔, 북미시장 정조준…'K-퍼내스'로 정면승부
- 컴투스 주주, '배당액 확인 후 투자 선택' 가능해 진다
- [이사회 분석]넷마블, 이사회 확대 개편… 의사결정 속도 높인다
- 컴투스의 첫 GCIO는 '투자 귀재' 송재준 사장
- 이사회 재편하는 컴투스, 높아진 '법무실' 위상
- [막오른 OLED TV 경쟁]왜 LG는 '올레드', 삼성은 '오엘이디'로 부르나
- 컴투스, '믿을맨' 이주환 전면에…송 형제는 해외 집중
- [막오른 OLED TV 경쟁]최종 승부처는 SW…운영체제에 AI 심는 삼성·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