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K금융 차기 리더는] 빈대인 부산은행장, '행장 연임' 무게추[숏리스트 후보 분석]②디지털금융 성과...2017년도 회장·행장 동시 도전 ‘눈길’
김현정 기자공개 2020-01-29 09:20:20
이 기사는 2020년 01월 28일 07:45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임기 만료를 두 달 앞둔 빈대인 부산은행장(사진)이 BNK금융지주 회장 압축후보군(숏리스트)에 이름이 올랐다. 지주 회장을 노리기보다 행장 연임을 시도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에 무게가 실린다.32년을 줄곧 부산은행에서 일해온 그는 사내 정치와 거리를 두고 업무 능력만으로 임원에 오른 인물로 유명하다. 부산상고-동아대 출신이 주를 이루고 있는 은행 내부에서 학연이나 지연없이 행장까지 올랐다. 2017년 9월 부산은행장에 내정된 직후 빈 행장은 스스로를 ‘화려하지도 않고 눈에 띄지 않았지만 조금씩 나아지는 모습을 보이면서 이 자리까지 왔다’고 자평했다.
이런 이유로 2017년 9월 회장-행장 분리를 앞두고 두 자리 모두 공석이었던 당시에 안팎으로 빈 행장이 지주 회장보다는 부산은행장에 오를 것이라는 얘기가 나왔었다. 행장은 회사를 대표하는 회장직에 비해 회사 내·외부와의 정치적 관계 형성 및 조정 능력보다 업무적 능력이 더 요구되기 때문이다.
당시 빈 행장은 공모 형식으로 진행된 회장·행장 절차에서 다른 임원들과 마찬가지로 지주 회장과 부산은행장 모두에 지원을 했다. 하지만 압축후보군에서 결국 행장 쪽으로 자리를 굳히게 됐다.
빈 행장은 취임 이래 부산은행을 무난히 이끌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 가운데 연임 가능성이 높게 점쳐진다. 빈 행장 취임 전 2017년 부산은행이 거둔 순이익은 2032억원에 그쳐 지방은행 3위로 밀리기도 했었다. 동아스틸 등 기업 대출에서 대규모 부실이 불거지면서 수익성과 건전성 모두 내리막길을 걸었었다.
하지만 빈 행장은 수익성 회복에 힘을 기울였고 2018년 순이익을 3467억원으로 끌어올리며 지방은행 1위 탈환에 성공했다. 전년보다 70.2%나 증가한 수치였다. 다만 2019년에는 부울경 지역의 제조업 침체 장기화와 저금리 기조에 따른 순이자마진(NIM) 하락의 영향으로 순이익(3분기 누적·3555억원)이 소폭 뒷걸음질 쳤다.
부산은행의 디지털금융에 성과가 크다는 평가도 받는다. 부산은행 모바일앱 ‘썸뱅크’의 성장에 기여도가 높고 부산은행의 지점을 선제적으로 미래형 영업점으로 탈바꿈하는 데도 많은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과거 미래채널본부장과 신금융사업본부장 등을 지낸 만큼 디지털 기술에 관련한 이해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빈 행장은 모든 일을 합리적으로 처리하는 상사로 알려져있다. 전형적인 모범생 스타일로 후배들에게 신망이 두터우며 굵직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리더로 평가된다. 부산은행 관계자는 “큰 그림을 잘 그리는 CEO”라며 “고객을 진심으로 대해야 한다는 경영철학을 갖고 있어 거래처나 지점 방문도 굉장히 자주 방문하는 편”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덴티스의 장기 레이스
- M&A 규제 완화에 지방 저축은행 '꿈틀'
- [DGB금융 포트폴리오 진단]DGB캐피탈, 자본규제 강화 속 성장 해법 찾기 숙제
- [thebell note]KB국민은행의 비이자 실험
- 태평양, 바이오텍 법률 자문 전담팀 구성
- [하나금융 차기 리더는]김정태 회장에 주어진 1년, 후계자 양성의 시간
- [교보생명 FI 갈등]어피너티, 딜로이트에 '추가용역 약속' 했나 안했나
- [제약바이오 리더십 해부]잦은 C-레벨 교체, 밸류에이션에 긍정적일까
- [한국씨티은행 철수설]'묵묵부답' 유명순 행장, 전임자와 다른 행보
- 한국코러스, 러시아 백신 어떻게 수주했나
김현정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부산은행 칭다오, 소비자금융 무기로 현지화 '껑충'
- [Deal Story]KB지주, 신종 7년 콜옵션물 '틈새전략' 먹혔다
- BNK금융, CIB수익 목표 3300억…협업으로 돌파
- BNK지주, 내부등급법 도입 '올 상반기' 전망
- 부산·경남은행장 '롱리스트' 확정, 3월 말 최종 선임
- 검찰, 금감원 일반은행검사국 압수수색
- 우리은행 vs 금감원, 라임 제재심 쟁점은
- [BNK금융 포트폴리오 진단]인오가닉 성장? 대형 M&A '숨고르기'
- 금감원, 이례적 예탁원 징계 근거 '자본시장법 60조'
- [은행경영분석]우리은행 NIM 방어 성공, 상대적 규모는 '아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