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化' 제일기획, M&A 효과 '톡톡' 2008년 이후 해외 광고사 꾸준히 인수…실적 견인, 영업익 최초 2000억 돌파
박기수 기자공개 2020-01-30 10:50:37
이 기사는 2020년 01월 29일 15시4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제일기획이 해외 연결 법인들의 성과에 힘입어 창사 이래 최초로 영업이익 2000억원을 달성했다. 2008년 영문 사명을 '제일 월드와이드(Cheil Worldwide)'로 바꾼 이래로 글로벌 광고 회사들을 꾸준히 인수한 제일기획은 그간의 노력의 결실을 보고 있다.제일기획은 최근 실적발표를 통해 지난해 매출총이익과 영업이익으로 각각 1조1649억원, 2058억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2018년과 비교했을 때 매출총이익은 821억원(7.6%), 영업이익은 247억원(13.6%) 늘어났다.
통상 기업의 손익을 평가할 때 매출총이익 대신 매출을 보지만, 광고업계의 글로벌 표준은 매출이 아닌 매출총이익이다. 매출총이익이란 매출에서 매출원가를 제한 값이다. 광고업계에서의 매출총이익은 광고 업체가 광고주로부터 수주한 광고 제작비, 광고비, 수수료 등을 전부 합친 '취급액'에서 광고주가 광고 매체에 지불한 비용과 협력사에게 지불해야 할 비용 등을 제한 값이다.
매출총이익 상승분인 821억원 중 해외 연결 자회사들이 기여한 비중은 무려 97.8%에 해당하는 803억원이다. 유럽과 신흥시장 중심으로 해외 전 지역 순성장을 달성하면서 지난해만 총 8622억원의 매출총이익을 기록했다. 전사에서 해외사업이 차지하는 비중도 2018년 72%에서 지난해 74%로 높아졌다.

제일기획은 2008년 영국 광고대행사 비엠비(BMB)를 인수한 이후 매년 크고 작은 해외 광고사 인수를 단행해왔다. 현재 중국 주요 자회사인 펑타이(Pengtai) 역시 2009년 제일기획이 인수한 기업(당시 오픈타이드차이나(OpenTide China)이다.
그중에서도 2010년대 가장 대표적인 인수는 영국의 쇼퍼마케팅 전문기업인 아이리스 월드와이드(Iris Worldwide)의 인수다. 제일기획을 단순한 '광고회사'가 아닌 고객사 문제를 해결해줄 수 있는 '마케팅 솔루션 컴퍼니'로 거듭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었다. 2014년 말 아이리스의 지분 65%를 약 433억원에 인수한 제일기획은 지난해 추가 지분 인수로 지분율을 100%까지 끌어올렸다.
2018년에는 인도와 동유럽 시장까지 진출했다. 제일기획은 당시 인도의 디지털 마케팅 전문기업인 익스피리언스 커머스(Experience Commerce)를 인수하고, 루마니아 디지털 마케팅 전문기업인 센트레이드(Centrade)를 인수했다. 기존 진출 지역이었던 미국과 영국에서도 각각 89디그리스(89 Degrees)와 더블유디엠피(WDMP)를 인수하며 영토를 넓혔다.

이러한 적극적인 인수 전략을 통해 제일기획은 피인수 광고사들이 기존에 보유하고 있었던 광고주들을 그대로 흡수하는 효과를 봤다. 지난해에도 제일기획은 디스커버리채널(유럽), 리틀 시저스, 파나소닉(북미), 체리자동차, 폭스바겐(중국) 등 다양한 신규 광고주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한편 제일기획은 올해 매출총이익 7% 이상 성장을 약속했다.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지속하는 등 사업 환경이 우호적이지만은 아닐 것으로 보이나, 추가적인 M&A를 통한 해외 사업 경쟁력을 꾸준히 제고해 안정적인 성장을 지속한다는 계획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대신밸류리츠, IPO 수요예측 '흥행'…경쟁률 7대 1
- 구조조정 '신호탄'...롯데케미칼-HD현대, 대산 NCC 통합 추진
- "남은 리밸런싱 과제는"…SK, 엄숙한 분위기 ‘끝장토론’
- 케이카 "제3 경매장 연말 개장한다"
- 취임 9일만에 재계 만난 이재명, 확연한 '친기업 행보'
- '이 대통령 밀착' 이재용 회장, 'AI·반도체·바이오' 투자 강조
- [2025 BIO USA]'발표세션' 첫 출격 삼진제약, 재기 노리는 코오롱티슈진
- [공모주 시장 지각변동]주관사서 이어지는 볼멘소리 "책임 늘고 과실 줄었다"
- AI콴텍, 퇴직연금 RA일임 개시 눈앞…농협은행과 맞손
- 브이아이운용, '국채+삼성전자+공모주' 3중 전략 택한 배경은
박기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PE 포트폴리오 엿보기]세아FSI·에삽 영업 순항, 매각 힘 받을까
- 스카이레이크, 비즈니스온 상폐 자금 상환 추진
- [K-배터리 파이낸스 점검]'은행빚 25조' SK온, 밸류 체인 재무 여파는
- SK온-퓨처엠 합병설 왜 나왔나, 현실성 낮은 이유
- [ROE 분석]진격의 '불닭' 삼양식품, 주주 성과 추가 개선 '기대'
- [Financial Index/생명보험]교보·한화 '엎치락', 보장성보험 확보에 농협생명 '두각'
- [레버리지&커버리지 분석]LG디스플레이, 재무 개선 3대 긍정적 신호
- [Financial Index/생명보험]KB라이프, 유동성자산 인정 범위 축소에도 1위 지속
- [CFO & Credit]남연식 KAI CFO, 내년까지 AA- 등급 사수 과제
- [ROE 분석]HD현대일렉트릭, 올해도 ROE '톱' 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