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금융, 기업구조혁신펀드에 5000억 이상 출자 블라인드 3000억·프로젝트에 2430억 배정
양용비 기자공개 2020-02-04 18:26:53
이 기사는 2020년 02월 04일 18시1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국성장금융투자운용(이하 성장금융)이 올해 5000억원 규모의 기업구조혁신펀드를 조성한다. 이를 통해 자본시장 주도의 원활한 구조조정을 유도하겠다는 복안이다.성장금융은 4일 올해 사업계획을 발표하면서 혁신금융 생태계 조성을 위해 6599억원을 출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통해 1조3000억원 규모의 자펀드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혁신금융 생태계 조성에 쓰이는 6600억원 가운데 대부분(5000억원)은 기업구조혁신펀드를 조성하는 데 쓰일 예정이다. 성장금융이 기업구조혁신펀드 조성을 위해 책정한 5000억원은 지난해 책정한 금액과 비슷한 수준이다.
성장금융은 지난해 기준 5290억원의 기업구조혁신펀드를 운용하고 있다. 자본시장의 기업 구조조정 기능 활성화를 위해 2018년 8월 결성됐다. △KDB산업은행 △IBK기업은행 △수출입은행 △KB국민은행 △농협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캠코 등이 출자자로 이름을 올렸다.
올해 기업구조혁신펀드는 블라인드 펀드와 프로젝트성 투자로 분야를 나눠 결성된다. 블라인드펀드에 3000억원, 프로젝트성 투자에 2430억원이 배정됐다. 프로젝트성 투자에 배정된 2430억원 가운데 430억원은 2018년 조성한 1차 기업구조혁신펀드에서 남은 금액이다. 올해 결성되는 기업구조혁신펀드는 2차 펀드인 셈이다.
성장금융 관계자는 “1차 기업구조혁신펀드는 2018년과 지난해에 걸쳐 조성이 대부분 완료됐다”며 “블라인드 펀드의 경우 초기 투자 단계로 약 700억원이 집행됐다”고 설명했다.
기업구조혁신펀드의 목적은 구조조정 대상 기업의 신속한 경영 정상화를 위한 것이다. 사업성이 있지만 자금난에 시달려 회생절차에 들어가는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결성됐다. 통상 구조조정에 들어가는 기업은 자금 조달이 힘들다. 기업구조혁신펀드는 이같은 기업이 워크아웃에 들어가기 직전 자금 융통에 숨통을 틔워주는 역할을 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평행선 달리는 콜마그룹 분쟁, '3자 합의' 불발
- [IR Briefing]뉴엔AI "클라우드 기반 AI 서비스로 글로벌 진출"
- [i-point]딥노이드, 'M4CXR' 연구로 ESTI 2025 '최우수 구연발표상'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네이버 하이퍼클로바X 기능 전면 무료화
- [영상]에이로봇 한재권 대표가 말하는 '한국 휴머노이드의 미래'
- 도마 포레나해모로, 트램 수혜단지로 '부각'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지배구조 개편 2년만에 시총 60% 증발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15년만에 배당 중단…GM 군산공장 인수 '독됐나'
- [i-point]아이티센글로벌, 자회사 통해 하나은행과 금 사업 협력
- [2025 금융사 이사회 평가]교보·동양·농협생명 공동 12위…평가 항목 차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