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랜우드PE, SKC코오롱PI 거래 종결…PMI 집중 잔금 납입 완료…글로벌시장 지배력 강화 박차
김혜란 기자공개 2020-03-09 11:16:28
이 기사는 2020년 03월 06일 15시2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글랜우드프라이빗에쿼티가 세계 1위 폴리이미드(PI) 필름 기업 SKC코오롱PI 인수 작업을 마무리 지었다. 새 주인이 된 글랜우드PE는 본격적으로 인수 후 통합(PMI) 작업에 돌입할 것으로 전망된다.6일 인수·합병(M&A) 업계에 따르면 글랜우드PE는 이날 매도자인 SKC와 코오롱인더스트리 측에 인수대금 납입을 완료했다. 지난해 12월 말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한 뒤 약 두 달 만에 거래가 종결됐다.
이로써 글랜우드PE는 코스닥 상장사인 SKC코오롱PI 지분 54.07% 인수를 위한 모든 절차를 마무리했다. 총 인수대금은 약 6600억원이다. 이 중 SKC와 코오롱인더스트리 측에 지급하는 돈은 약 6100억원이다. 나머지 자금은 글랜우드PE가 향후 투자 재원 등으로 활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 시장점유율 약 30%로 1위인 SKC코오롱PI를 품은 글랜우드PE는 글로벌 시장 지배력 강화에 초점을 맞춘 밸류업(기업 가치 제고) 전략을 펼 것으로 전망된다. 생산라인을 증설해 PI 필름 생산을 늘리고 가격 경쟁력을 갖추는 방식으로 세계 시장 지배력을 강화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SKC코오롱PI의 주력 제품은 스마트폰과 디스플레이, 전기차 배터리 등에 들어가는 핵심 소재인 PI필름이다. 5G(5세대 이동통신) 장비, 폴더블폰용 베이스 필름, 플렉서블 OLED 등 유색 PI필름 사용 영역이 확대되고 있어 성장 잠재력이 크다는 게 업계의 평가다.
이번 투자 건까지 마치며 글랜우드PE는 기존에 보유한 블라인드펀드를 80%가량 소진했다. SKC코오롱PI 인수에는 블라인드펀드 자금 1350억원이 투입됐다. 나머지는 인수금융(2000억원)과 공동투자펀드(3250억원)를 통해 조달했다.
공동투자펀드에 참여한 주요 LP는 국민연금공단과 교직원공제회다. 두 기관은 글랜우드PE 블라인드펀드의 앵커 LP다. 이와 별도로 SKC코오롱PI 인수를 위해 설립한 특수목적법인(SPC)이 발행한 상환전환우선주(RCPS)를 인수하는 형태로 추가로 자금을 투입했다.
두 기관의 출자 방식이 달라 RCPS 트렌치가 1종과 2종으로 나뉘었다. 1종 RCPS는 2500억원 규모, 1종보다 원리금 상환순위가 후순위인 2종은 750억원 규모로 구성됐다. 1종 RCPS투자자로는 교직원공제회와 농협 등이 참여했고, 2종에는 국민연금 단독으로 750억원을 투입했다. 국민연금은 새로 프로젝트펀드를 만드는 방식이 아니라 보유한 공동투자블라인드펀드를 활용했다. 해당 펀드의 GP는 SKS프라이빗에쿼티-신영증권, 대신PE다. LP들은 SKC코오롱PI의 시장지배력과 현금창출력, 향후 성장성도 높게 평가해 출자를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메티스톤-로프티록, 에스티유니타스 인수한다
- 전동규 서진시스템 대표, 'FI 풋옵션 대비' 3000억 펀딩 추진
- 도미누스, '적자 지속' 건화 담보권 실행 절차 돌입
- 옐로씨매니지먼트, 생성형 AI 기업 '제논' 2대 주주 등극
- 한투파PE, 오아시스 지분 매각 하이라이트 '고수익성'
- 카카오헬스, 300억 유증의 의미 '그룹 신성장' 위상 굳히기
- [뉴엔AI road to IPO]공모자금 연구개발 집중 '글로벌 진출'
- KT의 이유있는 '쓴소리'
- HDC랩스, 그룹 내 시너지 덕에 '턴어라운드' 기대감
- '수성 아이유쉘' CR리츠, 대주단 '엑시트' vs 시공사 '대손'
김혜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코스닥 신사업 '옥석가리기']'나트륨 배터리' 나인테크, 이차전지 포트폴리오 확대
- [Red & Blue]밸류업 나선 나인테크, 신사업 '승부수'
- 플레이오토, 쇼핑몰 관리 모바일 앱 등 부가서비스 3종 출시
- [Red & Blue]위세아이텍 "광학문자인식 신사업 곧 본궤도 진입"
- [i-point]엑스플러스, '퍼프코퍼레이션과 시너지' B2C용 브랜드 런칭
- [i-point]티사이언티픽, KISA 국책 과제 수주
- [i-point]서진시스템 "전동규 대표 책임투자 '최대 실적' 기반"
- [Red & Blue]파워넷, 미중 관세전쟁 반사이익 '수출 확대'
- [유증&디테일]드림텍 지원받는 플라즈맵, 제품군 다변화 시동
- '주가반짝' 엑스페릭스, 전환권 행사 '줄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