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보수' 터졌다..아크임팩트 흑자전환 성공 [헤지펀드 운용사 실적 분석]18기 반기 순이익 29억…아크임팩트멀티스트래티지2호 결산 성과보수 덕
김진현 기자공개 2020-12-09 08:03:33
이 기사는 2020년 12월 07일 15:15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아크임팩트자산운용이 영업수익을 크게 올리며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해외투자를 늘리며 꾸준히 자금을 유치한 게 성과 개선의 비결이다.7일 금융투자협회 공시에 따르면 아크임팩트자산운용(3월 결산)은 18기 반기 기준(2020년 4월~9월) 순이익으로 총 29억원을 벌어들였다. 직전 사업연도인 17기 반기(2019년 4월~9월)에는 마이너스(-) 2억원을 기록한 바 있다.
수수료 수익이 급증하면서 흑자전환을 이끌었다. 18기 반기 기준 아크임팩트자산운용은 수수료 수익으로 36억원을 벌었다. 이는 전 사업연도 10억원보다 26억원(260%) 증가한 수치다.
이 중 대부분은 펀드 운용을 통한 성과보수다. 수수료수익 36억원 중 24억원 가량이 성과보수로 벌어들인 금액이다.
성과 보수에 가장 많은 기여를 한 상품은 '아크임팩트멀티스트래티지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2호'다. 해당 펀드의 결산 성과 보수가 수수료 수익 증가에 도움이 됐다. 해당펀의 설정액은 370억원으로 지난 11월말 기준 50.99%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설정액 증가도 자연스럽게 수수료수익 증가에 기여했다. 아크임팩트자산운용은 지난해 9월말 기준 13개 펀드를 설정해 운용해 왔다. 당시 설정액은 총 933억원이었다. 올해 9월말 기준 아크임팩트자산운용의 운용 펀드는 29개로 늘었고 설정액은 1459억원으로 증가했다.
직전 사업연도 대비 펀드 수는 1.3배 늘었고 설정액은 526억원(56.3%) 증가했다. 여기서 발생한 수수료수익이 약 11억원이다.

영업비용은 직전 사업연도 대비 소폭 증가했다. 18기 반기 기준 영업비용은 17억원으로 집계됐다. 급여 등 판매관리비 항목으로 지출된 비용이 늘면서 영업비용이 증가했다.
18기 반기 기준 영업비용은 17억원이었다. 이 중 11억원이 판매관리비로 지출됐다. 직전 사업연도에는 15억원의 영업비용을 썼다. 당시 판매관리비는 9억원이었다.
영업비용이 늘었지만 영업수익이 큰 폭으로 늘면서 결과적으로 순이익은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지난해 4월 이후 삼성액티브자산운용 주식운용팀장 출신 한성근 대표가 회사를 이끌면서 개선된 경영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한 대표 취임 이후 해외 투자를 꾸준히 늘리면서 투자 지형도 확대하고 있다. 아크임팩트자산운용은 인도, 동남아시아 등 성장 가능성이 높은 지역에서 꾸준히 딜을 발굴하고 있다.
아크임팩트자산운용 관계자는 "최근 결산 펀드 성과 보수 덕에 수수료 수익이 증가됐다"라며 "지난해 말 설정한 해외투자 펀드도 금번 사업연도 성과에 누적 반영되면서 개선된 경영성과가 나타난 것 같다"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김진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기업형 VC 돋보기]인탑스 2세 경영인 김근하 대표, VC에 눈길 돌린 배경은
- [기업형 VC 돋보기]인탑스인베, 인탑스 VC사업 '스핀오프'로 시작
- 오클렌벤처스, 신기사 대신 창투업 등록 '유력'
- [thebell interview]비즈니스캔버스 "즐겁게 함께 일하는 문화 확산 기여하겠다"
- [VC 투자기업]물류 IT 스타트업 '테크타카' 기술력으로 컬리 매료
- 브이플랫폼인베, 첫 출자사업 '결실' 펀드 결성 마침표
- 뮤렉스파트너스, AUM 확대에 주니어 심사역 '수혈'
- 다담인베-세종벤처 합병 '가늠자' 모태펀드 리스크 심사
- [왓챠는 지금]프리IPO 난항에 VC 회수 전략 '동상이몽'
- 출자 사업 '다크호스' 뮤렉스파트너스, 펀드 결성 박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