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M, 한국콜마 제약·콜마파마 인수 최종 완료 코인베펀드·인수금융 등 활용…거래금액 4900억
노아름 기자공개 2020-12-29 08:18:55
이 기사는 2020년 12월 28일 15:30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사모투자펀드(PEF) 운용사 IMM프라이빗에쿼티(PE)가 한국콜마 의약품생산대행(CMO) 사업부문 및 콜마파마 경영권 인수거래 작업을 마쳤다. 양해각서(MOU) 체결 이후 약 10개월만의 거래성사다.2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IMM PE는 한국콜마홀딩스 및 특수관계인과 한국콜마 등에 한국콜마 CMO 사업부문 및 콜마파마 인수 잔금을 이날 납입해 최종적으로 인수절차를 종결한다.
이번 거래금액의 총액은 4900억원 상당이다. IMM PE는 이중에서 약 40%에 해당하는 2000억원을 인수금융으로 조달했다. 인수금융은 KB증권·KB국민은행 등 KB금융그룹이 주선했다. 이외에 2900억원 중 절반씩을 각각 블라인드펀드 로즈골드4호와 LP코인베스트먼트펀드(공동투자펀드)를 활용해 투입했다.
특히 LP코인베스트먼트펀드의 경우 국내·외 6개 기관이 출자자(LP)로 나서 주목받았다. 올해 코로나19(COVID-19) 확산으로 인해 공장 등 유형자산에 대한 비대면실사가 불가피했던 가운데 물리적 한계를 뚫고 해외 LP 출자가 이뤄졌다는 점이 투자업계 관심을 모았다는 설명이다.

매각-인수 양측은 지난 2월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이후 약 10개월 만에 잔금납입을 통한 거래종결에 이르게 됐다. 당초 지난 7월경 영업양도 승인을 받고 인수 작업에 속도를 낼 예정이다. 다만 생산품목·특허권 이전 및 매각대상 자산 범위 등을 재조정 등에 시간이 소요되며 예상됐던 거래종결 시점이 뒤로 밀렸다. 이후 지난 9월 임시주주총회를 거쳐 한국콜마 CMO 사업부문에 대한 영업양도 결정이 이뤄졌고, 매각가 재확정 등 후속절차를 밟아온 끝에 올 연말 매각작업에 마침표를 찍게 됐다.
한국콜마홀딩스는 이번 거래로 HK이노엔(옛 CJ헬스케어)를 인수하는 과정에서 악화된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그룹 사업구조 재편을 통해 핵심역량에 집중할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인다. IMM PE로서는 제약·바이오업종의 첫 바이아웃 트랙레코드를 쌓게 됐다.
IMM PE는 앞서 제약·바이오 산업에 대한 투자기회를 꾸준히 모색해왔다. 셀트리온제약(투자년도·2010년)을 시작으로 한독(2012년), 알보젠코리아(2012년), 제넥신(2014년), 인트론바이오(2016년) 등 제약·바이오 업종에 베팅했다. 주로 메자닌 투자를 선택했던 것과는 달리 이번에는 제약·바이오 업종에서는 첫 경영권 지분 인수에 나섰다.
CMO 특성상 사업변동성이 크지 않아 안정성이 높다는 점이 투자매력으로 꼽혀왔다. 한국콜마 제약사업부문은 한미약품, CJ헬스케어, 동화약품 등 고객사가 생산을 요청하는 내용액·고형제·외용액 등을 생산해 납품하는 사업을 영위해왔다. 연구개발(R&D)을 통해 제품을 개발하고 임상시험 등 시판까지 여러 단계를 넘어야하는 전통 제약사와는 달리 사업변동성이 크지 않은 제조업체들과 사업구조가 엇비슷하다는 의미다.
한편 이번 인수·합병(M&A)과 관련해 매각 측 금융·회계자문은 삼일PwC가 법률자문은 KL파트너스가 각각 제공했다. 이외에 삼일PwC와 법무법인 세종이 각각 인수 측 회계 및 법률자문사로서 IMM PE의 한국콜마 CMO 사업부 및 콜마파마 인수작업을 도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수은 조선업 구조조정 리뷰]'아픈 손가락' SPP조선, 1.4조대 손실의 기억
- [VC 펀드분석]미래에셋세컨더리 1호, 기준수익률 10%p 상회 청산
- 뉴지랩파마, '대사항암제' 암 정복 조준…"삶 건강 기여"
- 한국테크놀로지 자회사, 493억 김포 물류센터 추가 수주
- [중견건설사 재무 점검]'워크아웃 벗어난' 신동아건설, 속도내는 재무개선
- [IB 수수료 점검]폭스바겐FSK ‘짠물 수수료’, 수요예측 보상 안하나
- [Rating Watch]SK이노, 단기 재무부담 가중…자금 유출입 균형 관건
- '자본잠식' 석탄공사, 장기CP 발행 대열 합류
- 카카오뱅크·페이 나란히 예심 청구? '제때' 출격 채비
- [하우스 분석]BNK투자증권, 순이익 500억 굳힌다…IB·운용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