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회 분석]대한전선, 관료출신 사외이사 빈 자리에 회계전문가감사위, 관료 중심에서 회계·법조인 중심으로 변화
김혜란 기자공개 2021-02-26 08:10:17
이 기사는 2021년 02월 25일 10시5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대한전선 이사회가 기존 관료 출신 사외이사의 중도 퇴임으로 공석이 된 자리에 회계전문가를 영입했다. 대한전선 사외이사 구성은 법조인 1명과 회계전문가 2명으로 바뀌게 된다. 감사위원회의 회계·재무 감사 기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사외이사 재편이 이뤄지는 모습이다.25일 대한전선에 따르면, 대한전선 이사회는 전날 정창기 정인회계법인 대표이사를 사외이사로 추천키로 확정했다. 현재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위원은 기타비상무이사인 송인준 IMM프라이빗에쿼티(IMM PE) 대표이사와 김영호 IMM PE 수석부사장이다.
사외이사 신규 선임은 박장호 전 사외이사가 지난해 12월 말 중도퇴임한 데 따른 것이다. 박 전 이사는 지난해 3월 취임해 내년 3월까지가 임기였지만, '일신상의 이유'로 임기를 절반도 채우지 못하고 물러났다.
정 대표이사는 삼정회계법인 출신의 공인회계사다. 안건이 주주총회를 최종 통과하면 대한전선 사외이사진은 법조인 1명과 회계전문가 2명으로 구성이 바뀌게 된다. 현재 사외이사는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 출신 이영구 법무법인 세종 변호사와 공인회계사인 삼덕회계법인 대표다. 두 사람의 임기는 내년 3월까지다.
사외이사 3명은 모두 감사위원으로 활동한다. 상법상 감사위원 중 한 명만 회계·재무전문가면 되지만 대주주인 IMM PE 측은 회계전문가를 영입해 감사위의 기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이사회 구성을 바꾸기로 했다.
IMM PE는 대한전선 인수 후 사외이사진을 관료 출신 중심으로 꾸려왔는데, 이번에 이런 관행을 깼다는 점도 눈에 띈다. 현재 대한전선 매각 작업을 진행 중인 가운데 감사위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여러 면에서 유리하다는 판단도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2015년 9월 IMM PE가 대한전선을 인수한 직후 선임한 사외이사 2명은 모두 관료 출신이었다. 당시 임명된 국무총리실장과 보건복지부 장관을 역임한 임채민 전 이사, 공정거래위원회 상임위원을 지낸 주순식 전 이사가 2020년까지 4년6개월간의 임기를 마쳤다. 이때까지 회계사 출신 기타비상무이사 김영호 수석부사장이 감사위 회계전문가로 활동했다.
이후 사외이사를 3명으로 늘리면서 관료 출신 박 전 이사와 함께 법률전문가와 공인회계사를 한명씩 영입했다. 전선업이 국가기간산업이다보니 정부 부처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네트워크가 있는 인사를 사외이사로 영입하는 것이 경영에 도움이 될 것이란 판단이 깔려 있었다.
업계에선 이번에도 관료 출신 사외이사 선임 전통을 이어갈 거란 관측이 나왔다. 대한전선 측은 "관료 출신 사외이사도 장점이 있지만 감사위원회에 꼭 필요한 회계전문가를 선임하는 것이 더 좋은 방향이라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현재 대한전선 이사회는 기타비상무이사 4명과 사외이사 3명으로 구성돼 있다. 기타비상무이사는 전원이 최대주주인 사모투자펀드(PEF) 운용사 IMM PE 임원이다.
한편, 최대주주인 IMM PE는 최근 블록딜을 단행해 보유 지분을 40%로 낮췄다. 이는 딜 사이즈를 줄여 원매자의 인수 부담을 낮추기 위한 것이다. 매각대상에는 IMM PE 보유지분만이 아니라 기존 채권단이 출자전환해 보유 중인 지분도 포함돼 있다. IMM PE와 하나은행 등 채권단의 합산 지분율은 현재 54.03%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thebell interview]황민영 부대표 “AI 검증 돕는 세계적 기업 되겠다”
- [thebell interview]"사제파트너스, 글로벌 파워 갖춘 K-커뮤니티 꿈꿔"
- [thebell interview]"클레이디스, AI로 3D 쉽게 생성…1분만에 뚝딱"
- 에트리홀딩스, 윤상경 대표 곧 임기만료…공모 돌입
- 산은 미국법인, 프라임마스에 70억 베팅
- ' VC협회장사' 퀀텀벤처스, 과기부 AI GP는 따낼까
- 한국벤처투자 신임 대표에 이대희…첫 '관 출신' 사례
- [thebell interview]황건필 대표 “미국에 햄버거 조리 로봇 도입할 것”
- 신스타프리젠츠, 30억 시리즈A 익스텐션 라운드 시동
- 어니스트벤처스, 과기부 SaaS 재도전 성공할까
김혜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i-point]엑스플러스, 어린이날 맞아 '캐치! 티니핑' 굿즈 기부
- [i-point]김하용 킵스파마 대표 "삼일PwC 지정감사 이상 무"
- [i-point]크라우드웍스, '인력양성바우처 지원사업' 공급
- [Company Watch]한중엔시에스, 미국 생산거점 확보 나선다
- [코스닥 신사업 '옥석가리기']'나트륨 배터리' 나인테크, 이차전지 포트폴리오 확대
- [Red & Blue]밸류업 나선 나인테크, 신사업 '승부수'
- 플레이오토, 쇼핑몰 관리 모바일 앱 등 부가서비스 3종 출시
- [Red & Blue]위세아이텍 "광학문자인식 신사업 곧 본궤도 진입"
- [i-point]엑스플러스, '퍼프코퍼레이션과 시너지' B2C용 브랜드 런칭
- [i-point]티사이언티픽, KISA 국책 과제 수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