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벤처스, '아이퀘스트' 엑시트 착수 일부 지분 블록딜로 정리, 79억 회수···잔여 지분 평가액 65억, 예상 멀티플 5.3배
이명관 기자공개 2021-05-04 11:05:53
이 기사는 2021년 05월 03일 07:41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에이벤처스가 '아이퀘스트' 투자금 회수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아이퀘스트가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후 꾸준히 몸값이 상승하자 에이벤처스는 엑시트 시기를 저울질해왔다. 현재 분위기를 고려하면 5배가 넘는 멀티플로 회수가 가능할 것으로 추산된다. 아이퀘스트는 경영관리 시스템(ERP) 개발사다.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에이벤처스는 아이퀘스트 보유 지분 53만6300주(5.44%)를 블록딜로 처분했다. 보유 지분율은 10.19%에서 4.75%로 하락했다. 1주당 가격은 1만4852원으로 책정됐다. 거래가 이뤄진 지난달 26일 종가 대비 3%에 조금 못 미치는 수준의 할인율이 적용됐다. 거래일 기준 종가는 1만5200원이다.
이번 거래로 에이벤처스는 79억원가량을 회수했다. 이는 아이퀘스트에 투자한 총액을 넘어서는 액수다. 앞서 에이벤처스는 2019년 8월 투자에 나섰고, 당시 아이퀘스트의 첫 투자유치였다.
에이벤처스는 1주당 2800원, 총 27억4000만원을 투자했다. 투자에는 3개의 벤처펀드가 활용됐다. '에이벤처스 alpha 투자조합'과 '에이벤처스 alpha plus 투자조합', 에이벤처스 alpha K 투자조합 등이다.
첫 투자에 나선 지 2년여 만에 기업가치가 수직 상승하면서 에이벤처스는 5배가 넘는 수준의 멀티플을 기록할 수 있을 것으로 점쳐진다. 현재 남아있는 지분율을 고려하면 예상 멀티플은 5.3배 정도다. 30일 종가 기준 에이벤처스의 잔여 지분 평가액은 65억원 수준이다.
에이벤처스는 그간 아이퀘스트 투자금 회수 시기를 저울질해왔다. 특히 코스닥 시장에 입성한 후 연일 신고가 행진을 이어가면서 아이퀘스트에 대한 시장의 관심도 높아졌다. 에이벤처스는 아이퀘스트의 주가 변동성과 시장 상황을 고려해 나머지 잔여 지분 정리 계획을 세울 것으로 보인다.
아이퀘스트는 1996년 11월 설립된 ERP 시스템 개발사다. △매출·손익 관리 △거래처 외상 관리 △세금계산서·거래명세표·견적서·발주서 발행 △직원 관리 △예상세액 조회 등 기업 경영에 필요한 모든 숫자를 분석·정리하는 '얼마에요'를 운영한다. 최근에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기업 경영 소프트웨어 개발로 사업 영역을 넓혔다.
'얼마에요'를 여러 중소·중견 기업에 공급하며 연간 100억~150억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2019년에는 설립 후 최대인 매출액 145억원, 영업이익 24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2019년 말 기준 부채비율은 35%에 불과할 정도로 재무 건전성도 양호하다.
신성장동력으로 삼은 사업분야는 스마트팩토리에 필요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아이퀘스트B1'이다. MES(제조실행시스템), ERP 등 솔루션을 갖춘 스마트팩토리 수요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는 점은 긍정요인이다. 정부가 2022년까지 스마트팩토리 3만개 설립을 목표로 하는 만큼 지원도 점차 확대되는 추세다.
이후 안정적인 매출에 신사업이 어우러지면서 아이퀘스트는 순조롭게 코스닥에 상장할 수 있었다. 특히 IPO 수요예측에서 역대 최고 경쟁률인 '1501 대 1'을 기록하면서 존재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공모가는 1만1000원으로, 상장 이후 주가는 꾸준히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FSN, 자체 NFT 마켓 '엑스클루시브' 시범 출시
- 에디슨이브이 "주주·채권자 상생 협력 논의"
- 제이스코홀딩스, 윌링스 인수 '신재생에너지 사업 진출'
- 우군 많은 하이브, 국민연금·운용사 반대 '일방통행'
- [SKT 2.0 청사진]사람 간 연결 넘어 '시공간 확장'…통신 패러다임 바꾼다
- [IPO 모니터]음극재 소재기업 코본 '프리 IPO', 투자자들 '러브콜'
- 하이텍 가치 상승에 '지주사 딜레마' 커지는 DB
- [루나의 몰락]'뉴 루나' 만든다는 도권의 자구책…실현 가능성은
- [ESG위원회 중간점검]현대중공업, ‘최종 결정권자’ 역할에 충실한 ESG위원회
- P2E 기대감 빠진 조이시티…엔드림, 2년 만에 팔 걷었다
이명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SBI인베스트먼트, 호실적 거둔 스팩투자 '한번 더'
- [기업형 VC 돋보기]지앤텍벤처투자, 국순당 시너지 창출보단 돈줄 역할
- [기업형 VC 돋보기]지앤텍벤처투자, 암흑기 국순당 든든한 버팀목
- 최대 1조 조달 '토스', 투자유치 어디까지 왔나
- [VC 투자기업]UTC인베, 투자 1년여 만에 '세림B&G' 엑시트 착수
- [VC 투자기업]에이유플렉스, IPO 채비 본격화에 VC 엑시트 가시화
- 토탈 솔루션 통신장비 '우리별' 투자유치 추진
- [VC 펀드분석]다올인베, 만기 도래 '국민연금 펀드' 청산 돌입
- [VC 투자기업]IPO 밸류 확정 가온칩스, VC 엑시트 청신호
- [VC 투자기업]유비쿼스인베, '지투파워' 2년만의 엑시트 멀티플 3배 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