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DC' 탑재 오름테라퓨틱, 600억 시리즈 C 마무리 시리즈 B 이후 펀딩액만 1000억…항암 치료제 후보물질 2022년경 IND
최은수 기자공개 2021-06-24 09:13:05
이 기사는 2021년 06월 24일 09:12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항체 기반 혁신신약을 개발하는 바이오벤처 오름테라퓨틱이 최근 600억원 규모의 시리즈 C를 마무리했다. 후기라운드(시리즈 B 이후 투자)에서만 1000억원에 가까운 투자금을 모았다. 오름테라퓨틱은 차세대 항암플랫폼인 AnDC(Antexive neoDegrader Conjugate) 플랫폼 R&D와 항암신약 개발을 위해 조달한 자금을 투입할 예정이다.오름테라퓨틱은 24일 600억 원 규모의 시리즈 C 투자를 딜클로징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에는 IMM인베스트먼트,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인터베스트, KDB 산업은행, 스타셋인베스트먼트, 아이온자산운용, 프리미어파트너스, DS자산운용, KB인베스트먼트와 NH투자증권이 참여했다.
KDB 산업은행이 국내 주요 벤처캐피탈과 공동 결성한 '메가-7 클럽' 및 바이오 전문 투자 VC들도 투자에 가세했다. 오름테라퓨틱이 2019년 시리즈 B에서 조달한 자금을 합치면 후기 라운드에서만 945억원을 조달했다. 2016년 설립 후 시드를 포함해 조달한 자금 총액은 약 1040억원이다.
오름테라퓨틱은 이번 투자금으로 'AnDC' 개발 심화를 위한 연구 시설을 확충하고 임상부서 인력을 보강 및 강화할 예정이다. 기존 개발하던 침투 항체 플랫폼 오로맙(Oromab)은 개발을 잠정 중단했다. 차세대 ADC플랫폼 계열인 AnDC의 사업화 성과 도출이 핵심 과제로 지목되고 있다.
ADC플랫폼은 항체를 기반으로 종양세포에 단백질 분해약물을 특이적으로 전달하는 기술이다. 오름테라퓨틱은 기존 ADC플랫폼보다 독성은 줄이고 약물 탑재 능력은 높인 AnDC를 개발하고 있다. 독성을 줄이는 만큼 더 다양한 항암 적응증을 타깃을 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회사가 보유한 항암 신약 파이프라인은 2개다. 고형암 치료제 후보물질 ORM-5029와 혈액암 치료제 후보물질 ORM-6151이다. 현재 약물 임상을 위한 개념정립 등을 마치고 각각 2022년과 2023년에 임상시험계획(IND)을 제출할 계획이다.
오름테라퓨틱 이승주 대표는 "이번 투자를 통해 기존 항체의약품과 합성의약품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종양의 정밀한 제거를 통해 항암치료를 개선하는 계열 내 최초(First in Class) 신약 개발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오름테라퓨틱 김재원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이번 투자를 계기로 플랫폼 기반의 후보물질에 대한 전임상 연구를 가속화 하고, 임상시험을 위한 자금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고 말했다.
오름테라퓨틱은 이 대표와 아주대학교 김용성 교수가 설립했다. 이 대표는 사노피아벤티스 연구원 및 LG화학 등을 거치며 B형 간염, 간세포암(HCC), 당뇨병, 알츠하이머병 등 질환 치료를 위한 연구를 진행해왔다. 회사는 대전,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 등에 거점을 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마이더스AI, 특수강 전문 '제이슨앤컴퍼니' 인수 완료
- [thebell interview]길현범 빌랑스인베 대표 "출자 사업 꾸준히 도전"
- 세종메디칼 "제넨셀, 코로나19 치료제 임상 2·3상 투약"
- [Company Watch]'꾸준한 투자' 시노펙스, 성장 불씨 지폈다
- '벤처기업부 승격' 대동금속, 20%대 매출 신장 '눈길'
- 예보, 우리금융 2.3% 매각…공적자금 '완전한 탈피' 눈앞
- 영풍제지 매각, 본입찰 후 개별협상 돌입
- 선매 지위 가진 멜론운용, '준공 전' 이천·여주 물류센터 판다
- ABL바이오, 업프론트 900억 회계 처리 방법은
- 수의학도가 설립한 VC, 펫보험·비만치료제 등 투자
최은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글로벌 퇴행성디스크 치료제 선두 경쟁 '지각변동'
- HLB그룹의 주주친화 행보, 추가 무증 가능성은
- [바이오텍 1세대 성과 평가]"보톡스 선구자 정현호, 임상 원점부터 재정비해야"
- 비엔에이치리서치, 120억 시리즈B 클로징
- [제약바이오 시총분석]5월에도 하락국면, 톱 20 시총 2.4조 증발
- [바이오텍 1세대 성과 평가]서정선의 마크로젠, NGS 업적에도 수익성 지속 과제로
- [바이오텍 1세대 성과 평가]헬릭스미스, 엔젠시스 20년 R&D 결실 맺을까
- '바이오벤처 기술특례상장 시대'의 종언
- [바이오텍 1세대 성과 평가]"양윤선의 카티스템, 원히트 원더 극복 과제로"
- '제도권' 진입하는 AI 신약…R&D 판도 바꿀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