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ell

전체기사

애브비의 황반변성 치료제 베팅, 국내 바이오텍 '촉각' 리젠엑스바이오와 3.7억달러 파트너십 계약…큐라클·파멥신·일동제약 등 R&D 매진

임정요 기자공개 2021-09-16 08:10:55

이 기사는 2021년 09월 15일 14시5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글로벌 제약사 애브비(AbbVie)가 리젠엑스바이오(Regenxbio)의 습성황반변성·당뇨병성 망막증 유전자 치료제 파이프라인에 3억7000만달러(약 4330억원) 규모 투자를 단행했다. 최대 마일스톤은 14억달러(약 1조6400억원)에 육박한다.

국내 습성황반변성 치료제 연구기업 입장에선 빅파마 대상 기술수출(L/O) 기회가 한 건 날아간 셈이다. 물론 습성황반변성 치료제를 둘러싼 글로벌 시장 수요를 재확인했다는 데 의미를 부여할 수도 있다. 일부에서는 애브비가 유사 분야에 추가 투자를 단행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지난 7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큐라클의 경우 리젠엑스바이오의 RGX-314와 동일한 적응증인 습성황반변성과 당뇨병성 망막증 대상 파이프라인 CU03을 가지고 있다. 현재 임상 2a상 단계에 있다. 큐라클 관계자는 “CU03의 경우 Anti-VEGF 기전이 아니라 ‘멀티 타깃’이며, ‘경구제(먹는 약)’라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현존하는 습성황반변성 치료제는 리제네론(Regeneron)의 아일리아(Eyelea), 로슈(Roche)의 아바스틴(Avastin) 및 루센티스(Lucentis), 노바티스의 베오뷰(Beovu)가 있다. 이들 치료제는 모두 안구에 직접 주사를 놓는 형태다.
최근 연이은 풋옵션 행사로 자금 난항을 겪고 있는 파멥신의 경우 신규 파이프라인인 PMC-403를 보유하고 있다. 올린베시맙 외에 TIE2 활성화로 혈관 정상화를 꾀하는 항체 약물이다. 황반변성, 당뇨병성망막증, 고형암, 전신모세혈관 누출증후군 등을 타깃으로 하는데 아직 임상 전 초기 개발 단계다.

일동제약의 ID13010는 습성황반변성 치료제로 개발 중인 신약후보물질이다. 점안제형으로 개발 가능한 펩타이드 기반 파이프라인으로 현재 전임상 연구가 진행 중이다.

지난 5월 큐로진생명과학을 합병한 씨드모젠은 황반변성 유전자 치료제 파이프라인 CRG-101의 미국 임상을 계획대로 이행할 전망이다. 이밖에 비상장사 중 황반변성 치료제를 연구하는 회사는 뉴라클제네틱스, 아이씨엠, 노벨티노빌리티 등이 있다.

삼성바이오에피스와 셀트리온도 각각 황반변성 치료제인 아일리아의 바이오시밀러 임상 3상을 진행 중이다. 알테오젠의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는 임상 1상을 종료했다. 올 4분기 또는 내년 1분기에 글로벌 임상 3상을 진행할 전망이다.

한편 이번에 애브비가 공동 연구 협약을 맺은 리젠엑스바이오의 RGX-314는 혈관내피성장인자를 억제하는 항체 절편을 NAV AAV8 벡터에 담은 유전자 치료제다. 현재 임상 2b상을 진행 중이다. 애브비 입장에서 환자가 RGX-314의 투약 한 번으로 질병 완치를 기대해 볼 수 있다는 점에 베팅한 것으로 보인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주)더벨 주소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41 영풍빌딩 4층, 5층, 6층대표/발행인성화용 편집인김용관 등록번호서울아00483
등록년월일2007.12.27 / 제호 : 더벨(thebell) 발행년월일2007.12.30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황철
문의TEL : 02-724-4100 / FAX : 02-724-4109서비스 문의 및 PC 초기화TEL : 02-724-4102기술 및 장애문의TEL : 02-724-4159

더벨의 모든 기사(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 thebel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