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운오리 된 카카오모빌리티, '상장·매각' 갈림길 섰다 카카오, MBK와 수개월간 협상…'불확실성 털어내자' 매각 의지 방증
임효정 기자공개 2022-06-14 07:58:45
이 기사는 2022년 06월 13일 10시2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카카오가 카카오모빌리티의 IPO(기업공개)를 진행 중인 가운데 '매각 카드'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MBK파트너스(이하 MBK)의 선제안으로 시작됐지만 카카오모빌리티의 경영권을 두고 수개월간 협상을 진행했다는 점에서 매각 의지가 확인된 셈이다. 카카오 내부에서도 가격 등 조건이 맞는다면 카카오모빌리티의 매각도 나쁘지 않은 선택지라는 분위기가 전해진다.1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카카오가 카카오모빌리티의 지분을 MBK에 매각하는 방안을 두고 검토해온 것으로 알려진다. MBK의 선제안으로 시작됐지만 카카오 측에서도 의지를 보이며 협상을 이어간 것으로 파악된다. 수개월간 협상이 이어진 것도 매각 의지를 반영한 결과로 비춰지는 대목이다.

카카오와 MBK측은 카카오모빌리티 지분 40% 매매를 두고 협상을 벌여온 것으로 전해진다. 다만 협상 과정에서 가격 눈높이를 좁히지 못하며 소강국면에 접어든 것으로 알려진다. 주인이 바뀌는 상태에서 카카오란 브랜드를 사용할 경우 향후 양측에 불거질 수 있는 리스크도 협상의 걸림돌로 작용했다는 후문이다.
시장에서는 카카오가 현실적인 판단에서 카카오모빌리티 매각을 고려했을 것이란 의견이다. 독과점 논란, 택시업계와 갈등 등 이슈가 복잡한 데다 새정부 들어 규제의 칼이 날카로워질 수 있을 것이란 시각에서다. 모빌리티의 경우 향후 수년간 투자가 불가피하다보니 카카오 입장에서도 투자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더욱이 자금조달의 주 통로로 삼은 IPO 역시 카카오모빌리티에 우호적인 환경이 아니다.
MBK의 선제안이 현재 딜 성사로 이어지진 않았지만 카카오의 카카오모빌리티 매각 의지가 드러나면서 새로운 국면에 직면했다는 평가다.
다른 사모펀드 운용사의 노크가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시장에서는 카카오모빌리티가 관련 섹터에서 독점적 지위를 갖는 데다 성장성도 높아 사모펀드 입장에서 매력적인 포트폴리오가 될 수 있을 것이란 의견이다.
2017년 카카오에서 분사하면서부터 1조원이 넘는 투자금을 모았다는 점이 카카오모빌리티의 성장성을 입증하고 있다. 분사 당시 TPG컨소시엄으로부터 5000억원을 받은 데 이어 2020년 칼라일 그룹으로부터 2200억원을 유치했다. 이들 운용사는 지난해 카카오모빌리티에 후속 투자를 하기도 했다. 구글, ㈜LG에 이어 GS칼텍스와 GS에너지도 지난해 주주로 이름을 올렸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삼성그룹 북미 대관조직 분석]강해지는 트럼프 압박, 늘어나는 로비 금액
- [i-point]신테카바이오, 1분기 매출 9억 '턴어라운드'
- [저축은행 서민금융 리포트]'CSS'에 진심인 OK저축, 중금리로 수익·건전성 관리
- 서수동 메리츠화재 부사장, 1년 만에 윤리경영실장으로 복귀
- 인니 KB뱅크, 이우열 행장 '유종의 미'…후임은 현지인
- [상호금융 부동산 리스크 점검]PF·토담대 한눈판 서민 금융기관, 공동대출 '화' 불렀다
- [디지털 보험사 리포트]'디지털' 내려놓는 하나손보, 희망 보이는 흑자전환
- [카드사 글로벌전략 점검]단독체제 2년차 신한카드, 유관부서 시너지로 새 판 짠다
- NH농협금융, 정치 색채 더해진 이사회 구성
- [BNK금융 인사 풍향계]경남은행, 부산은행과 인사 교류로 '투뱅크' 한계 극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