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에스테이트·신영·SK디앤디, 부동산 플랫폼 진출 기업형 임대주택 개발경험 갖춘 디벨로퍼 중심, 공간서비스 제공 '주거 트렌드' 선도
신민규 기자공개 2022-08-10 10:07:16
이 기사는 2022년 08월 09일 13:55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기업형 임대주택 개발 경험을 갖춘 디벨로퍼들이 부동산 통합관리 플랫폼 시장에 속속 진출하고 있다. 개인 사용자 중심의 자산·임대관리를 시작으로 입주민 주거서비스를 다양하게 제공하는 서비스로 확대되고 있다.KT에스테이트는 상반기 관계사인 '트러스테이'를 통해 부동산 통합자산·임대관리 서비스 플랫폼인 '홈노크'를 론칭했다. 트러스테이는 지난해 KT에스테이트와 야놀자클라우드가 각각 지분 42.9%, 57.1%를 출자해 설립한 프롭테크 기업이다.
'홈노크'는 개인 사용자가 보유 부동산이나 임대물건 주소지를 입력하게 돼 있다. 보유자산이 확인되면 부동산 예상가치나 임대계약 일정 등을 날짜에 맞게 정리해 알려주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임대인에게 필요한 각종 세금(부가세, 종합소득세, 주민세, 종합부동산세 등)에 대한 정보도 제공하고 있다.
KT에스테이트는 기업형 임대주택 브랜드인 '리마크빌'을 가지고 있다. 아직까진 '홈노크'와 별개로 운영되고 있다. 중장기적으로 그룹내 노후 중소형 자산을 개발해 임대 제공하면서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입주민을 대상으로 주거 서비스를 특화한 플랫폼도 대형 디벨로퍼의 러브콜을 받고 있다. 신영그룹 계열인 신영자산관리는 주거 서비스 플랫폼 기업인 쏘시오리빙과 합병 절차를 상반기 마무리지었다. 새 합병법인의 사명은 에스엘플랫폼이다.
에스엘플랫폼은 아파트, 오피스텔, 생활형 숙박시설 등의 커뮤니티 시설 운영을 비롯해 입주민 주거서비스를 다양하게 제공해 화제를 모았다. 주거서비스는 조식을 비롯해 반찬딜리버리, 카셰어링, 세대청소, 그림렌탈, 세탁, 중고물품매입 등으로 생활에 필요한 전반적인 편의제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합병전 신영자산관리는 임대주택 브랜드 '지웰홈스'를 통해 임대운영사업을 영위해왔다. 2017년 '지웰홈스 동대문'을 시작으로 서초, 왕십리 등에서 경험을 쌓았다. 에스엘플랫폼 출범으로 단순 임대에서 나아가 차원높은 공간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삼고 있다.
임대주택 브랜드 '에피소드'를 운영하는 SK디앤디 역시 지난달 중장기 사업전략에 주거상품에 대한 플랫폼을 추가했다. 물리적 자산을 의미하는 부동산을 넘어 부동산 금융, 운영, 서비스 등을 포괄한 '공간사업자(space developer)'로 나아가기 위한 복안으로 풀이된다.
SK디앤디는 △개발 및 설계 △시공과 공급 △거래 및 운영 △서비스 및 콘텐츠 등 전체 부동산 라이프 사이클을 통합한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 첫 단계로 주거상품에 대한 솔루션을 도입하고 공간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통합 플랫폼을 구현할 예정이다.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플랫폼 비즈니스도 구상하고 있다.
내부적으로 플랫폼 서비스를 위해 메타스페이스(Meta-space) 본부와 공간 크리에이티브 조직을 신설하기도 했다.
시장 관계자는 "거주공간에 어떤 서비스가 구축돼 있는지에 따라 선호도가 달라지는 새로운 주거문화가 다가오고 있다"며 "기업형 임대주택 경험을 갖춘 디벨로퍼 중심으로 발빠르게 플랫폼을 만들어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우리금융 차기 리더는]중량감 넘치는 숏리스트 4인방 ‘이원덕·신현석·이동연·임종룡’
- 'BBB' HL D&I, 공모채 발행 추진…금리 메리트 앞세워
- 코리아에너지터미널 공모채 '4650억' 수요 몰렸다
- SK인천석화, A급 회사채 온기 이어갈까
- [투자 포트폴리오 리포트/LS그룹]전방위 지원 10년…LS아이앤디는 ‘밑 빠진 독’일까
- 롯데하이마트, 가까스로 완판 '절반의 성공'
- KB금융, 금리 메리트에 신종자본증권 '흥행'
- 세토피아, 친환경 첨단 소재 진출 기반 마련
- 팹리스 '리벨리온' 행보에 거는 기대
- [블록체인산업 ESG 혁신]람다256 루니버스, PoA 기반 저탄소 블록체인 앞장
신민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건설부동산 IPO 로드맵]GS건설, 상장 도구 글로벌워터솔루션 '복잡한 밑그림'
- [건설부동산 IPO 로드맵]SK에코플랜트, 이종업 시프트 완료 '밸류업 훈풍' 기대
- [건설부동산 IPO 로드맵]난기류에 대부분 '홀드', 쌓여가는 '이슈어'
- 4000억 용지 쥔 계룡건설산업, 부동산개발협회 '노크'
- 건설사 후분양 '딜레마'
- GS건설, GTX보다 '민자사업' 집중
- [건설부동산 풍향계]건설업계 vs 신평사, 초기 분양계약률 두고 '동상이몽'
- [건설부동산 줌人]디벨로퍼 엠디엠, 다올투자증권 이경수 상무 영입
- 신한자산신탁에 넘어간 유성호텔, 넥스트스텝 '주목'
- GS건설, '설계변경' 사업장 연초 공사비 인상 '성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