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벨로퍼 열전]'설계 차별화' 루시아홀딩스, 도산대로서 '완판'분양 전환 후 한달만, 공동주택 분양 예정…루시아벨트 형성 전략 '빛'
이정완 기자공개 2022-09-26 07:25:38
[편집자주]
국내 부동산 디벨로퍼(Developer)의 역사는 길지 않다. IMF 외환위기 이후 국내 건설사들이 분양위험을 분리하려는 움직임이 시작되면서 본격적으로 태동했다. 당시만 해도 다수의 업체가 명멸을 지속했고 두각을 드러내는 시행사가 적었다. 그러다 최근 실력과 규모를 갖춘 전통의 강호와 신진 디벨로퍼가 동시에 나타나면서 업계 성장을 이끌고 있다. 하지만 부동산 경기가 둔화하면서 그들 앞에는 쉽지 않은 길이 놓여 있는 상황이다. 더벨이 부동산 개발의 ‘설계자’로 불리는 디벨로퍼의 현 주소와 향후 전망을 진단해본다.
이 기사는 2022년 09월 23일 15:31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루시아홀딩스의 두 번째 개발 프로젝트인 '루시아 청담 546 더리버' 오피스텔이 사실상 완판에 성공했다. 상품성을 높이기 위해 한강이 보이는 입지에 도산대로 최고층 건물로 인허가를 얻은 전략이 주효했다. 연이은 분양 성과 덕에 이른바 '루시아벨트' 형성에도 힘이 실릴 전망이다.23일 부동산 개발업계에 따르면 루시아홀딩스가 분양한 루시아 청담 546 더리버 주거용 오피스텔은 분양 개시한 지 4주가 흐른 지난달 말 최고층 펜트하우스를 제외하고 모두 계약을 마쳤다. 현재 펜트하우스도 분양을 긍정적으로 논의 중인 단계로 알려졌다. 지난 6월 사전예약 때부터 수요자의 관심이 컸던 만큼 분양 전환 후 빠르게 완판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최근 금리 인상 기조로 인해 서울 강남 일대 고급 주거시설에 대한 분양 시장 분위기가 침체된 상황 속에서도 이뤄낸 성과라 더욱 눈에 띈다. 실제 일부 초고거 주거시설에선 청약 미달 사례가 발생하기도 했다.
루시아 청담 546 더리버는 지하 7층~지상 29층 규모로 주거용 오피스텔 11실, 공동주택 15가구로 구성됐다. 공동주택도 곧 분양을 앞두고 있는데 최근 정부가 15억원 초과 공동주택에 대한 대출 규제 완화를 검토하면서 회사 측에 우호적인 여건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루시아홀딩스는 기획 초기부터 차별화된 상품을 선보이는데 집중했다. 루시아홀딩스는 지난해 말 바디프랜드 청담 직영점이 위치하던 서울 강남구 청담동 53-5번지 부지를 매입해 개발을 준비했다.
루시아홀딩스가 강점으로 내세운 것은 중대형 설계다. 최근 수년 동안 청담동 지역에 중대형 평형 주거시설 공급이 적었던 점을 감안해 잠재 수요를 공략했다. 한 층에 한 가구만 거주하는 구조로 넓은 공간을 확보했다.
영동대교 남단과 도산대로가 만나는 곳에 지어지는 루시아 청담 546 더리버의 입지 조건을 활용하기 위해 도산대로에 지어진 주거시설 중 가장 높은 110미터로 인허가를 얻기도 했다. 이 덕에 전 세대에서 한강 조망이 가능해졌다.
모델하우스에서도 이 같은 부분을 강조했다. 루시아홀딩스는 지난 7월 말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서 갤러리 성격의 모델하우스를 열었다. 한 층의 벽면 전체에 개발 예정지에서 바라보는 한강을 보여주는 미디어월을 설치했고 또 다른 공간에는 단순 도면을 넘어 중대형 평형 주거시설을 보여주기 위해 유닛 전체를 그대로 지었다.

루시아홀딩스는 루시아 청담 546 더리버처럼 도산대로를 중심으로 한 개발에 한창이다. 디벨로퍼 업계에서 20년 이상의 경력을 쌓은 채지원 대표이사가 이 지역에 루시아벨트를 형성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루시아(LUXIA)' 브랜드 첫 번째 프로젝트였던 루시아 도산 208은 지난해 3월 분양을 시작한 지 2개월 만에 완판에 성공했다. 내·외부 모두 특화 설계를 비롯 호텔식 컨시어지 서비스 등을 적용했다.
두 번째 사업인 루시아 청담 546 더리버 이후로도 다수의 프로젝트가 예정돼있다. 청담사거리와 영동대교 남단 사이에서 친환경 그린빌딩 콘셉트의 루시아 청담 514 더테라스를 준비 중이다.
지난 7월에는 강남구 논현동 61-5, 61-8번지에 위치한 DMCC빌딩과 논현동 61-6, 61-7번지에 위치한 지안빌딩을 약 1600억원에 사들이는 계약을 체결했다. 루시아홀딩스는 두 건물도 각 루시아 도산 224, 루시아 도산 226이라는 이름의 고급 주거시설로 탈바꿈할 예정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2차전지' 에코프로비엠, 최대 3000억 공모채 추진
- LS전선, 최대 1800억 공모채 추진
- 신세계백화점, '그룹과 별도 행보' 브랜드본부 신설
- [롯데의 베트남 시대]"면세점은 역시 럭셔리, 신규 출점 검토"
- [Red & Blue]'황제주의 추억' 오뚜기, 잠룡일까 항룡일까
- [베일 벗은 부산 디지털자산거래소]최대 숙제 '원화 거래 지원', 부산시 지원사격 받는다
- 디딤이앤에프, 임직원 266명 탄원서 제출
- [심상찮은 카드사 비용 리스크]롯데카드, 차기 CFO의 제1 과제는 '자본확충'
- [KAI를 움직이는 사람들]재무개선 기반 강화, 박상욱 CFO 역량 '시험대'
- 라이트론, 유럽 광통신 컨퍼런스서 100G 제품 전시
이정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Korean Paper]3년만에 돌아온 LH, 발행 주기 짧아질까
- "스타트업 투자에도 ESG 가이드라인 필요"
- [IB 수수료 점검]삼성증권, 레뷰코퍼 흥행 '확실하게' 보상받았다
- [Korean Paper]LG엔솔, '조달처이자 투자처' 미국 투자자에 공들였다
- [IPO 모니터]DB금투, 케이엔알시스템 주관사단 합류 배경은
- 반년만에 공모채 코리아에너지터미널, '완판' 성과
- [Korean Paper]외화채 '데뷔' LG에너지솔루션, 북빌딩 돌입
- 공모채 찍는 코리아에너지터미널, KB증권 '첫 선택'
- [IB 풍향계]커버리지 힘싣는 한국증권, 대기업 유증 '필참'
- '차입 부담' SK해운, 연이어 사모채 선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