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심, 'M&A 정조준' 비축한 현금곳간 푼다 국내외 사업 '레벨업', 5846억 실탄 기반 '신성장 동력' 물색
김선호 기자공개 2022-09-07 08:15:42
이 기사는 2022년 09월 07일 08:10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오너 2세인 신동원 회장의 경영시대를 맞이한 농심이 비축한 현금곳간을 기반으로 건강기능식품업체인 천호앤케어 인수를 추진한다. 그동안 잠재 인수자로만 거론됐던 농심이 본격적으로 인수합병(M&A) 시장에서 두각을 보이고 있는 양상이다.7일 업계에 따르면 농심은 최근 천호앤케어 매각 예비입찰에서 적격예비인수후보(숏리스트)에 이름을 올렸다. 사모펀드인 카무르프라이빗에쿼티(PE)가 보유한 천호앤케어 지분 76.8%가 거래 대상이다. 농심으로서는 2020년 프로게임단 농심이스포츠 인수 이후 첫 M&A 추진이다.
특히 신 회장이 지난해 7월 공식적으로 그룹 회장에 오르면서 오너 2세 경영시대를 맞이한 농심이 M&A 시장에 등장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라면사업 비중이 큰 농심이 건강기능식품 등 신사업을 적극 발굴해 신성장 동력을 탑재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당시 신 회장은 '변화와 혁신을 통한 뉴 농심'을 만들어나가겠다는 포부를 밝히면서 내부로부터의 변화를 통한 사회적 역할 수행과 국내외 사업의 레벨업으로 더 좋은 성장을 해나가겠다는 의지를 전했다.
이를 위해 그동안 비축해놓은 현금곳간을 활용할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2분기 말 연결기준 농심의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1489억원으로 여기에 단기금융상품과 기타금융자산을 합산하면 5846억원에 이른다. 2021년 말 대비 5% 증가한 수치다.

농심은 영업활동 현금흐름의 플러스(+) 기조를 이어나가면서 현금곳간을 채워왔던 것으로 보인다. 실제 올해 상반기에도 투자·재무활동이 각각 마이너스(-) 708억원과 680억원을 기록했지만 영업활동 현금흐름으로 1228억원이 유입됐다.
같은 기간 현금 및 현금성자산이 85억원 감소했지만 투자활동 현금흐름에서 장단기금융상품 증가에 2616억원, 기타금융자산의 취득에 8908억원을 활용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그만큼 M&A에 투입할 수 있는 자금이 풍부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농심은 신사업을 추진하고 시너지를 창출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식품 관련 기업에 투자에 눈독을 들여왔다. 2021년에만 퓨처키친, 비욘드넥스트, 크리에이터스랩, 스테이정글, 초블레스, 비페코에 지분투자를 단행했다.

투자 규모로 볼 때 퓨처키친 지분 5% 취득에 5억원을 투입한 게 가장 크다. 그만큼 현금곳간은 넉넉하지만 대규모의 자금을 투입하지 않았던 양상이다. 다만 천호앤케어 인수에 나서면서 이러한 기조가 대폭 변화될 것으로 관측된다.
카무르프라이빗에쿼티가 2015년 400억원 가량을 투입해 천호앤케어 지분을 확보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기존 주주로서는 그 이상의 가격에 매각할 가능성이 크다. 농심으로서는 아직 검토 중인 단계라고 하지만 농심이스포츠 이후 최대 규모의 딜이 될 것으로 보인다.
농심 관계자는 "천호앤케어 인수 후보군에 포함된 것은 맞지만 아직 최종 인수가 확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지켜봐야 하는 상황"라며 "사업 다각화를 위한 목적에서 이번 M&A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현대차증권, 후순위채 증액 성공…1200억 자본 확충
- SK텔레콤, 신종자본증권 2배 수요 모았다
- '2차전지 뜨겁네' 동화일렉트로라이트, 1200억 프리IPO 성료
- [넘버원 K-가전 기술]경동나비엔, 'OK or NG' 검사로봇의 품질관리
- 시프트업, 밸류업 무기는 '콘솔 신작'
- [모빌리티 플랫폼은 지금]곳간 비어가는 타다, 토스·쏘카 '추가 출자'는 언제
- 일본 반도체 거점 늘리는 삼성전자, 세 가지 쟁점 보니
- [글로벌 빅테크와 기울어진 운동장]최초 인앱결제 강제 방지법, 규제 우회에 '유명무실'
- [모빌리티 플랫폼은 지금]우티, 유한회사 한계…우버 의지에 달린 생존 가능성
- "베트남 IT 교육 선점…이제는 B2B로 눈 돌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