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거래소 상장법칙]'토종코인' 비중 높은 코인원 장단점은①다양한 투자 선택지 제공, 부실코인 발견 시 즉각 대응
노윤주 기자공개 2022-09-16 09:52:09
[편집자주]
원화거래를 지원하는 5대 가상자산거래소가 DAXA 협의체를 통해 마련한 공동 상장규칙을 시범 적용했다. 지금까지는 서로 다른 규정에 따라 각자 상장을 진행했지만 테라-루나 사태로 불거진 상장규칙 통일 요구에 최소한의 공동 대응책을 마련한 것이다. 투자자는 보호하면서 상장종목 일률화는 방지하겠다는 게 협의체 취지다. 5대 거래소가 공개한 상장방침부터 각사에 상장된 코인의 특징을 살펴본다.
이 기사는 2022년 09월 13일 16:13 thebell 유료서비스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코인원은 주요 가상자산거래소 중 국내 토종코인 일명 '김치코인' 비중이 가장 높다. 40%에 육박한다. 적게는 10%, 많게는 20%에 불과한 경쟁사 김치코인 비중과 비교하면 확실히 높은 수치다.2019년부터 운영하던 그로스(Growth) 마켓의 영향이 크다. 코인원은 한때 원화마켓을 메인과 그로스 두 종류로 나눈 바 있다. 코넥스 시장처럼 성장 중인 초기 프로젝트를 대중에게 소개하겠다는 목표였다. 그로스 마켓은 2년간의 운영을 마치고 없어졌지만 당시 상장됐던 종목들이 그대로 이관되면서 높은 국산코인 비중과 원화마켓 국내 최다종목 지원이라는 타이틀을 갖게 됐다.
◇코인계의 '코넥스' 표방…신생코인에게도 성장기회 제공
코인원은 원화마켓에 총 195개의 종목을 상장하고 있다. 이 가운데 110개(56.4%)가 해외코인이다. 국내코인은 76개(38.9%)가 거래되고 있다. 백서가 없거나 백서 또는 기타 자료에서 팀멤버 소개가 없어 국적을 알 수 없는 코인은 9개(4.6%다).

코인원의 상장 속도는 2019년 그로스 마켓을 신설한 뒤 눈에 띄게 빨라지기 시작했다. 그전까지 보수적인 상장으로 유명했지만 노선을 바꿨다. 차명훈 코인원 대표는 2020년 열렸던 6주년 간담회에서 "시장이 많이 성숙했다"며 상장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투자자의 코인 선별능력이 향상했고 이에 맞춘 거래소의 역할은 더 많은 종목을 투자자에게 소개하는 것이라는 게 차 대표의 생각이었다.
이 기조는 아직 유효하다. 코인원 관계자는 "코넥스 정책이라고도 부른 해당 상장 기조는 여전히 반영하고 있다"며 "다만 시장의 투자성향 변경에 따라 메인과 그로스로 이원화하던 정책을 폐지하고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는 테마별 카테고리를 제공 중이다. △결제 △확장솔루션 △디파이 △이커머스△소셜 등 특징 19개로 나눠 분류하고 이 특징을 가진 가상자산만 모아볼 수 있도록 구성했다.
◇성장코인 관리 한계…철저한 모니터링으로 극복한다
다종목 지원에는 단점도 존재한다. 대표 사례가 단독상장이다. 국내서는 코인원에만 상장돼 있는 김치코인의 비중이 크다. 한 거래소에만 상장돼 있을 경우 시세 조종 등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셀럽큐 등 국내외 통틀어 코인원에서만 거래할 수 있는 코인도 있다.
초기 프로젝트를 상장하다 보니 정보가 미흡한 경우도 발생한다. 백서가 도중에 삭제되기도 한다. 상장 당시 공지사항에 적힌 백서 링크를 누르면 페이지가 삭제됐다는 표시가 나온다. 코인원 측은 프로젝트에서 백서를 업데이트하며 링크가 변경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누락된 부분을 빠르게 확인해 수정하겠다고 밝혔다.
정보 미제공, 로드맵 미이행이 발생하면 유의종목 지정 후 상장폐지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코인원은 올해만 21개 종목을 상폐했다. 여기엔 루나 관련 코인과 익명성 기능을 추가해 퇴출당한 라이트코인도 포함돼 있다.
코인원은 종목이 개수와 관계없이 철저한 모니터링을 통해 상장 규정에 미달하는 코인을 걸러내겠다고 강조했다. 코인원 관계자는 "상장된 이후에도 사업 계획대로 운영하고 있는지 상장심사위원회에서 상시 모니터링을 진행한다"며 "모니터링을 통해 프로젝트의 주요 공시 불이행 및 누락 혹은 해당 공시를 통한 허위사실 게재 등이 발견될 경우 즉시 유의종목 지정 등의 제재를 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신한금융 인사 풍향계]한용구 행장 사임…다시 주목받는 자추위
- 전열 가다듬은 이복현 원장, 금융시장 안정 칼 뺐다
- 알파홀딩스-신화아이티, 美 SES AI와 MOU 체결
- 지엔원에너지, 샌디에이고 주립대와 공동개발 계약
- 아나패스, 차세대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개발 속도
- 씨앤투스, 소재 경쟁력으로 미국시장 '정조준'
- [삼성 메모리 무감산 공방]감산 여부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 '파라메타'로 사명 바꾼 아이콘루프…신사업에 전부 걸었다
- [통신 삼국지 흔드는 알뜰폰]간판 바꾼 토스모바일, 시장 다시 한번 흔드나
- 한독 오너회사 '와이앤에스인터' 주담대 줄인 이유
노윤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파라메타'로 사명 바꾼 아이콘루프…신사업에 전부 걸었다
- [2023 크립토 프리뷰]정보 공시 의무 강화해야…규제에서 기회 찾을 수 있어
- [2023 크립토 프리뷰]'스테이블 코인·투명성', 과거 실패에서 찾은 새로운 길
- [메타콩즈 리스타트]멋쟁이사자처럼, 본업인 '교육'에 블록체인 사업 녹인다
- [2023 크립토 프리뷰]약해지는 '불확실성'…가상자산 시가총액 회복 긍정적
- [메타콩즈 리스타트]모던라이언의 '콘크리트', 멋사 NFT 전진기지 될까
- 'FTX 사태' 이젠 털고 일어설 때
- '속도전' 필요한 로똔다, 서비스 출시 앞두고 국내 협업 활발
- 업비트·빗썸, FTX 채권자 명단 이름 올린 연유는
- [메타콩즈 리스타트]P2E '실타래', 편의성 강화해 진입 장벽 낮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