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 옥석가리기]인벤티지랩, 'DDS 플랫폼' 앞세워 최대 2200억 밸류높은 사업 확장성·탈모 치료 주사제 임상 성과 확보 주효
최은수 기자공개 2022-09-26 07:15:57
[편집자주]
제2의 바이오 투자 붐이 일고 있다. 한국 경제를 이끌 마지막 성장 동력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다수의 바이오 업체들은 국내 IPO 시장의 풍부한 유동성을 활용해 한 단계 도약을 꿈꾸고 있다. 업계의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는 가운데 더벨이 '옥석'을 가려보기로 했다
이 기사는 2022년 09월 23일 11시0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인벤티지랩이 코스닥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를 통과했다. 공모 과정에서 최대 2200억원의 기업가치를 책정했다. 회사는 약물을 몸 속에 보내는 마이크로스피어의 균일한 입자 크기를 유지하는 기술을 토대로 약물 전달(DDS) 플랫폼을 개발했다. 올해 들어 주력 파이프라인 성과를 확보했고 기술이전도 체결하면서 몸값을 대폭 끌어올렸다.인벤티지랩은 이달 22일 거래소의 코스닥 상장 예심을 통과했다. 이번 예비심사 과정에서 책정한 청구 공모 규모는 247억원에서 338억원이다. 희망 주당 공모가는 1만9000원~2만6000원으로 제시했다. 공모 밴드 상단가(2만6000원)와 공모예정주식수(847만4248주)를 대입해 산출한 기업가치는 최대 2203억원이다.
회사가 2020년 5월 시리즈C(140억원)을 통해 책정한 포스트밸류는 약 770억원이다. 시리즈C 당시 신주 발행단가는 1만2000원이었으며 스틱인베스트먼트, 스톤브릿지벤처스, SJ투자파트너스, 미래에셋캐피탈, 파트너스인베스트먼트, 시너지아이비투자, 캐피탈원, 산은캐피탈, 대웅제약 등을 투자자로 맞았다.
올해 5월 10일 코스닥 예비심사를 청구했다. 영업일 기준으론 92일 만이다. 작년부터 올해 9월까지 바이오벤처가 거래소로부터 예심 결과를 통보받는 데 평균 영업일(72일)보다 오래 걸렸다. 올해 하반기 들어 다양한 임상 및 사업화 성과가 나오면서 예심 문턱을 넘어섰다. 상장 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이다.
대표 사례는 작년 9월 호주 IND 승인을 받은 탈모 치료 장기 지속형 주사제 'IVL3001' 제형변경 목적 1상을 완료한 것이 꼽힌다. 회사는 해당 임상에서 안정적인 약물 혈중 농도(AUC)를 유지하고 혈중 DHT 억제와 내약성 등을 확인했다.
미 FDA는 제형 변경 임상의 경우 1상에서 유의미한 AUC 결과를 도출하면 해당 기준만으로 시판 허가 신청을 내준다. 다만 회사 측은 전반적인 통계적 유의성 확보를 위해 2상을 건너뛰고 약 200~300명을 대상으로 하는 3상(글로벌)을 신청할 계획이다. 3상은 대웅제약이 주도하며, 최종 임상에 성공하면 위더스제약이 생산을 맡는다.
장기지속 치매 치료제 후보물질인 'IVL3003'은 올해 6월 호주 식품의약품안전청(TGA)으로부터 본임상(호주 1/2상)을 승인받았다. 기존 치매 치료제에서 나타나는 낮은 복약순응도, 위장관 부작용 가능성, 약을 삼킬 때 겪는 장애 등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올해 8월엔 프랑스 소재 글로벌 동물의약품 전문기업인 버박(Virbac S.A.)과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인벤티지랩이 기술 이전한 장기지속형 주사제는 'IVL2002', 'IVL2004', 'IVL2009' 등이다. 버박은 계약 이후 모든 임상 개발 비용을 직접 부담하며, 인벤티지랩은 계약금과 마일스톤(단계별수수료), 판매로열티, 생산로열티를 수령한다.
인벤티지랩은 2015년 김주희 대표가 설립했다. 김 대표는 씨젠, 한국슈넬제약, 휴버트바이오, 비씨월드제약 등에서 근무하며 임상 인허가(RA) 관련 전문 경력을 쌓았다. 김 대표의 개인 지분율은 20.4%, 특수관계인을 포함한 지분율은 23.1%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아이티센클로잇, ‘홈넘버’로 안전한 쇼핑 환경 조성
- [계열사 정리 나선 쌍방울 그룹]퓨처코어 매각 구체화, 그룹 해체 마무리 단계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지배력 '탄탄한' 유양석 회장, 승계이슈는 '먼일'
- 한화그룹, 미국 대관조직 '컨트롤타워' 만든다
- 우리금융, '회장 3연임 주총 특별결의' 신설…금융권 영향은
- [카드사 글로벌전략 점검]신한카드, 글로벌 4각편대…카자흐, 'JV전환' 덕 봤다
- [Policy Radar]'1거래소-1은행' 원칙 폐기 짚어볼 두 가지
- [여전사경영분석]NH농협캐피탈, 건전성 중심 운영 지속…상반기 실적 전망은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CET1비율 새 목표 '13%', 자본 배치 계획은
- [캐피탈사 해외법인 실적 점검]BNK캐피탈, 중앙아 법인 성장 궤도 안착…신사업 추진 지속
최은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캐시플로 모니터]삼성전자, 2년 연속 조단위 순차입…별도기준 30조 증가
- [Financial Index/LG그룹]LG화학·LG에너지솔루션, 계열사 'CAPEX 원투펀치'
- [Financial Index/LG그룹]전반적 현금흐름 양호 …전자 OCF 7조 돌파
- [유동성 풍향계]아리바이오, '자산용도제한' 여파 소룩스 대상 CB 발행
- [Financial Index/LG그룹]에너지솔루션, 2년 새 9조 순차입…생활건강은 순현금 기조
- [Financial Index/LG그룹]LG전자, 조단위 현금 창출…디스플레이도 반등 국면
- [Financial Index/LG그룹]외연 25% 늘린 LG디스플레이 '암흑기 끝이 보인다'
- [Financial Index/LG그룹]주가 사수한 유플러스·HS애드, 낙폭 개선은 생활건강
- [Financial Index/LG그룹]그룹 자존심 지킨 에너지솔루션, 2024년 PBR '3.86배'
- [Financial Index/LG그룹]'자본 2000억' HS애드, 2024년 유일한 10%대 이익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