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에피스·셀트리온, 9조 아바스틴 시장 공략 가능성은 암젠·화이자의 시밀러 제품과 경쟁…로슈, 병용전략으로 매출 방어
홍숙 기자공개 2022-10-04 08:22:33
이 기사는 2022년 09월 30일 08:20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삼성바이오에피스와 셀트리온이 9조원 시장의 아바스틴 시장을 공략한다. 암젠과 화이자가 바이오시밀러 제품을 출시했고, 오리지널 개발사인 로슈·제넨텍은 병용전략으로 시장 방어에 나섰다. 삼성바이오에피스와 셀트리온이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늘려나갈 수 있을지 시장은 관심있게 지켜보는 분위기다.셀트리온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아바스틴(Avastin) 바이오시밀러 '베그젤마(Vegzelma)'의 품목허가를 받았다고 28일 밝혔다. 셀트리온은 올해 5월 오리지널 의약품 아바스틴 개발사인 제넨텍과 글로벌 특허 합의를 완료했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올해 하반기 유럽 주요국가를 비롯해 순차적으로 베그젤마를 글로벌 시장에 출시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삼성바이오에피스는 2020년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로부터 '온베브지브(ONBEVZI)'에 대한 품목허가를 획득했다. 삼성은 올해 9월 난소암 적응증에 대한 원개발사 제넨텍과의 특허소송도 마무리하면서 본격적으로 글로벌 시장에 확장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제넨텍(로슈가 인수)이 개발해 2004년 출시한 아바스틴은 종양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혈관생성을 막는 기전의 항암제다. 아바스틴은 전이성 직결장암, 전임성 유방암, 비소세포폐암, 신장암, 교모세포종, 난소암, 복막암, 자궁경부암 등에 처방된다. 여기에 로슈가 개발한 면역항암제 티쎈트릭(Tecentriq)과 아바스틴이 병용으로 간암과 비소세포폐암에 처방된다.
글로벌의약품 시장조사 기관인 아이큐비아(IQVIA)에 따르면 2021년 글로벌 베바시주맙(아바스틴 성분명) 시장 규모는 64억3530만달러(8조9700억원)이다. 이중 미국 시장은 26억200만달러(3조6300억원)를 차지한다.
아바스틴의 미국 특허는 2019년 7월, 유럽의 경우 2020년 1월 만료됐다. 특허 만료에 따라 바이오시밀러 시장에 가장 먼저 진출한 곳은 암젠이다. 암젠은 2019년 엠바시(MVASI)를 미국과 유럽에 출시하며 시장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엠바시(MVASI)의 작년 글로벌 매출은 3억400만달러(4346억원)으로, 전년대비 9% 증가했다.
화이자는 암젠보다 출시는 다소 늦었지만 빠른 속도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2020년 출시된 자이라베브(ZIRABEV)는 작년 글로벌 매출은 4억4400만달러(6361억원)를 기록하며, 전년대비 15% 늘었다. 오리지널 의약품 아바스틴은 전년대비 39% 글로벌 매출이 감소했지만, 작년 27억9400만달러(4조 197억)의 매출을 올리며 여전히 가장 높은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제약바이오 업계 관계자는 "항암제의 경우 단순히 낮은 가격만으로 처방이 이뤄지는 약제가 아니다"라며 "셀트리온과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제형 개발 등 아바스틴과 차별화 포인트를 갖춰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국내 대학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는 "국내의 경우 이미 아바스틴에 대한 보험 급여가 적용되는 암종이 많다"며 "때문에 낮은 약가로 이유로 아바스틴 대신 바이오시밀러를 처방할 요인이 크지 않은 편"이라고 말했다.
이어 "유럽 종양학회(ESMO)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티쎈트릭과 아바스틴 병용으로 간암과 비소세포폐암에서 높은 수준으로 처방이 권고된다"며 "동시에 아바스틴에 대해 바이오시밀러를 처방해도 된다는 내용도 담겨 향후 아바스틴 바이오시밀러 처방은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VC 팔로우온 투자파일]유안타인베, '바이오녹스' 시리즈B 브릿지 투자 견인
- 브랜드엑스, 일상복까지 점령 판매량 '고공행진'
- 케이피에스, 세기리텍 품고 실적 '퀀텀점프'
- 정태영 부회장 “한국 페이먼트 이정표 되는 날”
- 맞춤 수면시대 연 코웨이 '비렉스 스마트 매트리스'
- [증권사 IB, 유상증자 비즈니스 전략]'Industry3부' 신설 효과, NH증권 코스닥 실적 '최대'
- 시노펙스, 국내 최초 나노급 ePTFE 설비 구축
- [챗GPT발 AI 대전]국내 첫 GPT-3 서비스 꺼낸 SKT, 7년을 갈고 닦았다
- [삼성SDI 로드 투 아메리카]해외 R&D 허브 보스턴, 배터리 경쟁력 백년대계 담당
- [챗GPT발 AI 대전]엔비디아 GPU에 도전하는 국내 팹리스들
홍숙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유한양행 '렉라자', 타그리소와 경쟁 돌입…1차 치료제 승부수
- [제약·바이오 융합의 경제]바이오텍과 손잡고 '신약개발' 나선 '셀트리온'
- 임상 3상 준비하는 메드팩토, R&D 인력 대거 변화
- [이사회 분석]티움바이오, 신약 개발 강화...관련 인력 전진 배치
- 동아에스티, '슈가다파'로 당뇨 병용 시장 노린다
- [디지털헬스케어 기업 열전]커스토먼트 "치과와 기공소 잇는 플랫폼으로 해외 시장 공략"
- [디지털헬스케어 기업 열전]카카오가 선택한 '커스토먼트'...16년 노하우로 다진 잠재력
- 셀트리온의 '마이크로바이옴' 신약개발, 경쟁력은
- 한미-KT 맞손, 제약과 IT의 결합 어떤 작품 나올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