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증권 GWM, ‘뉴리치’ 자산관리 힘준다 스타트업 CEO 세무·퇴직연금 컨퍼런스…네트워킹 등 차별화
이민호 기자공개 2022-11-14 07:52:29
이 기사는 2022년 11월 08일 15:01 theWM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국투자증권 초고액자산가 자산관리 전담조직인 GWM(Global Wealth Management)이 젊은 초고액자산가 그룹인 ‘뉴리치’(New Rich)에 대한 자산관리 서비스를 확대한다. 이번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 CEO 대상 세무·퇴직연금 컨퍼런스를 포함해 향후 다양한 업종과 분야로 컨설팅 서비스를 넓힐 예정이다.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한국투자증권 GWM은 이번달 들어 ‘GWM 뉴리치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1회째인 이번 컨퍼런스는 서울 삼성동 오크우드 프리미어 코엑스 센터에서 개최됐다.
이번 컨퍼런스는 한국투자증권 GWM 고객 중에서도 비상장 스타트업 CEO 고객을 대상으로 열렸다. ‘뉴리치’를 전면에 내세운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특히 1회째 행사는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스타트업에 초점을 맞춰 약 10명의 CEO 고객이 참여했다.

컨퍼런스 내용은 CEO 고객이 알아야 할 세무와 퇴직연금 분야가 중심이 됐다. 그 중에서도 세무 분야는 스톡옵션 과세특례에, 퇴직연금 분야는 사용자 측면에서의 퇴직연금 제도 특성에 초점을 맞췄다. 한국투자증권 GWM 자산승계솔루션 세무 전문가와 퇴직연금본부 연금 전문가가 연사로 나섰다.
이번 컨퍼런스를 개최한 GWM은 한국투자증권이 투자형 패밀리오피스를 기조로 금융자산 30억원 이상 초고액자산가 고객의 자산관리를 전담하기 위해 2020년 9월 출범시킨 조직이다. 한국투자증권은 삼성증권 SNI에 몸담던 유성원 상무를 GWM전략담당 상무로 영입했다.
‘GWM 뉴리치 컨퍼런스’도 유 상무가 직접 기획한 것이다. 유 상무는 삼성증권 SNI에 앞서 도이치뱅크와 UBS 홍콩에 몸담아 초고액자산가 가업승계와 자산관리 분야에서의 풍부한 노하우를 인정받고 있다.
애초 비상장 단계에서부터 기업 오너 및 CEO와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은 ‘진우회’에서부터 이어내려오는 한국투자증권 고유의 핵심 역량으로 꼽힌다. 한국투자증권은 진우회 회원 기업과 비상장 때부터 관계를 맺어 프리IPO와 IPO, M&A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IB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으며 이들 회원 기업의 오너 및 CEO는 GWM 등 자산관리 서비스에서도 핵심 고객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한국투자증권 GWM은 이번 컨퍼런스에 더해 스타트업 CEO 등 뉴리치로 분류되는 젊은 고액자산가 고객에 대한 자산관리 서비스를 꾸준히 확대할 예정이다. 이번 컨퍼런스에서도 단순히 지식 전달을 넘어 동종업계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는 시간을 별도로 마련해 호평을 받았다. 타깃 고객층의 니즈를 충족시킨 맞춤형 서비스라는 평가다.
이를 위해 외부 전문기관과의 협업도 확대하고 있다. 한국투자증권 GWM은 지난달 삼정KPMG 회계법인과 초고액자산가 자산관리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양사는 중소·중견기업 고객을 공동으로 발굴하고 M&A 금융자문을 연계하게 된다. 이외에도 앞서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한국강소기업협회, 한국중견기업연합회, 법무법인 원, 법무법인 바른과도 MOU를 맺었다.
이외의 분야에서도 외부 전문기관과의 제휴를 늘리고 있다. 한국투자증권 자체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금융상품 투자나 자산승계 자문 외에도 여가활동이나 품격유지에 대한 고액자산가 고객의 높은 관심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다. 지난해 8월에는 미국 뉴욕 부동산 투자자문 서비스 제공을 위해 부동산 플랫폼 코리니와 손을 잡았고 이보다 앞서는 불가리코리아, 하나투어, 가나아트와도 MOU를 체결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세토피아 "사업다각화 성과 잇도록 노력할 것"
-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 "주주 이익 극대화하겠다"
- 비상장 주식 거래, '디깅' 트렌드 타고 약세장에도 성장세
- 6G 기반 닦을 '오픈랜' 생태계 확장 나선 통신 3사
- [챗GPT발 AI 대전]라인, 한일 AI 동맹 속 '아시아 글로벌 테크기업' 포부
- 신약에 진심인 일동제약, 비용 줄여도 R&D 늘린다
- JW중외제약, 아토피 신약 올 하반기 임상 2상 완료 목표
- [제약·바이오 융합의 경제]오픈이노베이션 선구자 '한독', 스타트업 키워 파트너 삼는다
- [캐시플로 모니터]LG전자 실탄 받은 LGD, CAPEX·운영자금 부담 덜었다
- DX&VX 거래재개 키워드 '실적, 한미약품 오너 2세'
이민호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투자 포트폴리오 리포트/애경그룹]'배당 기여' AMPLUS자산개발, 알짜 계열사 자리매김
- [투자 포트폴리오 리포트/애경그룹]신성장동력 낙점 애경바이오팜, 조달여력도 '충분'
- [투자 포트폴리오 리포트/애경그룹]꾸준한 이익창출 애경산업, 그룹내 높아진 활용도
- [투자 포트폴리오 리포트/애경그룹]그룹 모태 화학부문 '대형화'…재무 과제는
- [CFO 성과 보수]LX인터 민병일 CFO, 재무개선·사업확장 공로 인정
- [지주사 자본재분배 성적표]그룹 본업 '닭고기 사업' 한강식품 힘싣기
- [배당절차 변화 바람]'지주사 배당개시' LX그룹, 배당절차 개선은 '아직'
- 하림지주 CFO가 짊어진 '황금알' 활용법
- [지주사 자본재분배 성적표]하림USA 전방위 자금지원…재무개선 ’언제쯤’
- [지주사 자본재분배 성적표]팬오션 인수 차입부담 털어낸 ‘묘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