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큐온저축, 수익성 회복세…BIS비율 12% 돌파 올 들어 연속 흑자 달성…수익성·건전성 개선 고삐 쥔다
김서영 기자공개 2024-09-13 13:06:15
이 기사는 2024년 09월 12일 07시0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애큐온저축은행이 수익성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한 해 4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했지만, 올 들어 연속 흑자를 달성했다. 대출채권 관련해 100억원이 넘는 수익을 내며 수익성 방어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애큐온저축은행은 올 들어 BIS비율을 12% 이상으로 높이며 손실흡수 능력을 확충하는 등 건전성 관리에 집중하고 있다.
◇상반기 누적 순이익 102억, 2분기 연속 흑자
애큐온저축은행은 올 상반기 경영 실적을 공시했다. 올 상반기 누적 순이익은 102억원으로 나타났다. 올 들어 1분기 41억원, 2분기 61억원의 순이익을 올린 것으로 2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또 전 분기 대비 48.78% 증가한 수치로 수익성 회복세를 보였다.
지난 한 해 애큐온저축은행은 4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하며 어려운 시기를 보냈다. 작년 1분기 말 203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한 이후에 2분기 126억원, 3분기 46억원의 순손실을 냈다. 적자 폭이 줄어드는 듯싶었으나 4분기 258억원의 순손실을 나타내며 수익성이 나빠졌다.
올해 수익성 방어에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는 비용 절감에 있다. 올 상반기 누적 비용합계는 2474억원으로 전년 동기(2687억원)보다 7.93% 줄었다. 그중에서 이자비용이 967억원으로 1년 새 19.15% 감소했다. 여기에 같은 기간 이자수익은 2208억원으로 15억원 소폭 증가했다.
눈에 띄는 점은 2분기 동안 대출채권과 관련해 144억원의 수익을 올렸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매출채권매매이익으로 116억원, 상각채권매매이익으로 28억원을 기록했다. 올 상반기 대출채권 관련 누적 수익은 197억원이다. 여기에 유가증권 관련 누적 수익으로 75억원을 올린 것도 영업이익 증가 요인으로 꼽힌다.

◇BIS비율 상승세, 건전성 지표 관리 나선다
올 상반기에도 대손충당금 확대에 따른 영향이 지속됐다. 애큐온저축은행은 올 상반기 동안 대손충당금 952억원을 더 쌓았다. 작년 동기 대손충당금 전입액이 914억원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1년 새 4.16% 증가한 수치다.
자산 건전성 개선을 위한 대손 상각과 채권 매각도 이어졌다. 올 상반기 대손상각액은 486억원으로 전년 동기(119억원) 대비 300% 넘게 급증했다. 채권매각 및 환매 규모는 800억원으로 같은 기간 43.11% 뛰었다. 이에 따라 대손충당금 잔액은 2345억원으로 나타났다.
주요 건전성 지표인 고정이하여신(NPL)비율이 여전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올 상반기 말 NPL비율은 6.86%로 전년 동기(5.94%)보다 0.92%p 올랐다. 연체율도 마찬가지다. 같은 기간 연체율은 4.73%로 1년 새 0.35%p 상승했다.
다만 손실흡수 능력을 의미하는 BIS비율이 4분기 연속 상승하고 있다. 올 상반기 말 기준 BIS비율은 12.25%로 나타났다. 작년 3분기 11.34%, 3분기 11.62%, 올해 1분기 12.02% 등 점진적으로 수치가 올라갔다. 작년 2분기 11.8%를 기록한 이후로 가장 높은 수치다. 애큐온저축은행이 올 하반기에도 BIS비율을 높여나갈지 주목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메티스톤-로프티록, 에스티유니타스 인수한다
- 전동규 서진시스템 대표, 'FI 풋옵션 대비' 3000억 펀딩 추진
- 도미누스, '적자 지속' 건화 담보권 실행 절차 돌입
- 옐로씨매니지먼트, 생성형 AI 기업 '제논' 2대 주주 등극
- 한투파PE, 오아시스 지분 매각 하이라이트 '고수익성'
- 카카오헬스, 300억 유증의 의미 '그룹 신성장' 위상 굳히기
- [뉴엔AI road to IPO]공모자금 연구개발 집중 '글로벌 진출'
- KT의 이유있는 '쓴소리'
- HDC랩스, 그룹 내 시너지 덕에 '턴어라운드' 기대감
- '수성 아이유쉘' CR리츠, 대주단 '엑시트' vs 시공사 '대손'
김서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GS건설, 자회사 '리밸런싱' 어디까지 왔나
- [2025 건설부동산 포럼]"기업형 임대주택 사업 '선순환 모델' 구축해야"
- GS건설, 이니마 매각 급물살 타나
- [디벨로퍼 리포트]DS네트웍스, 선제적 토지 매각으로 리스크 해소
- [건설리포트]'1조 클럽 수성' 반도건설, 올해 실적 향상 카드는
- [건설사 미수금 모니터]SK에코플랜트, SK하이닉스 공장 준공에 '연동'
- 우미건설, '부산 장안지구 우미린 프리미어' 견본주택 오픈
- [디벨로퍼 리포트]외형 키우는 신세계프라퍼티, 투자 더 늘린다
- [떠오르는 모듈러 건축]삼성물산, 사우디 네옴시티에 'OSC 기술' 활용
- [건설리포트]제일건설, 안정적 실적 속 재무비율 개선 '뚜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