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인트리파트너스, 스킨푸드 매각 추진 EY한영 주관사 선정, 희망가 약 600억 수준
윤준영 기자공개 2025-01-14 08:07:32
이 기사는 2025년 01월 13일 15시3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 파인트리파트너스가 2019년 인수한 화장품 회사 스킨푸드 매각에 나섰다. 스킨푸드 실적 개선세가 견고한 데다 최근 'K-뷰티'로 한국 화장품 기업의 인기가 좋아진 데 따라 이 같은 결정을 내린 것으로 풀이된다.13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파인트리파트너스는 EY한영과 손 잡고 스킨푸드 매각을 위해 원매자를 물색하고 있다. 매각 대상은 파인트리파트너스가 '피티제삼호유한회사'를 통해 보유하고 있는 스킨푸드 지분 99.95%다. 매각 가격은 약 600억원으로 추산된다.
파인트리파트너스는 2019년 스킨푸드를 인수한 뒤 1년 만에 회생절차를 졸업하고 실적 개선을 이뤄냈다. 2023년 말 기준 매출은 약 598억원, 영업이익은 약 90억원 수준이다. 지난 2020년 매출 175억원, 영업손실 42억원을 내던 적자 상태에서 실적 턴어라운드를 이뤄냈다.
스킨푸드는 국내 1세대 로드숍 브랜드로 2012년 매출 1833억원, 영업이익 100억원을 낼 정도로 성장했다. 하지만 2013년부터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30% 수준으로 감소하며 경영상의 어려움을 겪었다. 결국 2019년 서울회생법원은 스킨푸드와 자회사인 아이피어리스의 회생 계획 인가 전 M&A 절차를 진행했다.
당시 회생기업 M&A로는 이례적으로 파인트리파트너스를 비롯한 나우IB캐피탈, 엘앤피코스메틱, 토니모리-캑터스PE, 큐캐피탈파트너스 등이 참여하며 매각 절차가 흥행했다. 파인트리파트너스는 당시 약 2000억원의 가격을 써내며 결국 스킨푸드를 품에 안았다.
파인트리파트너스는 당시 스킨푸드의 회생채권 규모가 약 445억원 수준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2000억원이라는 높은 가격을 써내며 경쟁자들을 물리쳤던 것으로 전해진다. 회생채권을 웃도는 금액은 사내 유보금으로 전환됐다.
당시 우리은행으로부터 자금을 조달해 2000억원의 인수대금을 쓴 뒤 이후 사내 유보금으로 전환된 금액으로 해당 자금을 변제한 것으로 전해진다. 즉, 파인트리파트너스가 당시 스킨푸드 인수를 위해 사용한 에쿼티(Equity) 자금은 약 445억원인 셈이다.
업계에서는 파인트리파트너스가 스킨푸드 회생절차를 졸업시켰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바라본다. 파인트리파트너스는 스킨푸드 인수 후 올리브영이나 온라인 해외 수출 등의 판로를 적극적으로 뚫고 경영 시스템을 안정화하며 실적 개선을 꾀했다. 작년부터 동남아 및 일본 등의 글로벌 시장 확대에 주력하며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크고 작은 국내 화장품 회사들이 잇따라 고평가를 받고 있다는 점도 호재 요인으로 꼽힌다. 해외에서 반응이 좋은 데 따른 결과다. CJ올리브영에 따르면 지난해 올리브영에서만 연 매출 100억원을 기록한 브랜드가 100개를 돌파했다. 2013년에는 이 같은 브랜드가 단 2곳에 불과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AACR 2025]이뮨온시아 'CD47' 안전성 굳히기 "경쟁약과 다르다"
- [AACR 2025]항암 신약 항체 대신 '페라틴', 셀레메디 플랫폼 데뷔전
- [AACR 2025]근거 쌓는 '루닛 스코프' 빅파마 공동연구 쇼케이스
- [변곡점 선 콜마비앤에이치]변화의 마지막 카드, 경영진 교체 '강수' 두나
- [변곡점 선 콜마비앤에이치]속절없는 주가 하락 '트리거', 주가 부양 의지 없었나
- [변곡점 선 콜마비앤에이치]'경영 리스크' 누적, 콜마홀딩스 '책임경영' 본격화
- [i-point]소니드, 부동산·자회사 매각 "유동성 확보·체질 개선"
- [i-point]아이티센클로잇, ‘홈넘버’로 안전한 쇼핑 환경 조성
- [계열사 정리 나선 쌍방울 그룹]퓨처코어 매각 구체화, 그룹 해체 마무리 단계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지배력 '탄탄한' 유양석 회장, 승계이슈는 '먼일'
윤준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비플레인' 운영사 모먼츠컴퍼니 매각 본격화, 삼일PwC와 맞손
- '매각 절차 지연' DIG에어가스, 희망 가격 낮아지나
- IMM크레딧, 8000억원 블라인드펀드 결성 순항
- 한투파PE, 오아시스 지분 매각 하이라이트 '고수익성'
- '환경 변화 고려' CJ제일제당, 그린바이오사업 계속 키운다
- '부가가치 창출 의문' KPG파트너스, 한양고속 매각 난항
- [격동의 베인캐피탈]인력 보강 나선 한국PE사업부, 입지 변화는
- [격동의 베인캐피탈]'변화 예고' 한국 PE사업부, 투자 담당자 면면은
- '스맥 유증 변수' 릴슨PE, 현대위아 펀딩 안전장치 '브릿지론'
- 팩텀PE, 카스카디아CC 투자금 모집 '난항'